카드뉴스

빛을 만난 문화재, 내면의 비밀을 공개하다

2020년 11월 30일
  • 빛나는 문화재01
  • 빛나는 문화재02
  • 빛나는 문화재03
  • 빛나는 문화재04
  • 빛나는 문화재05
  • 빛나는 문화재06
  • 빛나는 문화재07
  • 빛나는 문화재08
  • 빛나는 문화재09
  • 빛나는 문화재10
  • 빛나는 문화재11
  • 빛나는 문화재12
  • 빛나는 문화재13
  • 빛나는 문화재14
1
빛을 만난 문화재, 내면의 비밀을 공개하다
[글] 김정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 S&C
 
2
문화재: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활동의 소산
- 두산백과
 
말 그대로 문화재 안에는 우리 조상들의 수많은
삶과 철학이 담겨져 있다.
 
3
때문에 이런 문화재 속 비밀을 밝혀내는 것은
민족의 문화를 알아가는 숭고한 작업.
 
특히 기술의 발전은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문화재의 비밀을 알게 해 준다.
 
4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은
특별전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를 통해
각종 문화재의 신비를 여과 없이 보여줬다.
 
사진을 보면서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을
좀 더 과학적으로 살펴보자.
 
5
야간 관측, 경보기, 기상관측, 의료기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표면층을 투과할 수 있다.
 
이는 고대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의 글씨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
 
6
적외선을 활용하면 오래 되어 나무 표면에 스며든 먹글씨를
판독할 수 있다는 것이 국립중앙박물관 측의 설명.
 
부여 쌍북리에서 발견된 목간 속에는
백제시대에도 구구단이 기록됐음을 나타내고 있다.
 
광개토대왕비, 삼국사기 등에 관련 기록이 전해왔지만
유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7
손상된 벽화를 확인하는 데도 적외선 촬영은 유용하다.
 
개마총에서 발견된 삼족오 벽화편이
적외선 촬영으로 그 정체를 드러내고 있다.
 
넓은 띠와 구름무늬, 해 안의 그려진 삼족오의 형체를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8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형광’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특정 물질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빛을 발하기 때문.
이 현상을 도자기나 금속 문화재 등에 활용해
안 보이는 흠집이나 수리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9
누워 있는 인물상 주변 등받이의 나무 덩굴 중
파란 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눈에 띈다.
 
복원제로 사용된 아연(Zn) 성분의 안료와
자외선이 만나 이뤄지는 형광효과 덕분이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10
우리에게 익숙한 엑스선 역시
문화재 분석에 제격이다.
 
물질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투과력이 달라지기 때문.
문화재의 내부 구조나 재질,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 단층촬영(CT)를 활용한
문화재 분석이 각광을 받고 있다.
 
11
복잡한 모양의 백자 금강산모양 연적 내부 구조가
CT 촬영을 거치자 한 눈에 들어오는 모습이다.
 
윗면 석탑의 구멍 사이로 물과 공기가 들어가고
측면에 위치한 짐승의 입에서
물이 나오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
조상들의 과학적 지혜도 엿볼 수 있다.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이란 뜻의 계영배(戒盈杯)는
그 이름처럼 잔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저절로 물이 빠져나가 수위를 유지한다.
 
13
이는 양변기, 커피 추출기 등에 쓰이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매화가지 모양의 원통형 관이
안쪽 면부터 바깥 면까지 연결돼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이펀(siphon)=기압차와 중력을 활용해 높은 곳의 액체를 낮은 곳으로 옮기는 원통형 관
 
14
이렇게 눈에 안 보이는 빛들은
문화재의 비밀을 밝혀주는 중요한 열쇠이자
그 보존을 위한 핵심 도구이기도 하다.
 
첨단 과학기술과 전통 문화재의 만남이
앞으로도 서로에게 유익한 관계가 되길 기원해 본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