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녹내장 안압 진단과 치료 한 번에 하는 스마트 렌즈
<KISTI의 과학향기> 제3826호 2023년 01월 30일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와 김태연 박사 연구팀이 녹내장 안압 진단과 치료를 한번에 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이 렌즈는 녹내장의 안압 진단 센서 및 안압 조절용 유연성 약물전달시스템이 장착된 무선 구동 테라노스틱(theranostic) 스마트 콘택트렌즈다.
녹내장은 안구 내 안압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높아진 안압에 의해 시신경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주변 시야부터 좁아지다가 악화되어 심할 경우 시력을 잃게 된다.
녹내장 환자는 평생 안압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안압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녹내장 안압을 모니터링하는 안압 센서는 미국 FDA 승인을 받아 상용화된 사례가 있지만, 안압 수준에 반응해 적절한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렌즈에 금 할로우 (hollow) 나노와이어 기반 고민감도 안압 센서, 유연성 (flexible) 약물전달시스템, 무선 전력-통신 시스템, 녹내장의 안압 모니터링·제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집적 회로 칩을 정밀하게 통합했다. 또 토끼 실험을 통해 실제로 안압 상태를 모니터링한 뒤, 약물을 방출해 안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작동하는 걸 확인했다.
한세광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녹내장 안압 진단 및 치료용 테라노스틱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조기 상용화해 녹내장 환자의 편의성 제고에 크게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어치의 푸른빛 깃털 모방한 색 구현 기술 나왔다
-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Eurasian jay)는 특이한 광택이 나는 푸른빛 날개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 연구진이 어치 깃털이 특이한 색을 내는 비밀을 밝혀 새로운 색 구현 기술을 개발했다. 여종석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어치 깃털의 색 변화 원리를 밝혔다. 또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의 두께에 따라 구조색이 변하는...
-
- 암세포만 공략하는 스마트 면역세포 시스템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와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스마트 면역세포를 통한 암 치료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가 논리회로를 통해 작동하게 해 암세포만 공략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팀은 수백만개의 세포...
-
- 직접 과일 따고, 운반하는 로봇 개발하다
-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작물을 수확하고 운반하는 로봇 시스템이 개발됐다. 최근 인력난이 극심해 농사를 짓고도 수확을 못하고 있는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 최태용 AI로봇 연구본부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농업 현장에서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고 수확한 작물을 자율주행을 통해 하...
이 주제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