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2023년 05월 08일1
KISTI의 과학향기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예술작품,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높은 완성도, 예술사적 가치, 대중적 인기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3
최근 과학자들이 오래된 명화에서
당시 대기환경을 유추해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과학자들이 오래된 명화에서
당시 대기환경을 유추해 화제가 되고 있다.
유행, 문화사조와 같은 문화적 시대상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4
지난 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는
소르본대 기상학연구소의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전했다.
지난 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는
소르본대 기상학연구소의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전했다.
인상파 화가의 작품에서
당시 대기오염의 증거를 찾은 것이다.
당시 대기오염의 증거를 찾은 것이다.
5
연구진은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의
작품 약 100점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의
작품 약 100점을 분석했다.
터너의 작품은 1796년부터 1850년 사이,
모네의 작품은 1864년부터 1901년 사이에 그려진 것이다.
모네의 작품은 1864년부터 1901년 사이에 그려진 것이다.
6
당시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속도로 대기오염이 확산되는 시기였다.
당시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속도로 대기오염이 확산되는 시기였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면
풍경이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그대로 그림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풍경이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그대로 그림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7
연구진은 수학적 모델을 활용해
대기상태와 그림 속 사물 윤곽의 상호관계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수학적 모델을 활용해
대기상태와 그림 속 사물 윤곽의 상호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산화황 농도가 높을수록
윤곽 또한 흐릿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윤곽 또한 흐릿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8
아무런 브레이크가 없었던 공해물질 발산은
수십 년 사이에도 급격히 진행됐다.
아무런 브레이크가 없었던 공해물질 발산은
수십 년 사이에도 급격히 진행됐다.
연구진은 두 화가의
초반기 작품과 후반기 작품을 분석해,
가시성이 24배 이상 차이 났다는 결과도 도출했다.
초반기 작품과 후반기 작품을 분석해,
가시성이 24배 이상 차이 났다는 결과도 도출했다.
9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화가 렘브란트의 그림에서도
대기오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화가 렘브란트의 그림에서도
대기오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일명 [야경]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걸작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덴부르크의 순찰대]다.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덴부르크의 순찰대]다.
10
높이 379.5cm, 폭 453.5cm, 무게 337㎏에 달하는 이 작품은
원래 밤을 묘사하는 그림이 아니었다.
높이 379.5cm, 폭 453.5cm, 무게 337㎏에 달하는 이 작품은
원래 밤을 묘사하는 그림이 아니었다.
30명이 넘는 사람들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담아낸 밝고 활기찬 그림이었던 것.
역동적으로 담아낸 밝고 활기찬 그림이었던 것.
11
문제는 렘브란트가 사용했던 연백 물감.
여기 포함된 납 성분이 대기 중 황과 결합하며
어두운색으로 변했다.
문제는 렘브란트가 사용했던 연백 물감.
여기 포함된 납 성분이 대기 중 황과 결합하며
어두운색으로 변했다.
산업혁명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해진 탓에
그림 자체가 어두워지면서
야경이 돼버린 것이다.
그림 자체가 어두워지면서
야경이 돼버린 것이다.
12
지난 2014년에는 그리스 연구진이
일몰 그림을 분석해 대기 상황을 분석했다.
지난 2014년에는 그리스 연구진이
일몰 그림을 분석해 대기 상황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1500년부터 2000년까지
풍경화를 50년 단위로 분류해
하늘이 얼마나 붉은지를 조사했다.
풍경화를 50년 단위로 분류해
하늘이 얼마나 붉은지를 조사했다.
13
미세입자인 에어로졸이 많을수록
빛의 산란이 활발해져 하늘은 붉어진다.
미세입자인 에어로졸이 많을수록
빛의 산란이 활발해져 하늘은 붉어진다.
실제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20세기 말의 대기오염 정도가
19세기에 비해 명백히 심했다는 사실이
그림 속에 유의미하게 반영됐다.
20세기 말의 대기오염 정도가
19세기에 비해 명백히 심했다는 사실이
그림 속에 유의미하게 반영됐다.
14
미세먼지는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창작 중인 예술작품 역시 자신도 모르게
이런 환경을 반영하고 있진 않을까?
미세먼지는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창작 중인 예술작품 역시 자신도 모르게
이런 환경을 반영하고 있진 않을까?
예술작품의 과학적 재해석이야말로 어쩌면
과학과 예술의 새로운 접점이 될 수 있겠다고
기대하게 된다.
과학과 예술의 새로운 접점이 될 수 있겠다고
기대하게 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우리가 알던 동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불가사리는 몸의 일부가 잘려도 죽지 않는 신기한 생물이다. 이름 역시 ‘죽일 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비롯됐다. 특유의 별 모양 역시 다른 동물에게서 찾기 어려운 불가사리만의 차별점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불가사리의 특이함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됐다. 우리가 흔히 알던 불가사리의 ‘몸통’이 실은 ‘머리’에 가깝다는 연구가 나온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