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마스크가 어린이의 감정 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585호 2020년 10월 19일우리나라가 코로나 방역에서 성공하고 있는 것은 전 국민이 모두 마스크를 잘 착용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마스크가 최고의 백신이라는 말한다.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마스크를 쓰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마스크 때문에 불편한 점도 있다. 답답하고 숨 쉬기 어렵고 마스크를 사는 비용도 쌓이면 만만치 않다. 특히 바깥에서 마음껏 뛰어 놀아야 할 어린이들이 마스크 때문에 활발히 활동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도 하다. 그런데 아동 발달 전문가들은 신체 활동 외에도 아동의 인지 발달 능력에 마스크가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마스크는 표정이라는 비언어 의사소통을 가린다
인간은 말로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아니다. 웃고, 찌뿌리고, 인상 쓰는 것 같은 표정으로도 상대방과 대화한다. 즉 우리는 감정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공감하는 것이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마스크를 쓴 얼굴만 보아 사람의 얼굴 표정을 볼 수 없다면 타인의 감정을 읽어내는 인간의 독특한 능력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보자. 아이가 불이 켜져 있는 뜨거운 가스렌지로 다가간다. 그때 어머니가 인상을 찡그린 무서운 얼굴을 하며 쳐다보자 멈칫 한다. 그럼 아이는 뜨거운 가스레인지에 가까이 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는 것을 표정을 통해 알게 된다.
이는 아직 걷지 못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확인됐다. 시각적으로 절벽처럼 보이게 하는 바닥에 아이를 놓고 그 앞에는 엄마가 장난감을 들고 있다. 그리고 엄마는 웃거나 무서운 얼굴을 하도록 연구자에게 지시를 받았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경우 웃는 얼굴을 볼 때는 절벽처럼 보이는 곳까지 기어갔지만 무서운 얼굴을 볼 때는 기어가지 않았다.
요컨대 얼굴 표정은 아이들이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과 세계를 바라보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얼굴이 가려져 있다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을 옳은지 그른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행동을 더 낫게 교정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진다. 게다가 표정으로 상대의 마음을 읽고 상대의 기분에 맞추어 배려하는 사회적 예절 능력을 함양하기도 어려워 진다.
새 시대에 맞는 감정 교육이 필요해
그렇다고 해도 마스크를 벗을 수는 없다. 어찌 되었든 가장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를 무찌를 수 있을 때까지 최대한 조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아동발달 전문가들은 마스크 시대에 맞는 새로운 아동 교육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몇 가지를 소개하겠다.
첫째, 자녀에게 마스크를 벗으며 웃는 얼굴을 보여주는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한다. 그럼으로써 보이지 않더라도 자녀에게 미소를 보내고 있다고 확신시킨다. 이는 부모와 자녀가 애착 관계를 형성하는 데 주요하게 작용한다.
둘째, 아이에게 눈과 눈썹을 주의 깊게 보라고 가르친다. 부모는 최대한 눈과 눈썹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어떤 감정을 표현했는지 아이와 대화한다. 이를 마치 퀴즈 놀이처럼 진해해 반복함으로써 아이가 다른 사람의 눈과 눈썹을 보고도 감정을 짐작할 수 있게끔 연습한다.
분명히 우리 사회는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졌다.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는 팬데믹 시대에는 그에 맞는 교육법이 필요하다. 교육 현장에서는 아이들이 최대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디오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방역 당국도 혹 입이 드러나는 형태의 마스크도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다면 교사와 부모들이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글: 홍종래 과학 칼럼니스트/일러스트: 이명헌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 정말 효과 있을까?
- 자기 전에 스마트폰, 컴퓨터, 텔레비전, 태블릿 PC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 또 너무 오랜 시간 이런 디지털 기기를 보지 말라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됐다. 블루라이트 때문이다. 청색광이 수면을 방해하고 눈을 피로하게 하거나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것이 바로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블루라이...
-
- 소식이 장수의 비결?
- 장수의 비결에는 항상 식습관이 거론되곤 한다. 소식과 채식 위주의 식단 등이 장수마을의 공통점이라는 기사를 흔하게 봤을 것이다. 당연한 말인 것 같지만 정말일까? 민간요법처럼 그냥 전해 내려오는 말 아닐까? 하지만 최근 이런 식습관이 수명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영장류에서도 소식하면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 발...
-
- 잠은 뇌를 청소하는 시간
- 생물이 왜 잠을 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이 없다. 피로를 해소하고 재충전하기 위해서라는 가설도 있고, 낮 동안 쌓인 정보를 재정리하는 시간이라는 가설도 있다. 또 어떤 학자는 잠을 자면서 꾸는 꿈이 우리의 욕구를 해소해준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중 어느 것 하나가 정답일 필요는 없다. 잠은 피로회복과 정보정리, 욕구해소 등을 모두 하는 생명...
이 주제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