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멸종한 토종개 ‘바둑이’ 과학기술로 되살아나다
2023년 07월 24일1
KISTI의 과학향기
멸종한 토종개 '바둑이'
과학기술로
되살아나다
출처: 문화재청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멸종한 토종개 '바둑이'
과학기술로
되살아나다
출처: 문화재청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진 이래
문교부에서 최초로 간행된
국정 초등국어 교과서 1-1 표지에는
철수와 영희, 바둑이가 그려져 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진 이래
문교부에서 최초로 간행된
국정 초등국어 교과서 1-1 표지에는
철수와 영희, 바둑이가 그려져 있다.
동요에도
“달랑달랑, 바둑이 방울 잘도 울린다~.”며
바둑이가 등장한다.
“달랑달랑, 바둑이 방울 잘도 울린다~.”며
바둑이가 등장한다.
3
이는 ‘바둑이’가 얼마나 우리에게
친숙한 존재였는지를 보여준다.
실제 바둑이는 조선시대 후기까지 흔히 볼 수 있는
토종개 중 하나로 꼽혔다.
이는 ‘바둑이’가 얼마나 우리에게
친숙한 존재였는지를 보여준다.
실제 바둑이는 조선시대 후기까지 흔히 볼 수 있는
토종개 중 하나로 꼽혔다.
4
하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친근했던 바둑이는 사실상 멸종의 길을 걸었다.
모피와 제2차 세계대전 군수 물품에
바둑이 털과 가죽이 활용되며 개체수가 급감했기 때문.
하지만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친근했던 바둑이는 사실상 멸종의 길을 걸었다.
모피와 제2차 세계대전 군수 물품에
바둑이 털과 가죽이 활용되며 개체수가 급감했기 때문.
5
이런 바둑이가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되살아났다.
이런 바둑이가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되살아났다.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 박찬규 교수 연구팀은 최근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복원된 바둑이를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건국대 생명과학관에서 복원된 바둑이를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6
연구진이 공개한 바둑이 대박(가운데)은
짧은 털에 얼룩무늬가 선명한 외양으로
기존 삽살개(좌, 우)와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연구진이 공개한 바둑이 대박(가운데)은
짧은 털에 얼룩무늬가 선명한 외양으로
기존 삽살개(좌, 우)와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7
연구진은 바둑이를 복원하기 위해
얼룩무늬가 있는 삽살개를 따로 교배했다.
연구진은 바둑이를 복원하기 위해
얼룩무늬가 있는 삽살개를 따로 교배했다.
그 결과 50여 마리를 집단 복원해
유전적 형질을 고정한
단일 품종 자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유전적 형질을 고정한
단일 품종 자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8
연구진은 더불어 개과 동물 211마리를 대상으로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해
삽살개, 진돗개, 동경이 등 한국 토종견의
기원을 규명했다.
연구진은 더불어 개과 동물 211마리를 대상으로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해
삽살개, 진돗개, 동경이 등 한국 토종견의
기원을 규명했다.
9
우리나라 토종개들은 약 2천~1만 년 전 한반도에 들어왔으며
이는 크게 동남아 혈통, 유라시아 혈통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 토종개들은 약 2천~1만 년 전 한반도에 들어왔으며
이는 크게 동남아 혈통, 유라시아 혈통으로 나눌 수 있다.
동남아 혈통으로는 진돗개와 동경이,
유라시아 혈통으로는 삽살개가 꼽힌다.
유라시아 혈통으로는 삽살개가 꼽힌다.
10
진돗개는
뉴기니아 싱잉독, 호주 딩고, 베트남 개와
혈연적인 연관이 깊다.
진돗개는
뉴기니아 싱잉독, 호주 딩고, 베트남 개와
혈연적인 연관이 깊다.
10~20kg 체중을 가진 중형견으로
말린 꼬리와 아몬드형 둥근 눈, 삼각형 귀를 갖고 있으며,
충성심과 경계심이 대단하기로 유명하다.
말린 꼬리와 아몬드형 둥근 눈, 삼각형 귀를 갖고 있으며,
충성심과 경계심이 대단하기로 유명하다.
11
여기서 잠깐.
‘진돗개’와 ‘진도개’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여기서 잠깐.
‘진돗개’와 ‘진도개’는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천연기념물 제53호인 진도개는
엄격한 심사를 거쳐 혈통을 인정받은 몸으로서
진돗개와는 대우가 다르다.
엄격한 심사를 거쳐 혈통을 인정받은 몸으로서
진돗개와는 대우가 다르다.
다만 그 기준이 추상적이고
진돗개 처우에 악영향을 준다는 비판도 있다.
진돗개 처우에 악영향을 준다는 비판도 있다.
12
신라시대부터 우리와 함께했던 동경이는
경주의 옛 지명인 ‘동경(東京)’에 살았다 해서
동경이가 됐다.
신라시대부터 우리와 함께했던 동경이는
경주의 옛 지명인 ‘동경(東京)’에 살았다 해서
동경이가 됐다.
꼬리가 짧거나 아예 없고 몸집이 작으며
사람을 매우 좋아한다.
사람을 매우 좋아한다.
13
얼굴을 덮을 정도로 털이 긴 삽살개는
수사자 갈기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사자개라고도 불린다.
얼굴을 덮을 정도로 털이 긴 삽살개는
수사자 갈기를 연상시킨다고 하여 사자개라고도 불린다.
일반적 인식과 달리 단모종도 존재하는데,
이 역시 다른 단모 토종개보다 털이 긴 편이며
목과 하체에 갈기가 있다.
이 역시 다른 단모 토종개보다 털이 긴 편이며
목과 하체에 갈기가 있다.
14
북한 출신인 풍산개는
진돗개와 비슷한 외모를 지녔으며,
개마고원에서 사냥을 하던 품종답게
몸이 다부지고 다리가 튼튼하다.
북한 출신인 풍산개는
진돗개와 비슷한 외모를 지녔으며,
개마고원에서 사냥을 하던 품종답게
몸이 다부지고 다리가 튼튼하다.
특히 털이 두꺼워 여름에는 더욱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겠다.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겠다.
15
이들 토종개 대부분은
일제 강점기, 6.25 전쟁이라는 위기를 맞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금 우리 곁에 있다.
이들 토종개 대부분은
일제 강점기, 6.25 전쟁이라는 위기를 맞았지만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금 우리 곁에 있다.
최근 복원된 바둑이도 다시 토종개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우리가 알던 동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불가사리는 몸의 일부가 잘려도 죽지 않는 신기한 생물이다. 이름 역시 ‘죽일 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不可殺伊)에서 비롯됐다. 특유의 별 모양 역시 다른 동물에게서 찾기 어려운 불가사리만의 차별점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불가사리의 특이함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됐다. 우리가 흔히 알던 불가사리의 ‘몸통’이 실은 ‘머리’에 가깝다는 연구가 나온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