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바이러스와 세균, 무인주문기 조심!
<KISTI의 과학향기> 제3523호 2020년 03월 16일코로나-19의 기승으로 많은 사람의 손이 닫는 물건에는 손을 대지 않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SNS에서는 엘리베이터에 이쑤시개를 꽂아놔 이쑤시개로 층별 버튼을 누리는 사진이 화제가 되고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펜을 꺼내서 버튼을 누르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조심이 효과가 없는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건강을 위해서는 많은 사람이 접촉하는 기기에는 손을 대지 않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무인주문기 터치스크린에서 대변 성분이 검출되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식점 터치스크린에는 대변이 묻어있을 가능성이 높다. 런던 메트로폴리탄 대학(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의 미생물학 연구팀은 맥도날드를 포함한 영국 전역의 음식점에 있는 무인주문기의 터치스크린을 조사했다. 결과는 끔찍했다. 조사했던 모든 터치스크린에서 분변에 있는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연구팀의 폴 메이트웰(Paul Matewele) 박사는 터치스크린의 병원균이 다양한 전염병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터치스크린에서 발견된 균은 대장균(coliform),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리스테리아균(Listeria) 등이며, 모두 전염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터치스크린으로 음식을 주문한 후 자신의 코를 만지면, 포도상구균이 인체로 침투하여 혈액 중독 및 독성 쇼크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리스테리아균은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에게 리스테리아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임산부는 리스테리아증으로 인해 아이를 유산하거나 사산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제대로 손을 씻지 않는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음식점은 점점 늘어나는데, 우리는 점점 더 많은 분변을 만질 수밖에 없는 것일까? 위에 소개된 연구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매장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소독제로 자주 청소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연구자들은 터치스크린에서 분변의 흔적을 발견한 것이다. 아무래도종일 많은 사람이 만지는 터치스크린이 완벽하게 청결해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분변으로 인한 감염을 막을 수 있을까?
감염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는 손 씻기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전개하는 것이다. 과거부터 손 씻기 방법이 권장되어 온 경우는 있었다. WHO는 물과 비누를 이용해 60초간 6단계로 손을 씻는 방법을 권장해 왔다. 그러나 연구자들의 관찰 결과, 대다수의 사람은 60초간 6단계로 손을 씻어야 하는 수고로운 절차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스위스 바젤대 병원 감염내과 교수팀은 보다 단순한 손 씻기 방법을 제안했다. 이 방법은 알코올 세정제를 이용하는 것이며, 단 15초간 3단계로 이뤄져 있다.
1) 양손 전체에 세정제를 묻히고 손바닥과 손등을 문지른다.
2) 한 손의 손가락을 모아 다른 손의 손바닥을 문지른다.
3) 엄지손가락을 돌리듯이 닦는다.
이와 같은 방법의 핵심은 ‘시간’보다 ‘마찰’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연구진의 분석에 따르면, 기존에 권장되던 WHO의 6단계 손 씻기와 3단계 손 씻기를 비교했을 때, 3단계 손 씻기의 항균 효과도 6단계 못지않게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영국 맥도날드를 떠올려보자. 직원들은 터치스크린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지만, 세정제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무엇보다 모든 사람이 터치스크린을 쓸 때마다 청소할 수는 없다. 우리가 감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근처에 놓여있을 알코올 세정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15초간 3단계로 손 닦기 캠페인을 벌인다면, 터치스크린을 통한 감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 차영재 과학칼럼니스트/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생체시계의 비밀, 미분방정식이 해결했다
-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는데도 사람들은 날이 밝으면 잠에서 깨고, 어두워지면 잠을 잔다. 마치 사람의 몸속에 시계가 들어있는 것처럼 말이다.이와 같이 규칙적인 수면 주기가 유지되는 이유는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멜라토닌(melatonin) 때문이다. 보통 밤 9시 경에 분비되기 시작해, 아침 7시쯤에 멈추는 이 호르몬 때문에 사람들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
-
- 무서운 전염병, 천연두는 어떻게 정복했나?
- 가뭄과 역병은 역사적으로 큰 위기다. 한 나라가 망하기도 하고, 전쟁에서 패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라가 망하는 원인을 딱 한 가지로 속단할 순 없지만, 기근(饑饉, 흉년으로 양식이 모자라 굶주리는 현상)은 명나라를 멸망에 이른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우리나라도 얼마 전 메르스라는 전염병과 극심한 가뭄으로 큰 위기를 겪기도 했다. 조선시대...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이 주제의 다른 글
ScienceON 관련논문
손이 닿는... 닫는으로 오타 난 것 같아요
2020-05-31
답글 0
잘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와 지식에 감사드립니다...!
2020-03-1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