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빛을 만난 문화재, 내면의 비밀을 공개하다
2020년 11월 30일1
문화재: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인류 문화활동의 소산
- 두산백과
말 그대로 문화재 안에는 우리 조상들의 수많은
삶과 철학이 담겨져 있다.
2
때문에 이런 문화재 속 비밀을 밝혀내는 것은
민족의 문화를 알아가는 숭고한 작업.
특히 기술의 발전은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하게
문화재의 비밀을 알게 해 준다.
3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은
특별전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를 통해
각종 문화재의 신비를 여과 없이 보여줬다.
사진을 보면서 우리 문화재의 아름다움을
좀 더 과학적으로 살펴보자.
4
야간 관측, 경보기, 기상관측, 의료기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적외선은
파장이 길어 표면층을 투과할 수 있다.
이는 고대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의 글씨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
5
적외선을 활용하면 오래 되어 나무 표면에 스며든 먹글씨를
판독할 수 있다는 것이 국립중앙박물관 측의 설명.
부여 쌍북리에서 발견된 목간 속에는
백제시대에도 구구단이 기록됐음을 나타내고 있다.
광개토대왕비, 삼국사기 등에 관련 기록이 전해왔지만
유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6
손상된 벽화를 확인하는 데도 적외선 촬영은 유용하다.
개마총에서 발견된 삼족오 벽화편이
적외선 촬영으로 그 정체를 드러내고 있다.
넓은 띠와 구름무늬, 해 안의 그려진 삼족오의 형체를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7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형광’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특정 물질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빛을 발하기 때문.
이 현상을 도자기나 금속 문화재 등에 활용해
안 보이는 흠집이나 수리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8
누워 있는 인물상 주변 등받이의 나무 덩굴 중
파란 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눈에 띈다.
복원제로 사용된 아연(Zn) 성분의 안료와
자외선이 만나 이뤄지는 형광효과 덕분이다.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9
우리에게 익숙한 엑스선 역시
문화재 분석에 제격이다.
물질의 종류나 두께에 따라 투과력이 달라지기 때문.
문화재의 내부 구조나 재질,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 단층촬영(CT)를 활용한
문화재 분석이 각광을 받고 있다.
10
복잡한 모양의 백자 금강산모양 연적 내부 구조가
CT 촬영을 거치자 한 눈에 들어오는 모습이다.
윗면 석탑의 구멍 사이로 물과 공기가 들어가고
측면에 위치한 짐승의 입에서
물이 나오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11
조상들의 과학적 지혜도 엿볼 수 있다.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이란 뜻의 계영배(戒盈杯)는
그 이름처럼 잔이 어느 정도 채워지면
저절로 물이 빠져나가 수위를 유지한다.
12
이는 양변기, 커피 추출기 등에 쓰이는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매화가지 모양의 원통형 관이
안쪽 면부터 바깥 면까지 연결돼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이펀(siphon)=기압차와 중력을 활용해 높은 곳의 액체를 낮은 곳으로 옮기는 원통형 관
13
이렇게 눈에 안 보이는 빛들은
문화재의 비밀을 밝혀주는 중요한 열쇠이자
그 보존을 위한 핵심 도구이기도 하다.
첨단 과학기술과 전통 문화재의 만남이
앞으로도 서로에게 유익한 관계가 되길 기원해 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별종 동물’ 오리너구리의 비밀, DNA에 있다
- 1 세상에서 가장 특이한 생물은 무엇일까? 아마도 상당수는 오리너구리를 꼽을 것이다. 포유류와 파충류, 조류를 모두 섞어놓은 듯한 외모와 습성을 지녔기 때문. 2 포유류인 오리너구리는 이름 그대로 오리와 너구리 등 여러 생물을 섞은 외모를 가졌다.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발은 수달과 비슷하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
- 슬그머니 일상으로 들어오는 AI, 사생활 노출도 스르륵?!
- 1 출시 20여 일만에 75만 명의 이용자를 모으는 등 10대들을 상대로 선풍적 인기를 끌던 AI 챗봇 ‘이루다’가 지난 1월 12일 돌연히 사라졌다. 성희롱, 성소수자 혐오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이다 결국 서비스 중단에까지 이르게 된 것 2 특히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결정타였다. 학습 재료였던 특정 앱에서의 대화가 유출됐다는 논란에 휩싸이며...
-
- 왜 우리는 다른 인종을 차별할까?
- 1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시작된 미국의 인종차별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프랑스, 호주, 이탈리아 등 관련 시위가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모습이다. 2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피부색에 따라 사람을 차별할까? 지금껏 뇌과학, 사회학 등 수많은 분야 학자들이 그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3 그중 심리학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