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얼음 활용한 독성물질 제거 기술 개발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18호 2021년 02월 08일극지연구소에서 얼음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반응을 활용해 독성·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유용한 물질을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극지연구소와 한림대학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CALTECH), 캘리포니아 어바인대학(UC어바인)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크롬과 요오드가 섞인 액체를 얼리면 발암물질인 크롬의 독성이 감소하고 요오드는 산업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바뀌는 것을 확인했다.
화학반응은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크롬과 요오드 혼합 액체가 얼면서 반응속도가 빨라져 크롬의 독성이 약 20분 만에 거의 사라졌다. 아울러 요오드는 산업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바뀌었다.
크롬과 요오드의 혼합 액체는 LCD(액정표시장치) 공장에서 배출하는 폐수와 비슷한 성분이어서 연구팀은 이번 결과를 산업현장에서 폐수 처리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기태 극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산업폐수 처리와 유용자원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얼음의 특별한 반응이 확인된 것”이라면서 “얼음의 정화 기능이 다른 물질들에서도 작동하는지 연구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농산물 잔류농약 500여 종을 3시간 만에 검사한다
- 신선도가 생명인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히 가려내는 검사 방법이 개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공동연구를 통해 농약 511종을 3시간 안에 분석할 수 있는 신속 검사법을 개발해 농산물의 생산·유통·수입 단계 검사에 모두 적용한다. 농산물은 생산, 유통, 소비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NASA, 화성탐사선 인사이트 발사
- 화성의 ‘속살’에 파고 들어가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지진의 존재 여부를 밝힐 탐사선이 발사됐다. 인사이트는 6개월간의 비행 끝에 오는 11월 26일 화성 엘리시움 평원에 착륙해 본격적인 임무 수행에 돌입한다. 화성의 생명체 흔적을 찾던 기존의 화성 탐사선과 달리 인사이트는 화성의 지각 구조 및 열 분포 등 화성의 ‘내부’ 연구에 주력하도록 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