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옷 마찰력으로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소자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689호 2021년 10월 11일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연구팀이 옷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 스스로 전기를 생성하는 ‘나노발전기’와 만들어진 전기를 저장하고, 이를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공급해 주는 자가충전 전원공급 소자를 개발했다.
웨어러블 전자 기기는 옷, 신발, 시계 등의 다양한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지만 매번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기기 자체가 전력원이 되어 전기를 스스로 생산하고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마찰 전기로 발전하는 ‘마찰 전기 나노발전기’가 개발된 적은 있었지만, 안정적으로 전기를 저장하고 전달해 전원을 공급하는 통합 소자가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ERI 연구원팀은 10년 이상 축적해 온 나노융합 기술을 기반으로,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물성을 가진 ‘단일벽탄소나노튜브’를 신축성 있는 고분자와 효과적으로 섞는 방식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전류를 전달하고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테스트 결과 이 소자는 모든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고, 1만 회 이상 사용해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났다.
이 기술은 앞으로 군사용이나 레저용으로 중요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에 참여한 박종환 KERI 책임연구원은 “마찰력으로 인한 전기의 생산부터 저장, 그리고 공급까지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자를 완전 신축형으로 제작한 세계 최초의 성과”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나노 에너지(Nano Energy)’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누에 단백질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인공 심장판막 개발
-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 내는 천연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인공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는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심장판막 4개는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이어폰 없이 혼자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울퉁불퉁 도로의 포트홀, 해바라기유로 고친다?
-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보조배터리, 이젠 안녕! 호주머니에 넣고 충전하는 시대가 온다?
- [과학향기 Story] ‘화마’ 불러오는 전기차 화재…피해 심각한 이유는?
- [과학향기 Story] 스치는 빗방울까지 전기로 쓴다?
- [과학향기 Story] 점점 더워지는 여름, 건물 온도를 낮출 방법은?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과학향기 Story] 영원의 상징 다이아몬드, 실험실에서 만든다?
utrgfrhjihigguiohohjk
2021-11-09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