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초소형 센서용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 재료
<KISTI의 과학향기> 제3402호 2019년 08월 07일러시아 SPbPU(Peter the Great St.Petersburg Polytechnic University),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체코 공화국 화학기술 연구소(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의 연구진은 고체상태의 박막 리튬 이온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마이크로소자 및 나노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진은 니켈 산화물 기반의 전극 물질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그리고 박막 물질의 충전/방전 과정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조사했다. 전극 물질은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을 사용해서 만들어졌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휴대 전화, 노트북, 무선 센서, 맥박 조정기 등과 같은 다양한 마이크로 및 나노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박막 전류 공급원을 사용해서 작동된다. 장치가 작을수록 더 소형 전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원에 사용되는 재료는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되어서 추가적인 충전 없이 더 오랫동안 작동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진은 새로운 공정을 접목시켜서 이것을 가능하게 했다.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니켈 산화물 기반의 전극 물질을 만들 수 있었고, 이 물질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산소 플라즈마는 역-반응물(counter-current)로 사용되었다. 박막은 분광 타원법(Spectroscopic Ellipsometry), 주사 전자 현미경, 원자 힘 현미경, X-선 회절, X-선 반사율 측정, 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서 조사되었다. NiCp2의 증착 최적 온도는 200-300℃이지만, 원자층 증착 사이클 당 최적의 Ni(MeCp)2 성장은 250–300℃에서 0.011–0.012 nm이었다. 이 박막은 300℃에서 NiCp2와 산소 플라즈마를 사용해서 증착되었다.
향후에는 박막 전지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재료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게 되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고체 박막 리튬 이온 전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Coatings에 “Atomic Layer Deposition of NiO to Produce Active Material for Thin-Film Lithium-Ion Batteries”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https://doi.org/10.3390/coatings9050301).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한반도에서 발견된 거대한 운석 충돌구
- 경남 합천군 초계면과 적중면에는 약 7km 직경의 수수께끼의 분지가 있다. 여기서 분지란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은 평평한 지역을 뜻한다. 분지는 보통 지각의 구조 운동이나 침식을 통해 생성되나 아주 극적인 원인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로 운석 충돌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적중-초계 분지는 운석 충돌로 생긴 것임을 확인했다. 이는 동아시...
-
- 추우면 감기 걸리는 이유 밝혀졌다!
- 추우면 감기 잘 걸리는 이유가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감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이지만, 추위에 체온이 내려가면 우리 몸이 바이러스 확산에 아주 좋은 환경으로 바뀌기 때문에 ‘추우면 감기에 걸린다’는 말도 일리가 있다는 것이다.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