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친구는 친구인 이유가 있다: 실제 유전자마저 비슷해
2018년 06월 20일유유상종(類類相從)
초록동색(草綠同色)
끼리끼리 어울린다는
오래된 지혜가 실제
과학임이 증명되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즈는
이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했다.
친한 친구일수록 뇌파가 비슷하다는 것.
미 대학 공동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42명에게
다양한 장르의 영상을 보여준 뒤
뇌 스캔 검사를 했다.
그 결과 친할수록
뇌파 반응이 비슷했다.
흥미로워 하거나 지루해 하는
장면이 거의 일치했다는 것.
연구진에 따르면 뇌파 반응만으로
친분정도를 예측 가능한 수준이라고 한다.
이렇게 비슷한 반응은 무엇 때문일까?
미 캘리포니아대와 예일대 공동 연구팀이
약 19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가 있다.
사람들의 유전자 정보를 조사해
친구와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의
유사성을 비교해 본 것.
그 결과 친구들은 실제로 유전자 정보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사람끼리 어울린다”는 옛 말이
증명된 것이다.
연구진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런 결과가 도출됐는지
명확하게 밝히진 못했다.
다만 유전자가 비슷한 사람들은
주변 환경 역시 비슷할 경우가 많으며,
자주 만날 가능성 또한 높아져 친해졌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내 편을 만드는 것은 소중한 일이다.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을 찾아
친구가 되는 것도 일종의 생존본능일 것이다.
문제는 생각이 비슷한 사람끼리만 뭉치면
편향적 인간이 되기 쉽다는 것.
특정 성향의 정보만 취사선택 가능한
SNS는 이를 더욱 증폭시킨다.
어쩌면 최근 우리 사회 곳곳에서 보이는
극단적 의견 표명은 이런 결과물이 아닐까?
우정도 좋지만 가끔은 다양한 시각을
견지하는 자세도 필요한 요즘이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별종 동물’ 오리너구리의 비밀, DNA에 있다
- 1 세상에서 가장 특이한 생물은 무엇일까? 아마도 상당수는 오리너구리를 꼽을 것이다. 포유류와 파충류, 조류를 모두 섞어놓은 듯한 외모와 습성을 지녔기 때문. 2 포유류인 오리너구리는 이름 그대로 오리와 너구리 등 여러 생물을 섞은 외모를 가졌다.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발은 수달과 비슷하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
- 슬그머니 일상으로 들어오는 AI, 사생활 노출도 스르륵?!
- 1 출시 20여 일만에 75만 명의 이용자를 모으는 등 10대들을 상대로 선풍적 인기를 끌던 AI 챗봇 ‘이루다’가 지난 1월 12일 돌연히 사라졌다. 성희롱, 성소수자 혐오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이다 결국 서비스 중단에까지 이르게 된 것 2 특히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결정타였다. 학습 재료였던 특정 앱에서의 대화가 유출됐다는 논란에 휩싸이며...
-
- 왜 우리는 다른 인종을 차별할까?
- 1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시작된 미국의 인종차별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프랑스, 호주, 이탈리아 등 관련 시위가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모습이다. 2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피부색에 따라 사람을 차별할까? 지금껏 뇌과학, 사회학 등 수많은 분야 학자들이 그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3 그중 심리학에서는...
내용은 재밌는데 결론이.. ㅋㅋ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환경적인 조건에 매몰되어 있던 과거에 비해 나와 접점이 없는 사람들의 의견을 볼 수 있게 된 현재가 오히려 다양한 시각을 가지기 좋아진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2018-06-2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