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코로나19 중증도 예측 시스템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699호 2021년 11월 15일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되면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가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 환자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구교철‧이광석 교수와 KAIST 경영대학 안재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역치 최적화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해 코로나19 환자의 최적 중증도 분류시스템을 개발했다. 환자의 성별과 체온, 심박수, 혈액 검사 결과 등을 입력하면 질병이 가장 악화됐을 때를 예측해주는 시스템이다.
연구팀은 2020년 1월부터 4월까지의 코로나19 환자 5601명을 대상으로 입원 중 최대 임상 중증도를 분석했다.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환자 임상자료도 활용했다. 이 데이터들을 이용해 AI 머신러닝 기술로 학습시킨 뒤 중증도 예측 모델을 구현했다. 그 결과, 기관 삽관, 인공심폐장치(에크모) 적용, 사망 등의 중증 질환으로 발전할 확률을 96.5%의 정확도로 예측했다. 이는 기존 해외 연구 결과의 정확도(77~91%)에 비해 높은 수치다.
연구팀은 이 모델을 활용하면 중환자실이 필요한 코로나19 환자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어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고, 사망률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MIR 의료정보학’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바닷속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성분 분해 미생물 발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화합물인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쓰이는 벤젠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특히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지난해 1월부터 옥시벤존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
- 미세 플라스틱 걱정 없는 생분해 소재 개발!
- 화장품, 비누, 치약 등 우리가 쓰는 많은 생활용품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로비즈’는 최대 지름이 5㎜ 이하인 미세 플라스틱 입자로, 세정력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사용 후에는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수생 동물 생태계에 위협이 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
-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 최근 자폐증을 앓고 있는 변호사가 주인공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자폐증에 대한 관심이 크다. 자폐증은 사회적 의사소통 결핍이나 이상, 반복적이거나 틀에 박힌 행동 문제가 유아 시절 시작돼 거의 평생 지속되는 뇌 신경 발달장애다. 아직까지 자폐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제도 없다. ...
이 주제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