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지구는 평평하다” 근거는 유튜브?!

2019년 04월 24일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1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2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3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4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5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6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7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8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09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10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11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12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13
  • 0424 카드뉴스 최종 200dpi 14
1
“인류는 사실 달에 가지 않았다.”
“셰익스피어는 가상의 인물이다.”
“에이즈는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생체무기다.”
 
세상에는 참 다양한 음모론이 존재한다.
 
2
지구 평면설 역시 유명한 음모론 중 하나다.
문제는 실제로 이를 진지하게 믿는 이가 적지 않다는 것.
 
10만 명에 달하는 ‘평평한 지구 학회(Flat Earth Society)’ 회원들이
‘평평한 지구 국제콘퍼런스’(FEIC)를 조직해
2017년부터 매년 국제학회를 개최할 정도다.
 
3
최근에는 유명 농구선수 카이리 어빙이
지구 평면설을 지지해 한동안 논란이 되기도 했다.
 
도대체 지구 평면설에 무슨 매력이 있길래
이렇게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을까?
 
4
그 비결(?)을 알기 위해
텍사스대 애쉴리 랜드럼 교수는
평평한 지구 학회 회원 30명을 인터뷰했다.
 
그 결과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5
바로 유튜브다.
 
영국 가디언 지에 실린 관련 보도에 따르면
그중 29명은 고작 2년 전까지만 해도 지구 평면설을 믿지 않았다.
 
그러다 관련 영상을 보고 생각을 바꾸게 된 것이다.
 
6
이들은 어떻게 지구 평면설 관련 동영상을 보게 됐을까?
 
정답은 간단하다.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추천 기능이다.
인터뷰에 응한 30명 대부분은 이미
9·11 테러, 달 착륙 음모론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한 전력이 있다.
 
7
유튜브는 시청자의 관심사를 파악해
자동으로 관련 동영상을 추천해 준다.
 
이는 시청자가 보다 오랫동안 유튜브에 머무르도록
붙잡아두는 알고리즘이다.
 
8
문제는 콘텐츠 자체의
신뢰도, 사실 여부 등은
고려사항이 아니라는 점이다.
 
때문에 유튜브는 각종 음모론 확산의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9
이에 유튜브 측은 지난 1월
“사용자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콘텐츠 추천을 줄일 것”
이라 밝혔다.
 
그러나 언제, 어떤 방향으로 알고리즘을 수정할 지는
아직 미지수다.
 
10
한편 랜드럼 교수는 음모론에 대항할
‘올바른 정보를 가진’ 동영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튜브의 영향력을 역이용하자는 발상이다.
 
11
그렇다면 유튜브의 발빠른 대처와
올바른 동영상 제작이 이뤄진다면
음모론 확산을 막을 수 있을까?
 
아마도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이다.
 
12
이는 SNS의 발달로 인해 사회에 확증편향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지구 평면설 신봉자들 역시
같은 생각을 가진 이들과 교류하면서
자신들의 신념을 뒷받침할 자료만을 공유한다.
 
확증편향=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만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내용은 무시하는 행동 경향
 
13
그렇다면 이대로 음모론 확산을 두고 볼 수밖에 없을까?
그럴 순 없다.
 
가짜 뉴스 해결을 위한 IT 기업의 정책 수립,
신고와 토론 참여 등 네티즌의 적극적인 정화 작용,
올바른 정보를 알리기 위한 학계와 언론의 노력 등
 
전 사회 구성원이 해결 의지를 보여야 할 때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