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호주 뒤덮은 거대 산불, 우연 아닌 필연?

2020년 02월 12일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1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2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3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4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5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6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7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8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9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0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1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2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3
  • 021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4
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상 최악이라는 미국 독감 등
 
2020년 벽두부터 수많은 재난들이
우리들을 위협하고 있다.
 
2
작년 9월부터 이어져 온 호주 산불 역시
마찬가지다.
 
화마에 휩쓸린 면적만 약 1,100만 헥타르.
우리나라 영토만 한 넓이가 불에 타버린 것이다.
 
4
동물들의 피해도 심각하다.
시드니대 생태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직접적으로 죽음을 당한 동물의 수는
10억 마리가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5
살아남은 개체들 역시 안심하긴 이르다.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파괴됐기에
생태계 복원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지
예상조차 어려운 수준이다.
 
6
게다가 이번 산불의 후폭풍은
대륙을 넘어 전해지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촬영 자료에 따르면
산불로 발생한 에어로졸(미세입자)들이 뉴질랜드를 넘어
남미대륙으로 넘어가는 모습이다.
 
 
7
문제는 이러한 에어로졸에
수많은 유기 화합물이 속해있다는 것이다.
일부 발암성 물질을 포함한 이들은
많은 생물에게 악영향을 끼치기 충분하다.
 
 
8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재앙이
[우연]이 아닌 [필연]에 가깝다는 점.
 
점점 더워지고 있는 지구가
이번 대화재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9
이번 산불이 이렇게 커진 이유로 꼽히는 것이
기록적인 가뭄과 고온이다.
 
실제 화마에 휩쓸린 지역 상당수가
작년부터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었다고 한다.
 
10
2018년 미국 서부 전체를 휩쓴 캘리포니아 산불,
2019년 아마존을 위협한 대화재 등
기록적 대화재가 늘어나는 것 역시
온난화와 무관하지 않다.
 
 
11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약 5000억 톤의 이산화탄가 매장된 북극 영구동토층 역시
온난화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일본-스위스 공동연구팀은
남동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산불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분석했다
 
12
그 결과 시베리아 지역 고기압이
비정상적으로 겨울의 온도를 높이고,
눈을 평소보다 빨리 녹여 지면이 건조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해당 지역 산불 확산에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13
가장 큰 문제는 이렇게 산불로 삼림이 훼손되고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면서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된다는 점이다.
 
온난화가 산불을 부르고, 산불이 온난화를 부르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14
결국 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인류는 물론 모든 생명체를 위협하는
대화재가 연례행사처럼 발생할지 모른다.
 
우리가 기후변화를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