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행복한 커플과 불행한 커플은 무엇이 다를까?: 사랑을 지속시키는 ‘마법의 비율’
2019년 04월 17일1
모두의 축하 속에 이어지는 두 사람의 키스,
결혼식은 많은 이들이 꿈꾸는 인생의 로망이다.
그러나 결혼에 골인한 모두가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은 아니다.
2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만
총 10만 8천 7백 건의 이혼이 일어났다.
같은 기간 혼인이 25만 7천 6백 건임을 감안하면
무려 40%에 달하는 수치다.
3
도대체 무슨 이유일까?
워싱턴 대학의 심리학자인 존 고트먼 박사는
1970년대부터 이 문제를 연구해 온 부부 심리학의 달인이다.
그는 14년간의 연구 끝에 약 93% 확률로
[어떤 커플이 이혼으로 끝을 맞이할지]를
알아맞추는 놀라운 비법을 발견했다.
4
고트먼 박사가 한 커플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단 15분.
그는 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해당 커플이 대화하는 모습을 관찰해
일종의 마법과도 같은 규칙을 발견했다.
5
핵심은 대화의 분위기.
행복한 커플과 불행한 커플의 차이는
[갈등 중에 얼마나 긍정적인 상호 작용과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달렸다는 것이다.
6
긍정적 상호작용이 부정적 상호작용보다 5배 이상 많으면
안정적이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반대로 긍정적-부정적 상호작용간 비율이
1:1에 가까울수록 이혼할 가능성이 높다.
7
그렇다면 행복한 결혼 생활을 보장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에는 무엇이 있을까?
8
흥미 가지기
불평을 할 때 관심을 갖고, 이를 들어주는 것.
고개를 끄덕이고, 눈을 마주치고, 적절히 리액션을
해 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9
애정 표현
갈등 상황에서도 스킨십을 하고,
사랑을 속삭이는 것은 중요하다.
서로간의 긴장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평소에도 꾸준히 스킨십을 하면 효과가 좋다.
10
사소한 일 챙기기
상대에 대한 나의 관심을 자주 행동으로 증명하라.
이러한 행동들이 오랜 시간 축적되면,
갈등 상황에서도 수월하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11
칭찬하기
상대방의 존경할만한 점을 찾아 말로 표현하라.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좋다.
부부 사이의 관계에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어줄 것이다.
칭찬 일기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2
합의하기
서로의 원하는 바를 파악하고, 합의를 시도하는 것은
“당신의 생각도 일리가 있어요”라는 공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사소한 갈등이라도 합의를 통해 해결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부부싸움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다.
13
공감하고 사과하기
공감과 사과는 모든 부부들이 가져야 할 심오한 소통 기술이다.
대화는 물론, 표정이나 몸짓을 통해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느낀다는 것을 보여주면
서로에게 긍정적인 느낌을 받을 것이다.
사과 역시 마찬가지다.
14
한편 부정적 요인들에는
경멸, 비난, 소통 단절, 방어기제가 있다.
특히 경멸과 비난으로 대화가 시작되는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그 커플은 헤어진다.
15
고트먼 박사에 따르면,
서로에게 관심을 유지하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자세를 취하는 커플은
언제나 돈독한 관계를 유지한다고 한다.
결국 ‘관심’과 ‘존중’ 그리고 이를 ‘표현’하는 것이
사랑을 유지하는 비법인 것이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별종 동물’ 오리너구리의 비밀, DNA에 있다
- 1 세상에서 가장 특이한 생물은 무엇일까? 아마도 상당수는 오리너구리를 꼽을 것이다. 포유류와 파충류, 조류를 모두 섞어놓은 듯한 외모와 습성을 지녔기 때문. 2 포유류인 오리너구리는 이름 그대로 오리와 너구리 등 여러 생물을 섞은 외모를 가졌다. 부리는 오리, 꼬리는 비버, 몸통은 너구리, 발은 수달과 비슷하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
- 슬그머니 일상으로 들어오는 AI, 사생활 노출도 스르륵?!
- 1 출시 20여 일만에 75만 명의 이용자를 모으는 등 10대들을 상대로 선풍적 인기를 끌던 AI 챗봇 ‘이루다’가 지난 1월 12일 돌연히 사라졌다. 성희롱, 성소수자 혐오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이다 결국 서비스 중단에까지 이르게 된 것 2 특히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결정타였다. 학습 재료였던 특정 앱에서의 대화가 유출됐다는 논란에 휩싸이며...
-
- 왜 우리는 다른 인종을 차별할까?
- 1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시작된 미국의 인종차별 논란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프랑스, 호주, 이탈리아 등 관련 시위가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모습이다. 2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피부색에 따라 사람을 차별할까? 지금껏 뇌과학, 사회학 등 수많은 분야 학자들이 그 원인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3 그중 심리학에서는...
재밌네요 ㅋㅋ
2019-04-1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