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소변으로 간단하게 전립선암 진단한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24호 2023년 01월 23일연세대학교 신용 생명공학과 교수와 이대비뇨기병원 김청수 교수팀이 소변 유래 순환 RNA를 농축 및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분리된 순환 RNA를 분석해 전립선암 진단 바이오마커 패널을 만들었다.
암 조기진단과 예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비침습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혈액이나 소변 등 체액에 있는 핵산을 분석하는 액체 생검 기술이 주목받는다. 특히 암세포가 사멸하며 체액으로 방출하는 순환 종양 핵산을 포함하는 순환 핵산은 암세포의 유전적 특성 및 변화를 분석해 종양 유무 및 현재 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관련 연구와 임상 적용이 활발하다.
그러나 체액 내 순환 핵산은 양이 극히 적고 암 진행 단계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순환 핵산을 고농도로 농축 및 분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컬럼(Spin-column)이나 자성 비드(Magnetic bead)를 이용한 방법들이 있지만, 샘플 사용 용량에 제한이 있고 크거나 복잡한 장비가 필요하며 시간 대비 분리 효율이 낮아 임상 적용에 어렵다.
연구팀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소변 유래 순환 RNA 농축 및 분리 기술인 'HAZIS-CirR'을 개발했다. HAZIS-CirR은 순환 RNA의 음전하(-) 및 핵 염기의 특성을 이용해 정전기적 힘과의 공유결합으로 양전하(+)로 코팅된 나노물질 표면에 순환 RNA를 포집하며, 마이크로 필터로 나노 물질을 여과해 순환 RNA를 농축 및 분리한다.
이 기술은 소요 시간이 20분 이내이고 장비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환자 시료 용량의 제한 없이 고농도의 순환 RNA를 분리할 수 있다.
연구진은 전립선암 및 전립선비대증 환자 89명과 정상인의 소변에서 유래된 순환 RNA를 농축 및 분리하고 이를 전립선암 진단 바이오마커로 활용 가능한지 분석했다.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암과 전혀 다른 질병이지만 증상이 유사해 정확한 진단을 통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그 결과 전립선비대증 환자와 정상인 사이에서 전립선암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6개의 miRNAs로 구성된 전립선암 진단 바이오마커 패널을 개발했다. HAZIS-CirR 기술로 전립선암 환자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음을 입증한 셈이다.
신용 교수는 "새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순환 핵산을 분리하고, 농축도 가능해 의료 현장에 적용되는 액체 생검 기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며 "암 환자의 예후 및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학술지 '생명공학과 중개의학(Bioengineering & Translational Medicine)'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움직이는 심장에 딱 달라붙는 심근경색 치료 패치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최이현 박사, 가톨릭대 의대 박훈준 교수‧김혁 박사, 홍콩시티대 반기원 교수팀은 온도감응성 나노섬유 막(membrane)을 기반으로 만든 인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시트를 심장에 이식해, 체내에서 활성화시켰다. 특히, 혈관내피시트를 줄기세포 시트와 함께 이식해 기존의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형성되는 혈관신생(angiog...
-
-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이유
- 비만인 사람에게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지방조직으로 작용하는 이유가 밝혀졌다. 지방조직은 위치에 따라 복강 내부에 존재하는 내장지방과 피부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으로 나뉜다. 비만 시 내장지방은 각종 대사질환 등 건강에 이상을 유발하는 해로운 지방조직인 반면, 피하지방은 이로운 지방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