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전립선암 조절 핵심 유전자 발견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87호 2021년 10월 04일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전립선암 진행을 조절하는 유전자 발굴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과 경북대 류재웅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립선암 관련 핵심 유전자인 ‘ZNF507’을 발견했다.
전립선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높고 암 전이율과 사망률 또한 높아 치료가 중요하다. 치료에 외과 수술, 호르몬 차단 요법, 일반 항암 치료를 많이 활용하지만, 장기간 치료하면 약물 저항성이 생겨 약효가 떨어지거나 완치되더라도 재발 사례가 많다.
연구팀은 경북대병원 비뇨기과학 교실 협조로 사람 전립선암 임상 시료를 분양받아 전립선암 조직 내 ZNF507이 정상적인 전립선 조직의 그것보다 매우 높게 발현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유전자가 전립선암에서 실제 높게 발현하며, 암이 악화할수록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 ZNF507 발현을 억제하면 암 증식과 군집 능력이 현저히 감소하고, 그로 인해 암이 다른 조직으로 이동·투과해가는 능력 또한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암세포가 스스로 죽는 ‘세포 자살’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ZNF507을 억제했을 때 암 발생과 전이가 감소하는 이유를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파악하는 데도 성공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바닷속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성분 분해 미생물 발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화합물인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쓰이는 벤젠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특히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지난해 1월부터 옥시벤존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
-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 최근 자폐증을 앓고 있는 변호사가 주인공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자폐증에 대한 관심이 크다. 자폐증은 사회적 의사소통 결핍이나 이상, 반복적이거나 틀에 박힌 행동 문제가 유아 시절 시작돼 거의 평생 지속되는 뇌 신경 발달장애다. 아직까지 자폐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제도 없다. ...
-
- 미세 플라스틱 걱정 없는 생분해 소재 개발!
- 화장품, 비누, 치약 등 우리가 쓰는 많은 생활용품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로비즈’는 최대 지름이 5㎜ 이하인 미세 플라스틱 입자로, 세정력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사용 후에는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수생 동물 생태계에 위협이 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