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뇌 절제 않고도 난치성 뇌전증 일으키는 유전자 찾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51호   2021년 05월 3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교수와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스테파니 볼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 조직 절제 없이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흔히 ‘간질’이라 불리는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이상 발작으로 반복적인 의식 소실과 경련, 인지기능 장애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뇌전증 환자의 25% 정도는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에 해당한다.
 
난치성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에만 국소적으로 생긴 체성 돌연변이(일반적인 생식 유전변이와 달리 수정 후 발생하는 체세포 유전변이)에 의해 일어난다. 최근 체액 등에 남은 ‘세포 유리 DNA'(혈장이나 뇌척수액, 소변 등 체액 속에서 발견되는 단편적으로 잘린 세포 속 DNA)를 이용해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뇌는 다른 장기와 달리 뇌혈관 장벽으로 막혀 있어 혈장에서는 세포 유리 DNA가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하려면 원인 유전자를 찾기 위해 뇌에서 병변 부위를 도려내는 수술을 해야 했다.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세포 유리 DNA에서 병인 돌연변이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이용해 유전자를 증폭, 이 가운데 3명의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서 평균 0.57%의 비율로 존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검출해 냈다.
 
수술 없이 척추 주사를 통해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최소한의 침습적인 방식으로도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교원 창업 기업 ‘소바젠’과 공동으로 난치성 뇌전증 치료제와 진단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