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 KISTI의 과학향기 제3015호2023년 12월 04일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역학의 근본 원리를 실험으로 증명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20...
자세히 보기
전 세계 통신을 위한 우주 인터넷, ‘머스크 vs 베이조스’로 격돌 중
전 세계 통신을 위한 우주 인터넷, ‘머... KISTI의 과학향기 제3913호2023년 11월 27일
전 세계가 6G 이동통신 서비스의 주도권을 먼저 잡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에 인공위성 통신...
자세히 보기
‘삭센다에서 위고비, 마운자로까지’ 없어서 못 판다는 비만치료제 돌풍
‘삭센다에서 위고비, 마운자로까지’ 없어... KISTI의 과학향기 제3911호2023년 11월 20일
비만을 질병으로 보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97년 ‘비...
자세히 보기
국내 최초 럼피스킨 확산에 축산업 ‘비상’, 무슨 병이길래?
국내 최초 럼피스킨 확산에 축산업 ‘비상... KISTI의 과학향기 제3909호2023년 11월 13일
우리나라 축산농가와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10월 19일, 충남 서산 부석면 한우 ...
자세히 보기
고양이가 참치에 현혹된 이유, 유전자 때문이다?
고양이가 참치에 현혹된 이유, 유전자 때... KISTI의 과학향기 제3907호2023년 11월 06일
고양이는 참치를 매우 좋아한다. 참치 캔을 따기만 해도 냄새를 맡고 멀리서 조르르 달려올 정도...
자세히 보기
'스토리' 에는 총 2,271의 글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RSS
영화 <오펜하이머> 개봉: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의 파란만장한 인생
영화 <오펜하이머> 개봉: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의 파란만장한 인생
KISTI의 과학향기 제3883호2023년 08월 14일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39년, ‘핵분열 연쇄반응’이 발견됐다. 원자의 핵이 분열하면서 ...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81호2023년 08월 07일
‘한여름 밤의 술’은 단연 맥주다. 열대야의 그늘 아래 시원한 맥주 한 모금은 하루 종일 무더...
남성성을 결정하는 Y염색체, 암도 결정한다?
남성성을 결정하는 Y염색체, 암도 결정한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79호2023년 07월 31일
사람은 23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그중 22쌍은 서로가 같은 상염색체, 나머지 한 쌍인 ...
[과학향기 호러 특집] 우리가 귀신 보는 이유? 귀신을 ‘만들 수도’ 있다?
[과학향기 호러 특집] 우리가 귀신 보는 이유? 귀신을 ‘만들 수도’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77호2023년 07월 24일
“재밌는 얘기 해 줄까? 장화홍련전은 진짜로 있었던 일이야. 조선 효종 때 전동흘이라는 사람이...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에서 약 만드는 시대 온다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에서 약 만드는 시대 온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75호2023년 07월 17일
우주에서 약을 만들어 지구로 가져오는 최초의 ‘우주 약 공장’ 실험이 시작됐다. 미국의 우주 ...
타이타닉호 잠수정 심해 속에 사라지다. 심해 생물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타이타닉호 잠수정 심해 속에 사라지다. 심해 생물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873호2023년 07월 10일
2023년 6월 16일, 잠수정 타이탄이 침몰한 타이타닉호의 잔해를 관찰하기 위해 조종사 한 ...
버려진 기저귀로 친환경 콘크리트 집 짓는다?!
버려진 기저귀로 친환경 콘크리트 집 짓는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71호2023년 07월 03일
기저귀는 아기가 태어난 첫해만으로도 2500~3000개가 사용되고 버려진다. 당장 미국에서만 ...
대변 모으는 은행 있다? 인류를 지킬 데이터 모으기의 세계
대변 모으는 은행 있다? 인류를 지킬 데이터 모으기의 세계
KISTI의 과학향기 제3869호2023년 06월 26일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 많아>라는 책 제목처럼, 우리 몸속에는 미생물이 약 39조 개 산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