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동영상' 에는 총 건의 글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RSS
- 좋아요1 외계행성, "이렇게" 찾았다
- KISTI의 과학향기 제1902호2022년 11월 07일
- 별은 스스로 빛을 내지만 행성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과학자들은 외계행성을 어떻게 찾는 걸까요? 먼저 직접 관측해서 찾아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매우 간단할 것 같지만, 사실 가장 어렵고 제한이 큰 방법입니다. 외계행성이 공전하는 중심별의 밝기가 행성보다 수백만 배 밝기 때문에 행성을 직접 관측해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죠. 그래서 대부분의 외계행성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됐습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과 테스 우주망원경은 ‘...
- 좋아요1 페르미 역설 – 외계인은 모두 어디에? (2편) 해답과 발상
- KISTI의 과학향기 제1901호2022년 10월 31일
-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지구에 있는 모래 알갱이 수의 만 배나 되는 별이 있을 것입니다. 행성은 수조 개가 있겠죠. 그럼 외계인은 다 어디 있는 걸까요? 이게 바로 페르미 역설입니다. 더 알고 싶으시면 1부를 보세요. 이 영상에서는 페르미 역설을 여러 방법으로 풀어 볼 것입니다. 우리는 멸종할까요, 아니면 영광스러운 미래를 맞이할까요? 우주 여행은 어렵습니다. 가능은 하지만 다른 별로 여행한다는 것은 거대한 도전입니다. 엄청난 양의 물자를 궤도에 올리고 조립해야 합니다. 충분히 많...
- 좋아요0 페르미 역설 – 외계인은 모두 어디에? (1편)
- KISTI의 과학향기 제1900호2022년 10월 17일
- 우리가 우주에서 유일한 생명체 일까요 관측 가능한 우주는 지름이 900억 광년으로 1000억 개의 은하를 품고 있고 각 은하에는 1000억에서 1조 개의 별이 있습니다. 최근 우리는 행성도 매우 흔하다 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도 수 십 수백 조 개는 될 겁니다. 그럼 생명이 생겨날 기회도 엄청 많겠네요. 그렇죠? 그럼 그 생명체들은 어디 있을까요? 우주는 우주선으로 가득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잠시 물러나 살펴봅시다. 다른 은하에 외계 문명이...
- 좋아요0 제2의 지구 찾을 수 있을까? 태양계 밖 외계행성
- KISTI의 과학향기 제1899호2022년 10월 03일
- 지난 3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인류가 발견한 외계행성의 수가 5000개를 돌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류는 어떻게 외계행성을 찾아왔을까요? 외계행성은 태양이 아닌 다른 별을 공전하는 행성입니다. 1992년,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천문대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가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에서 중성자별 주위를 공전하는 2개의 외계행성을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외계행성은 지상관측에 의존했기 때문에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다 2009년, 케플러 우주...
- 좋아요1 [과학향기 영상공모이벤트] 영상 제작이 어렵다면? 이 가이드 영상을 참고하세요!
- KISTI의 과학향기 제1898호2022년 09월 28일
- 좋아요0 지구에서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
- KISTI의 과학향기 제1897호2022년 09월 19일
- 1970년대 유럽에서는 수천 개의 닭 머리가 하늘에서 내려 동물들을 행복하게 했습니다. 왜일까요? 이 닭 머리는 인류가 아는 것 중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1930년대부터 광건병이 유럽의 야생동물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었고 인간들은 이 바이러스를 마침내 없애버리고 싶어했습니다. 광건병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광기의 여신인 리사의 이름에서 유래했고, 적어도 4000년간 우리를 괴롭혀왔습니다. 동물들을 뿔난 짐승으로 만들고 인간은 물을 무서워하는 좀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