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벌레냐 똥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식충식물 네펜데스의 고민
2023년 03월 27일1
KISTI의 과학향기
벌레냐 똥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식충식물
네펜데스의 고민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벌레냐 똥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식충식물
네펜데스의 고민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식물은 광합성으로 태양에너지를
생물의 에너지원으로 바꿀 수 있다.
식물은 광합성으로 태양에너지를
생물의 에너지원으로 바꿀 수 있다.
이들이 없다면 지구 생태계 대부분은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3
하지만 모든 식물이
광합성에 무조건 의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모든 식물이
광합성에 무조건 의지하지는 않는다.
일명 [식충식물]이라 불리는
특이종들은 작은 무척추동물을 포획해
삶에 필요한 양분을 얻는다.
특이종들은 작은 무척추동물을 포획해
삶에 필요한 양분을 얻는다.
4
벌레잡이통풀이라고도 불리는
네펜데스는 대표적인 식충식물 중 하나다.
벌레잡이통풀이라고도 불리는
네펜데스는 대표적인 식충식물 중 하나다.
깊숙한 통 속으로 벌레를 유인하고
이들을 소화해 질소와 영양소를 얻는다.
이들을 소화해 질소와 영양소를 얻는다.
혹시 모를 탈주를 대비해
뚜껑을 갖추는 치밀함도 잊지 않았다.
뚜껑을 갖추는 치밀함도 잊지 않았다.
5
그런데 이런 네펜데스 중
좀 더 특이한 식성으로 주목받는 녀석들이 있다.
그런데 이런 네펜데스 중
좀 더 특이한 식성으로 주목받는 녀석들이 있다.
자기 몸을 변기처럼 활용해
포유류의 배설물을 포획하는 것이다.
포유류의 배설물을 포획하는 것이다.
6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열대우림 중에서도
해발 2,200m 이상 고고도 봉우리는
다른 생태계가 적용되는 지점이다.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열대우림 중에서도
해발 2,200m 이상 고고도 봉우리는
다른 생태계가 적용되는 지점이다.
먹이가 적어 곤충들의 숫자도
줄어드는 것이다.
줄어드는 것이다.
7
식충으로 영양분을 획득하는
네펜데스 역시 영향을 받는다.
식충으로 영양분을 획득하는
네펜데스 역시 영향을 받는다.
결국 이들은 포유류의 배설물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생존전략을 바꿨다.
생존전략을 바꿨다.
8
방법도 다양하다.
방법도 다양하다.
네펜데스 햄슬레야나는 음파로 사물을 인식하는
박쥐 맞춤형으로 모습을 구성했다.
박쥐 맞춤형으로 모습을 구성했다.
또 최적화된 각도로 음파를 선명히 반사 시켜
박쥐가 쉽게 찾아오도록 자신을 꾸몄다.
박쥐가 쉽게 찾아오도록 자신을 꾸몄다.
9
네펜데스 로위는 자기 모습을
변기와 비슷하게 변화시켰다.
네펜데스 로위는 자기 모습을
변기와 비슷하게 변화시켰다.
그 크기는 고고도 보르네오 숲의 터줏대감인
나무두더지와 절묘하게 들어맞는다.
나무두더지와 절묘하게 들어맞는다.
10
여기서 끝이 아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네펜데스 로위는 뚜껑에
단맛을 내며 배변 활동을 촉진하는
하얀 물질을 준비했다.
단맛을 내며 배변 활동을 촉진하는
하얀 물질을 준비했다.
나무두더지는 편안한 자세로 이 물질의 단맛을 음미하며
자연스레 볼일을 본다.
자연스레 볼일을 본다.
11
이런 궁여지책은 벌레 흡수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궁여지책은 벌레 흡수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 식물학술지 [애널스 오브 보타니]에 따르면
변기가 된 네펜데스가 식충 네펜데스보다
질소 농축도가 훨씬 높다는 것이다.
변기가 된 네펜데스가 식충 네펜데스보다
질소 농축도가 훨씬 높다는 것이다.
12
시드니 왕립식물원을 중심으로 한 국제연구팀은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식충 네펜데스와
변기 네펜데스의 질소를 비교해 보았다.
시드니 왕립식물원을 중심으로 한 국제연구팀은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식충 네펜데스와
변기 네펜데스의 질소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변기 네펜데스가 2배 넘는 수치를 기록해
배설물 흡수에 크게 효율적인 것으로 나왔다.
배설물 흡수에 크게 효율적인 것으로 나왔다.
13
엽록소의 주요 성분인 질소는
식물 생장에 매우 중요하다.
엽록소의 주요 성분인 질소는
식물 생장에 매우 중요하다.
질소를 많이 흡수한다는 것은
그만큼 생장에 유리한 성질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생장에 유리한 성질이라 할 수 있다.
14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전문화를 통해 영양적인 이득을 극대화한 것”
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전문화를 통해 영양적인 이득을 극대화한 것”
이라고 분석했다.
극한 환경에서의 진화와 다양성 발현이
생명이라는 자연의 신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것 같다.
생명이라는 자연의 신비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것 같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고통은 우릴 더 강하게 할 뿐이다” 북극곰, 온난화 적응하나?
- 더 깊은 바닷속으로 서식지를 옮기는 오징어, 점차 날개가 길어지고 몸집은 작아지는 철새, 원활한 호흡을 위해 지느러미를 부채질하는 남극빙어…. 전 지구적 재앙인 온난화에 맞서 생물들도 나름의 대응책을 제시하며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과학기술이 해결해야 할 지구의 10가지 과제는?
- 1 인류는 과학기술을 활용하면서 눈부신 문명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빈부격차, 환경오염 등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남아있다. 2 때문에 많은 과학기술자들은 오늘도 과학으로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고자 노력 중이다. 기술전문지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가 제시한 [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10가지 글로벌 과제]를 제시를 ...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