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노벨상과 자살로 얽힌 두 명의 ‘피셔’ 이야기
<KISTI의 과학향기> 제620호 2007년 06월 27일
1945년 3월 31일, 한 남자가 자살했다. 그는 얼마 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생화학자였다. 그가 받은 상금도, 그의 명예도 부검실에 놓인 차가운 시체 앞에선 모두 한줌의 꿈에 불과했다. 그의 이름은 한스 피셔.
이로부터 28년 전인 1919년 7월 15일, 한 남자가 자살했다. 그 역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화학자였다. 그의 이름은 에밀 피셔. ‘피셔’(Fischer)라는 이름을 가진 노벨 화학상 수상자 둘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에밀 피셔가 자살하기 10년 전, 그의 옆에는 한스 피셔가 조수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사실. 만나기 전까지 그들은 아무 혈연관계도 없는 타인이었다. 대체 무엇이 두 명의 피셔를 같은 운명으로 몰아넣은 것일까?
에밀 피셔는 1852년 10월 9일 프로이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따라 독일로 이주한 그는 1881년부터 퓨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퓨린은 DNA의 성분을 만드는 중요한 물질이다. 여러 가지 질소화합물과 퓨린의 관계를 밝혀내고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퓨린을 합성해냈다.
우리가 많이 먹는 동식물에도 퓨린과 유사한 화합물이 많이 포함돼 있다. 특히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육류, 고등어와 멸치같은 등푸른 생선,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콩 등이다. 하지만 퓨린이 너무 많으면 몸에 요산이 쌓여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통풍’에 걸릴 수 있다. 중요한 물질이지만 과다 섭취하면 몸에 안 좋다는 얘기다.
그는 또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당을 연구해 당시 알려진 모든 당의 분자구조를 결정했다. 작대기와 원소 기호를 이용해 3차원의 복잡한 분자구조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피셔 투영법’도 그가 만든 것이다. 유기화학 책에 널린 탄소-수소-질소의 연결을 공부하면서 ‘대체 이런 건 누가 만들어낸 거야!’며 머리를 쥐어뜯는 학생들에겐 별로 안 반가운 얘기겠지만, 생화학 분야에서 그의 연구는 환영받았다. 결국 1902년 스웨덴의 노벨상 협회는 당과 퓨린기에 대한 그의 연구를 인정해 노벨 화학상을 수여했다.
노벨상 외에도 그의 수상 경력은 화려했다. 1890년에는 영국 왕립학회에서 메달을 받았고, 1899년에는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됐다. 또한 그가 죽은 1919년에는 독일 화학회에서 에밀 피셔 기념 메달을 만들기도 했다.
에밀 피셔가 연구에 매달릴 때 그의 옆에는 한스 피셔가 있었다. 한스는 1881년 7월 27일 독일 마인강 유역의 회이스트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화학과 의학 서적을 즐겨 읽었던 그는 1904년 화학 박사 학위를, 1906년에는 의사 자격증을 딴 수재였다. 1908년 뮌헨대에서 의학박사를 딴 그는 베를린대로 가서 1910년까지 3년간 에밀 피셔의 조수로 일했다.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피셔가 드디어 인연을 맺은 것이다.
1930년 한스는 적혈구 색소인 헤민과 클로로필의 구조를 연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혈액이 붉은 이유는 적혈구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만나 산화되면 메타헤모글로빈이 된다. 메타헤모글로빈 안에 있는 색소 헤마틴이 산과 결합한 것이 헤민이다.
헤민은 범죄 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SI 등의 과학수사물을 보면 혈흔을 알아보기 위해 루미놀이라는 액체를 뿌리는 장면이 나온다. 루미놀과 만난 혈액은 파란색 형광빛을 내며 ‘여기 피가 있어요’라고 속삭인다. 이는 루미놀 안에 있는 과산화수소와 헤민의 만남이 빚어낸 현상이다. 과산화수소가 헤민을 건드리면 헤민의 산소가 떨어져나가 루미놀을 산화시킨다. 이 때 루미놀의 남은 전자들이 들뜬 상태가 됐다가 가라앉으며 푸르스름한 빛을 내는 것이다. 한스가 루미놀 반응까지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헤민에 대한 그의 연구가 없었더라면 CSI는 아직까지 피냄새를 직접 맡으며 돌아다녀야 했을 지도 모른다.
서로 다른 지역에서 태어나 다른 대학을 졸업하고 비슷하지만 다른 연구를 한 두 피셔. 그러나 사제관계와 노벨 화학상으로 한 번 맺어진 이들의 인연은 둘 다 자살함으로써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끈질기게 이어졌다.
에밀 피셔는 1차 세계대전 중 두 아들이 전사하고 아내도 세상을 떠나자 자살을 결심했다. 한스 피셔는 2차 세계대전 중 폭격을 받아 연구실이 무너지자 삶의 의지를 잃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결국 두 사람의 연속 자살은 전쟁이 낳은 비극이었던 셈이다. 이로서 두 피셔는 과학자를 위한 명예의 전당과 자살한 위인을 위한 불명예(?)의 전당에 동시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1973년 또 다른 피셔가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금속과 유기물질의 결합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로 상을 받은 그의 이름은 에른스트 오토 피셔. 그 역시 앞의 두 피셔와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다. 피셔의 저주가 한스 대에서 끝났기를, 그래서 아직까지 멀쩡하게 잘 살아있는 오토 피셔가 천수를 다 누리고 명예의 전당에만 그 이름을 올리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다. (글: 김은영 과학칼럼니스트)
이로부터 28년 전인 1919년 7월 15일, 한 남자가 자살했다. 그 역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화학자였다. 그의 이름은 에밀 피셔. ‘피셔’(Fischer)라는 이름을 가진 노벨 화학상 수상자 둘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에밀 피셔가 자살하기 10년 전, 그의 옆에는 한스 피셔가 조수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사실. 만나기 전까지 그들은 아무 혈연관계도 없는 타인이었다. 대체 무엇이 두 명의 피셔를 같은 운명으로 몰아넣은 것일까?
에밀 피셔는 1852년 10월 9일 프로이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따라 독일로 이주한 그는 1881년부터 퓨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퓨린은 DNA의 성분을 만드는 중요한 물질이다. 여러 가지 질소화합물과 퓨린의 관계를 밝혀내고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퓨린을 합성해냈다.
우리가 많이 먹는 동식물에도 퓨린과 유사한 화합물이 많이 포함돼 있다. 특히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육류, 고등어와 멸치같은 등푸른 생선,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콩 등이다. 하지만 퓨린이 너무 많으면 몸에 요산이 쌓여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통풍’에 걸릴 수 있다. 중요한 물질이지만 과다 섭취하면 몸에 안 좋다는 얘기다.
그는 또 포도당과 과당 같은 당을 연구해 당시 알려진 모든 당의 분자구조를 결정했다. 작대기와 원소 기호를 이용해 3차원의 복잡한 분자구조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피셔 투영법’도 그가 만든 것이다. 유기화학 책에 널린 탄소-수소-질소의 연결을 공부하면서 ‘대체 이런 건 누가 만들어낸 거야!’며 머리를 쥐어뜯는 학생들에겐 별로 안 반가운 얘기겠지만, 생화학 분야에서 그의 연구는 환영받았다. 결국 1902년 스웨덴의 노벨상 협회는 당과 퓨린기에 대한 그의 연구를 인정해 노벨 화학상을 수여했다.
노벨상 외에도 그의 수상 경력은 화려했다. 1890년에는 영국 왕립학회에서 메달을 받았고, 1899년에는 왕립학회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됐다. 또한 그가 죽은 1919년에는 독일 화학회에서 에밀 피셔 기념 메달을 만들기도 했다.
에밀 피셔가 연구에 매달릴 때 그의 옆에는 한스 피셔가 있었다. 한스는 1881년 7월 27일 독일 마인강 유역의 회이스트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화학과 의학 서적을 즐겨 읽었던 그는 1904년 화학 박사 학위를, 1906년에는 의사 자격증을 딴 수재였다. 1908년 뮌헨대에서 의학박사를 딴 그는 베를린대로 가서 1910년까지 3년간 에밀 피셔의 조수로 일했다.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피셔가 드디어 인연을 맺은 것이다.
1930년 한스는 적혈구 색소인 헤민과 클로로필의 구조를 연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혈액이 붉은 이유는 적혈구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만나 산화되면 메타헤모글로빈이 된다. 메타헤모글로빈 안에 있는 색소 헤마틴이 산과 결합한 것이 헤민이다.
헤민은 범죄 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SI 등의 과학수사물을 보면 혈흔을 알아보기 위해 루미놀이라는 액체를 뿌리는 장면이 나온다. 루미놀과 만난 혈액은 파란색 형광빛을 내며 ‘여기 피가 있어요’라고 속삭인다. 이는 루미놀 안에 있는 과산화수소와 헤민의 만남이 빚어낸 현상이다. 과산화수소가 헤민을 건드리면 헤민의 산소가 떨어져나가 루미놀을 산화시킨다. 이 때 루미놀의 남은 전자들이 들뜬 상태가 됐다가 가라앉으며 푸르스름한 빛을 내는 것이다. 한스가 루미놀 반응까지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헤민에 대한 그의 연구가 없었더라면 CSI는 아직까지 피냄새를 직접 맡으며 돌아다녀야 했을 지도 모른다.
서로 다른 지역에서 태어나 다른 대학을 졸업하고 비슷하지만 다른 연구를 한 두 피셔. 그러나 사제관계와 노벨 화학상으로 한 번 맺어진 이들의 인연은 둘 다 자살함으로써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끈질기게 이어졌다.
에밀 피셔는 1차 세계대전 중 두 아들이 전사하고 아내도 세상을 떠나자 자살을 결심했다. 한스 피셔는 2차 세계대전 중 폭격을 받아 연구실이 무너지자 삶의 의지를 잃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결국 두 사람의 연속 자살은 전쟁이 낳은 비극이었던 셈이다. 이로서 두 피셔는 과학자를 위한 명예의 전당과 자살한 위인을 위한 불명예(?)의 전당에 동시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1973년 또 다른 피셔가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금속과 유기물질의 결합 메커니즘을 밝혀낸 공로로 상을 받은 그의 이름은 에른스트 오토 피셔. 그 역시 앞의 두 피셔와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다. 피셔의 저주가 한스 대에서 끝났기를, 그래서 아직까지 멀쩡하게 잘 살아있는 오토 피셔가 천수를 다 누리고 명예의 전당에만 그 이름을 올리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다. (글: 김은영 과학칼럼니스트)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내 솜씨 어때” 125년 만에 밝혀진 소변 색의 비밀은?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 [과학향기 Story] 원두 갈기 전, 물 “칙칙” 찐~한 커피 만드는 과학적 비법
- ‘누나’가 만들어낸 희소성 만점 핑크 다이아몬드, 비결은 초대륙 충돌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고양이가 참치에 현혹된 이유, 유전자 때문이다?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 [과학향기 호러 특집] 우리가 귀신 보는 이유? 귀신을 ‘만들 수도’ 있다?
잘 읽었어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9-04-09
답글 0
퓨린이 콩과 멸치에도 많이 들어있다는 것은 저에게는 놀라운 사실입니다. 나이가 들어서 관절염을 예방한다고 멸치를 열심히 먹는 사람을 저의 주변에서 보았거든요. 그리고 저는 콩 종류의 음식을 무척 좋아하고요.
2007-08-11
답글 0
결국 독일의 세계대전 일으킨 것과 관련있군요. 재밌게 읽었습니다.
2007-08-04
답글 0
과학자의 자살에관한 미스테리 잘봤습니다
앞으로더좋은정보부탁드립니다
2007-07-26
답글 0
헤민의 발견으로 범죄수사에도 도움이 된다니 신기했어요. 루미놀액체를 이용한 피의 검출..; 과학 지식을 이렇게 쌓게 도와주셔서 감사해요!
2007-07-16
답글 0
저도 이글 제 블로그에 올려도 되나요?
안되면 연락주세요,
출처는 www.yeskisti.net/ 하고 칼럼니스트 님 이름이랑 올리면 상관없나요?
제 메일 주손데요. formystarting.empal.com
2007-06-29
답글 0
어쩌면 글을 이렇게 재미나게 쓰시는지...^^
2007-06-28
답글 0
우와~ 정말 재밌는데요 오늘거?
2007-06-27
답글 0
오토 피셔, 만수무강하시기 바랍니다.
2007-06-27
답글 0
내 네이버 블로그에 복사해 갑니다.
2007-06-27
답글 0
피셔대가들의 수난 ㅋㅋㅋ
2007-06-27
답글 0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007-06-27
답글 0
좋은 정보 잘 읽었습니다~!!!!!
2007-06-2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