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대장균 이용해 의약품 선행물질 만든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12호 2021년 01월 18일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10가지 1차 아민을 생산할 수 있는 대장균 균주를 개발했다.
아민은 산업에 유용하게 쓰이는 화학 물질로 이번 기술은 석유 화학 공정이 아니라 바이오 기술로 생산하는 기술이다.
미생물 시스템 대사공학을 이용해 석유화학 공정으로 합성되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의약품과 농약 등의 선행물질(전구체)로 널리 쓰이는 짧은 탄소 길이의 1차 아민 생산은 성공한 적 없었다. 이는 1차 아민 화학물질의 생합성 대사회로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특정 화합물의 생합성 대사경로를 알아내고자 목표 화학 구조에 도착할 수 있는 선행물질을 역방향으로 예측하는 ‘역 생합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망한 대사회로를 찾아냈다.
이상엽 교수는 “실제 폐목재 바이오매스에 이번 기술을 적용해 1차 아민 생산량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며 “생산량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행성들도 태어날 때 ‘명당’ 찾아
- 행성들도 태어날 때 명당을 찾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애리조나대 일라리아 파스쿠치 교수와 영국 레스터대 리차드 알렉산더 박사 공동 연구팀은 태양과 같은 새로운 별이 만들어질 때 별에서 1~2AU 떨어진 위치에 태양계의 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 행성도 잘 만들어진다고 발표했다. AU는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천문학 거리 단위로...
-
- 소방관, 방화복 대신 웨어러블 로봇 입는다
- 웨어러블 로봇이 소방관들의 안전을 지키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사람이나 짐을 거뜬하게 짊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기과 불이 자욱한 현장에서도 주변을 정확하게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