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대장균 이용해 의약품 선행물질 만든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612호 2021년 01월 18일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10가지 1차 아민을 생산할 수 있는 대장균 균주를 개발했다.
아민은 산업에 유용하게 쓰이는 화학 물질로 이번 기술은 석유 화학 공정이 아니라 바이오 기술로 생산하는 기술이다.
미생물 시스템 대사공학을 이용해 석유화학 공정으로 합성되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의약품과 농약 등의 선행물질(전구체)로 널리 쓰이는 짧은 탄소 길이의 1차 아민 생산은 성공한 적 없었다. 이는 1차 아민 화학물질의 생합성 대사회로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특정 화합물의 생합성 대사경로를 알아내고자 목표 화학 구조에 도착할 수 있는 선행물질을 역방향으로 예측하는 ‘역 생합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망한 대사회로를 찾아냈다.
이상엽 교수는 “실제 폐목재 바이오매스에 이번 기술을 적용해 1차 아민 생산량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며 “생산량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누에 단백질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인공 심장판막 개발
-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 내는 천연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인공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는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심장판막 4개는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
-
- 수많은 마이크로 LED 칩 중 원하는 색깔만 전사해주는 기술 개발
-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대량의 마이크로 LED 칩 중, 색깔별로 원하는 칩만 선택해 전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OLED보다 전기적·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머리카락 두께인 100μm(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무기물 LED 칩을 활용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광원이다. 마이크로 LED를 상용화하려면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