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미세 플라스틱 걱정 없는 생분해 소재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691호 2021년 10월 18일화장품, 비누, 치약 등 우리가 쓰는 많은 생활용품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로비즈’는 최대 지름이 5㎜ 이하인 미세 플라스틱 입자로, 세정력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사용 후에는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수생 동물 생태계에 위협이 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이러한 마이크로비즈를 두고 ‘죽음의 알갱이’라고 표현했다. 미세 플라스틱의 심각성을 인지한 각국에서는 마이크로비즈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안이 만들어졌고, 국내에서도 2017년 7월부터 마이크로비즈를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하고 있다.
최근 한국화학연구원과 포항공대 공동 연구팀이 이런 마이크로비즈를 대체할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게 껍질에서 추출한 해양 천연물질인 키토산 고분자를 활용해 단단한 공 모양의 ‘키틴 마이크로비즈’를 만들었다. 키틴은 곤충이나 갑각류 동물의 단단한 표피를 이루고 있는 성분이다.
연구팀은 키틴 마이크로비즈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피부에 바른 워터프루프(방수) 아이라이너를 제거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마이크로비즈가 없는 경우보다 약 2배, 금지된 미세 플라스틱 성분의 유해 마이크로비즈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약 1.2배 빠른 속도로 오염물이 제거됐다. 또 표면에 존재하는 극성으로 중금속 이온도 제거할 수 있어 피부에 달라붙는 중금속 함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생물 대사에 의해서 키틴 마이크로비즈가 자연 분해되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한 달 안에 바다에서 90% 이상 분해됐다. 연구에 참여한 한국화학연구원 박제영 선임연구원은 “키틴 마이크로비즈는 생분해성과 세정력을 모두 만족해 환경오염이 없는 착한 소재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녹색화학분야 최고권위지인 영국왕립화학회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9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쓸모없다 믿었던 정크 DNA, 노화와 발암의 원인?
- 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김민정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권현우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쓸모없는 DNA를 뜻하는 정크 DNA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규명했다. 인간 유전체 중 일반적인 단백질 생성 유전자는 전체 염기서열의 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유전체 영역은 그 기능이 뚜렷하게 알...
-
- 겨울철 차가운 냉기, 한여름 냉방에 꺼내 쓴다
- 국내 연구팀이 차가운 겨울철 냉기를 땅 속에 저장했다가 한여름에 꺼내 하우스 등의 냉방에 이용하는 새로운 냉방 기술을 개발했다. 한여름 폭염에 달궈진 하우스 온도는 50~70℃에 육박해 농작물의 생육에 치명적이다. 하지만 한여름 불볕더위에는 냉방기기에도 한계가 있고 높은 에너지비용은 농가에 큰 부담이 된다. 특히나 올해는 고유가에 따른 전력 요금의...
-
- 망막의 모든 영역을 2.3초 안에 이미징하는 기술
- 2.3초 안에 망막의 모든 영역을 3차원으로 이미징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KAIST 기계공학과/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 망막의 넓은 영역에서 초점 위치뿐만이 아니라 초점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망막은 안구의 렌즈를 통해 이미징해야 하기 때문에 안구 렌즈의 ...
이 주제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