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새 울음소리, 각기 다른 이유는?
<KISTI의 과학향기> 제2117호 2014년 04월 28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까마귀나 참새만 보더라도 서로 울음소리가 다르다. 그렇다면 새의 울음소리는 왜 다른 것일까.
새의 울음소리가 종류마다 다른 것은 몸집 크기와 서식지 때문이다.
발성 기관인 명관의 크기에 의해 새의 울음소리는 달라진다. 몸집이 큰 칠면조 같은 경우, 낮은 주파수로 막을 진동시켜 중저음의 깊은 소리를 낸다. 하지만 몸집이 작은 새들은 높은 소리를 낸다.
펭귄의 경우, 두 가지 주파수의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울음소리가 다 다르다. 펭귄은 수천 마리씩 모여 사는 집단생활을 한다. 그 중에 자신의 배우자나 자식을 쉽게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국 코넬대학 조류학연구소의 산드라 베렌캠프 명예 교수에 따르면 서식지에 따라 새의 울음소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나무나 풀이 무성하게 우거진 곳에서는 음조가 높고 짧은 새의 울음소리는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음조가 높고 짧은 울음소리를 가진 새들은 장애물이 없는 넓은 풀밭에 산다. 그리고 울음소리가 울림이 적은 톤이나 날카로운 소리를 가진 새들은 수풀에 산다.
새의 울음소리가 종류마다 다른 것은 몸집 크기와 서식지 때문이다.
발성 기관인 명관의 크기에 의해 새의 울음소리는 달라진다. 몸집이 큰 칠면조 같은 경우, 낮은 주파수로 막을 진동시켜 중저음의 깊은 소리를 낸다. 하지만 몸집이 작은 새들은 높은 소리를 낸다.
펭귄의 경우, 두 가지 주파수의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울음소리가 다 다르다. 펭귄은 수천 마리씩 모여 사는 집단생활을 한다. 그 중에 자신의 배우자나 자식을 쉽게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국 코넬대학 조류학연구소의 산드라 베렌캠프 명예 교수에 따르면 서식지에 따라 새의 울음소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나무나 풀이 무성하게 우거진 곳에서는 음조가 높고 짧은 새의 울음소리는 잘 전달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음조가 높고 짧은 울음소리를 가진 새들은 장애물이 없는 넓은 풀밭에 산다. 그리고 울음소리가 울림이 적은 톤이나 날카로운 소리를 가진 새들은 수풀에 산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
-
- 누에 단백질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인공 심장판막 개발
-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 내는 천연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인공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는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심장판막 4개는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
-
- 하반신 마비 쥐를 일으킨 기적, '주사 한 방'으로 이룩하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신미경 뇌과학이미징연구단 교수와 손동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운동신경을 회복시킬 수 있는 근육 주사 기술을 개발했다. 이 주사를 하반신이 마비된 실험 쥐에게 놓았더니, 사흘 만에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도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은 약물이 아닌 일종의 유연한 보형물이다. 정확히는 ‘주사 주입형 조직 보철용 전...
새 몸집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고 하니 신기하군요. 물컵 크기와 물의 양에 따라 울리는 소리가 다른 것이 연상되네요. 잘 읽고 있습니다. ^^
2014-05-26
답글 0
배워 갑니다.
2014-05-13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