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세균을 이용한 컴퓨터 모델 / 바다에서 금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할까?
<KISTI의 과학향기> 제284호 2005년 05월 04일
◈ 세균을 이용한 컴퓨터 모델
미국의 과학자에 의해 세균을 조작해 특정 색깔 패턴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 제기되어 온 이론을 증명하는 훌륭한 모델을 구현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진은 세균의 일종인 대장균(E. coli)에 유전자 조작을 가해 다른 대장균으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붉은색이나 녹색의 형광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실험을 시도했다. 조작한 대장균은 다른 세균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녹색의 형광을 띠고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붉은색의 형광을 띠는데 이들을 배양접시에 키운 후 서로 다른 강도의 신호 물질을 처리한 결과 바깥 고리는 녹색이고 안쪽은 붉은색의 황소 눈 모양의 색깔 패턴을 얻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같은 감지, 반응 관계를 이용해 컴퓨터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세포를 이용한 컴퓨터 모델이 현재의 다른 컴퓨터처럼 수학적으로 정확한 기술이 가능한 수준까지 개발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바다에서 금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할까?
바닷물속에서 금을 채취하는것이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구에 존재하는 바닷물속에는 약 880억 ton의 금이 매장되어 있을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금을 채취하기는 현재 기술력으로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1차 대전 이후 독일은 승전국에서 요구하는 전쟁 배상금을 구하기 위해 바닷물속에 있는 금을 채취하는것에 대해 연구했는데 그 결과 해수 1리터에 0.004 ug(0.000000004g)의 금이 있는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것을 뽑아 금을 만들기에는 그 처리비용이 너무 높아 포기하게 되었다. 그 이후에도 해수에서 금을 뽑아 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지만 그 수익성때문에 아직 현실화 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바닷물속에서 금을 채취하는것이 불가능한것은 아니라고 주장다.
실제로 바다 생물에는 금속을 체내에 축적하는 것이 있는데 피낭동물의 일종은 체내에 바나늄을 축적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방법을 통해 금을 만들 수 있을것이라 추측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을 아직가지 발견하지 못한것뿐이라고 말한다.
미국의 과학자에 의해 세균을 조작해 특정 색깔 패턴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 제기되어 온 이론을 증명하는 훌륭한 모델을 구현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진은 세균의 일종인 대장균(E. coli)에 유전자 조작을 가해 다른 대장균으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대한 반응으로 붉은색이나 녹색의 형광을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실험을 시도했다. 조작한 대장균은 다른 세균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물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녹색의 형광을 띠고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붉은색의 형광을 띠는데 이들을 배양접시에 키운 후 서로 다른 강도의 신호 물질을 처리한 결과 바깥 고리는 녹색이고 안쪽은 붉은색의 황소 눈 모양의 색깔 패턴을 얻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같은 감지, 반응 관계를 이용해 컴퓨터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세포를 이용한 컴퓨터 모델이 현재의 다른 컴퓨터처럼 수학적으로 정확한 기술이 가능한 수준까지 개발 작업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출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바다에서 금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할까?
바닷물속에서 금을 채취하는것이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구에 존재하는 바닷물속에는 약 880억 ton의 금이 매장되어 있을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금을 채취하기는 현재 기술력으로는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1차 대전 이후 독일은 승전국에서 요구하는 전쟁 배상금을 구하기 위해 바닷물속에 있는 금을 채취하는것에 대해 연구했는데 그 결과 해수 1리터에 0.004 ug(0.000000004g)의 금이 있는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것을 뽑아 금을 만들기에는 그 처리비용이 너무 높아 포기하게 되었다. 그 이후에도 해수에서 금을 뽑아 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지만 그 수익성때문에 아직 현실화 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바닷물속에서 금을 채취하는것이 불가능한것은 아니라고 주장다.
실제로 바다 생물에는 금속을 체내에 축적하는 것이 있는데 피낭동물의 일종은 체내에 바나늄을 축적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방법을 통해 금을 만들 수 있을것이라 추측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을 아직가지 발견하지 못한것뿐이라고 말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누에 단백질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인공 심장판막 개발
-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 내는 천연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인공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는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심장판막 4개는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
-
- 질문에만 답해도 꿀잠 여부 예측해주는 알고리즘 개발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주은연‧최수정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지현 이화여대 서울병원 교수팀이 번거로운 검사 없이도 수면 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 ‘슬립스(SLEEPS‧SimpLe quEstionnairE Predicting Sleep disorders)’를 개발하고 공개했다. 수면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인 ...
-
- AI 성능 높이는 방법? 우리 뇌에 있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과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AI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 바로 뇌의 해마에서 일어나는 기억 통합의 생물학적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2017년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