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추우면 물을 뿌려라 - 이글루
<KISTI의 과학향기> 제228호 2004년 12월 24일
영하 30도를 밑도는 혹한, 만일 알래스카나 그린란드 같은 극지방을 여행하다 조난을 당했다면? 눈 위에서 하루를 보내고도 무사할 수 있을까? 제아무리 강철 체력의 소유자라고 해도 견딜 수 없을 게 분명하다. 하지만 에스키모라면 대단한 장비 없이도 뚝딱 거처를 만들고 편안한 밤을 보낼 수 있다. 이글루를 지을 수 있다면 말이다.이글루는 캐나다, 그린란드, 알래스카, 시베리아 등 추운 지방의 에스키모(이뉴잇족)가 짓는 얼음 집을 말한다. 원래는 목재, 석재, 가죽 등으로 만든 다양한 집을 모두 뜻하는 말이었는데, 얼음 집이 유명해져 고유 명사처럼 쓰이고 있다. 이글루는 눈과 얼음으로 만드는 집이다. 만드는 과정은 단순하다. 눈덩이를 폭 50~60cm 길이의 벽돌모양으로 잘라 둥근 지붕 모양이 되게 쌓아 올린다. 눈 벽돌을 쌓아 집 모양이 완성되면 문을 닫고 램프를 켜거나 가벼운 난방을 해 온도를 높인다. 실내 온도가 올라가면 눈 벽돌은 녹아 내리는데, 천정이 둥근 원형을 띄고 있기 때문에 녹은 눈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벽을 타고 흐르게 된다. 잠시 뒤 난방을 끄고 문을 열어 외부의 찬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게 하면 녹아 내리던 눈이 순식간에 얼어붙어 눈 벽돌들을 강력하게 접착 시키게 된다. 이글루는 시멘트도 나사도 필요 없다. 눈과 눈 칼, 영하 30~40도의 차가운 공기면 충분하다. 지름 5m의 이글루를 짓는데 2시간 가량이면 충분하다니 경제적인 주택이라고 할만하다.이글루가 튼튼하게 지어졌다고 해도, 짓는데 쓴 재료처럼 얼음장 같이 차다면 소용없는 일. 얼음 집 안은 과연 따뜻할까? 별다른 난방을 않아도 이글루 안은 영상 5도 정도의 기온을 유지한다. 5도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따뜻하다고는 할 수 없는 온도지만, 밖의 날씨가 영하 30도를 오르내리는데 얼음으로 지은 집 내부 온도로는 놀랄만하다. 이글루 안을 훈훈하게 만드는 것 역시 눈의 힘이다. 눈 알갱이는 공기를 많이 지니고 있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한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 보리 농사가 풍년 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눈이 덮인 밭에서는 보리 싹이 눈 아래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겨울 보리밭을 덮고 있는 눈과 마찬가지로 이글루는 응집된 눈 이불인 셈이다.
또한 추운 날이면 에스키모들은 이글루에 물을 뿌린다고 한다. 물을 뿌리면 단번에 얼어버리는 날씨니 더 추워질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얼음은 녹을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한다. 음료수를 얼음물 속에 담가두면 얼음은 녹으면서 음료수는 차가워지는데 이는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수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인 것이다. 물이 얼 때는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자체의 열을 내보내는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 어는 동안 주위의 온도는 오히려 따뜻해진다. 겨울철 호숫가에 있는 마을은 다른 곳보다 포근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호수가 얼면서 발생하는 열 때문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추운 겨울날 이글루에 물을 뿌려 얼어붙게 만들면 실내는 더 따뜻해지는 것이다.
장작불을 활활 때면 튼튼하게 지어진 이글루라도 결국 녹아 내릴 수 밖에 없겠지만, 이글루는 밖의 날씨와 조화를 이뤄가며 한기를 피할 수 있는 환상의 공간이다. 밖의 날씨가 추우면 추울수록 안은 더 따뜻해지는 얼음 집. 이글루에는 혹한의 날씨 속에서 그 자연이 낳은 산물을 이용해 살아가는 지혜가 담겨 있다. 이글루는 원래도 거주지가 아니라 사냥 등을 나왔을 때 쓰는 임시 거처였지만, 최근에는 관광 목적 외에는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겨울이면 유명 스키장이나 모 기관에서 이글루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관심 있는 독자분들은 이런 행사에 참여해 체험을 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과학향기 편집부)
또한 추운 날이면 에스키모들은 이글루에 물을 뿌린다고 한다. 물을 뿌리면 단번에 얼어버리는 날씨니 더 추워질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얼음은 녹을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한다. 음료수를 얼음물 속에 담가두면 얼음은 녹으면서 음료수는 차가워지는데 이는 얼음이 녹으면서 음료수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인 것이다. 물이 얼 때는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자체의 열을 내보내는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 어는 동안 주위의 온도는 오히려 따뜻해진다. 겨울철 호숫가에 있는 마을은 다른 곳보다 포근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호수가 얼면서 발생하는 열 때문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추운 겨울날 이글루에 물을 뿌려 얼어붙게 만들면 실내는 더 따뜻해지는 것이다.
장작불을 활활 때면 튼튼하게 지어진 이글루라도 결국 녹아 내릴 수 밖에 없겠지만, 이글루는 밖의 날씨와 조화를 이뤄가며 한기를 피할 수 있는 환상의 공간이다. 밖의 날씨가 추우면 추울수록 안은 더 따뜻해지는 얼음 집. 이글루에는 혹한의 날씨 속에서 그 자연이 낳은 산물을 이용해 살아가는 지혜가 담겨 있다. 이글루는 원래도 거주지가 아니라 사냥 등을 나왔을 때 쓰는 임시 거처였지만, 최근에는 관광 목적 외에는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겨울이면 유명 스키장이나 모 기관에서 이글루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관심 있는 독자분들은 이런 행사에 참여해 체험을 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 뭐가 다를까?
- 많은 사람이 최근 일어난 PC방 살인 사건이나 거제도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에서 범인이 피해자를 잔혹하고 무참하게 살해하고도 전혀 가책을 느끼지 않는다는 점에 분노했다. 언론에서는 이들을 ‘소시오패스’나 ‘사이코패스’라 부르며 보통 사람과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소시오패스나 사이코패스는 무엇이 다르고 보통 사람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
-
- [과학향기 Story] 토마토의 비명에 나방이 등 돌렸다?
- 기후 위기로 인한 폭우와 불볕더위로 여름마다 ‘역대급’ 더위를 겪고 있다. 연일 35도를 웃도는 기온에 사람들은 에어컨이 없으면 견디기 힘들어하고, 열사병과 온열질환 환자가 급증한다. 하지만 이런 극한의 더위는 사람만의 고통이 아니다. 가로수는 잎사귀를 말리며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공원의 화단은 매일 물을 줘도 시들어 간다. 농작물은 뜨거운 햇볕에...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활주로에서 우주까지...나만의 ‘개인 로켓’ 시대 개막
- [과학향기 Story] 계단 오르고 장애물 넘는다?… 자유자재로 변하는 모핑 휠 등장
- [과학향기 for Kids] 수력 엘리베이터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 [과학향기 Story] 강의실 천장이 높으면 시험을 망친다?
- 버려진 기저귀로 친환경 콘크리트 집 짓는다?!
- 로마 유적이 튼튼한 이유는 콘크리트의 ‘자가 복구’
- 전 세계 교량 공학자에게 충격을 줬던 타코마 다리 붕괴, 슈퍼컴퓨터로 전 과정 재현하다!
- 국내 최장 해저터널, 보령 해저터널 개통! 해저터널은 어떻게 만들까?
- 전국 차량 발 묶은 요소수 대란, 요소수가 뭐길래?
- 만일 댐이 붕괴한다면?
19년전 글이네요 ㄷㄷ 지금 중1인데 잘 배워갑니다!!
2024-11-18
답글 0
무려 17년도 더된 기사라니 저도배워갑니다
2023-02-04
답글 0
무려 16년도 더 된 기사라니! 신기하기도 하고, 새로운 것을 배워갑니다!
2021-02-17
답글 0
추울때는 물을 뿌리라는 말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기사를 읽고 나니 이해가 가네요. 이글루에 한번 들어가 보고 싶어지네요.
2009-04-14
답글 0
물이 얼때는 얼음이 얼때와 반대란걸 몰랐는데..와우
2004-12-28
답글 0
이글루가 남극에서는 왜 없나요
2004-12-27
답글 0
남극에 사는 원주민이 없어서
이글루를 만들 사람 자체가 없습니다.
세종기지 같은 연구소는 국가기관이 대부분이라
얼음집같은 작은집에서는 연구를 하기 힘들어
역시 이글루를 짓지 않습니다.
2004-12-27
답글 0
저는 모르는 내용인데용~
모르는 사람들도 좀 생각해주세요~
2004-12-26
답글 0
물을 뿌리면 따뜻해짐은 분명하며 매우 재미있는 글이다.
다만 그 영하 30~40도의 혹한속에서 이글루에 뿌리기 위한 물을 어디서 구할까?
불을 때서 물을 만든다면 처음부터 그 불로 난방하면 열효율이 더 좋을 것이고, 바닷물을 길어오려면 오는 중 다 얼어버릴 것이고...
2004-12-24
답글 0
이글루에 물을 뿌릴 때 안쪽에 뿌리나요. 바깥쪽에 뿌리나요
2004-12-24
답글 0
대체로 알고 있는 내용들....
2004-12-24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