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구제역 비상! 원인을 알고 대처하자

<KISTI의 과학향기> 제3293호   2019년 01월 30일
설을 앞두고 축산 농가에 비상이 결렸다. 경기도 안성의 한 젖소 농가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온 것. 정부는 구제역 방역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구제역 증상을 보인 안성 농가의 젖소 120여 마리를 모두 살처분하기로 했다. 게다가 반경 500m 이내 8개 농장에서 사육 중인 500여 마리의 소와 돼지 등도 예방적으로 살처분할지를 검토 중이다. 대체 구제역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빠른 조치와 예방이 필요한 걸까?
 
구제역이란 가축에서만 발생하는 전염병
 
구제역은 소나 돼지, 양, 염소, 사슴처럼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급성 가축전염병이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가장 위험한 가축전염병’으로, 우리나라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할 정도로 가축들에게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동물이 구제역에 걸리면 입술, 혀, 잇몸, 젖꼭지, 코, 발굽 사이 등에 물집이 생기고 다리를 절며 침을 흘린다. 또 체온이 급격히 올라가고 식욕이 떨어져 심하게 앓거나 죽게 된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데다 치사율도 높아 대상 동물에게는 죽음의 그림자로 여겨진다. 그래서 소는 구제역이 발생한 지역 500m 반경에 있는 것들을 땅에 묻는다. 돼지의 경우, 전파력이 소보다 1,000~3,000배 강해 구제역 발생 지역 3km 안쪽의 것들을 몰살시킨다.
 
다행히 구제역은 사람과 동물이 공통으로 걸리는 ‘인수공통전염병’은 아니기에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는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사람 몸에 들어가도 2주 안에 소멸하므로 구제역 걸린 동물의 고기를 먹더라도 인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또 구제역 바이러스는 섭씨 50℃ 이상의 온도에서 파괴되고, 강한 산성이나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살지 못한다.
 
shutterstock707374561
사진. 구제역은 가축에서만 발생하는 무서운 전염병이지만 사람이 병을 전파하는 원인일 수도 있다. (출처: shutterstock)
 
구제역은 사람이 원인일 수도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주로 호흡이나 소화, 생식 행위나, 배설물을 통해서 전파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바람을 타고 수십 km를 이동하기도 하며, 사람의 옷이나 신발에 붙어 잠복할 수도 있다.
 
과거 2010년에 강화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한 농장 주인의 동북아시아 여행이 원인이었다. 그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여행을 다녀왔고, 소독이나 방역 조치 없이 농가로 들어갔다. 강화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분석했을 때 여행지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1차로 발생한 구제역을 진료한 수의사가 2차로 구제역이 발생한 곳까지 진료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됐다. 농장 주인들도 매일 한곳에서 모임을 가져 바이러스가 번지는 것을 도운 셈이다. 이밖에도 사료 운송이나 인공수정, 동물 약품판매점 오염 등으로 구제역 바이러스는 퍼져나갔다.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구제역은 사람과 크게 연관이 없다.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만 걸리고 발병 인자인 7가지 유형의 바이러스(O, A, C, C1, SAT2, SAT3, Asia1)는 인체를 숙주로 삼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을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구제역 역학조사위원회가 밝힌 것처럼 해외에서 바이러스가 들어온 것도, 전국 각지로 퍼져나간 것도 모두 사람 탓이었다.
 
구제역에 걸린 가축은 치료가 불가능하다. 혹시 살아남는다고 해도 생산성이 크게 저하돼 농가에 경제적인 피해를 준다. 따라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대비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우선 소, 돼지 등을 사육하는 농장은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농장에 출입할 때는 옷을 갈아입는 등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 가축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 즉, 사료 운송업자나 수의사, 약품 수송차량 운전자 등도 농장을 드나들게 되면 반드시 소독을 해야 한다. 해외여행도 주의해야 한다. 구제역이 발생한 나라로 여행을 가게 되면 귀국 후 2주 정도는 가축 농장 등을 방문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외국에서 축산물을 가져와 혹시 있을지 모를 구제역 바이러스를 퍼뜨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결국 구제역도 인간의 활동으로 동물들이 애꿎은 피해를 보는 경우다. 더 이상 구제역 바이러스가 번지지 않도록, 또 새로운 전염병으로 동물들이 고통받지 않도록 우리의 행동을 조심해야 할 때다.
 
글 : 박태진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신들의황혼
  • 평점   별 4점

바이러스도 소독이 되나요?

2019-01-31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