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배꼽 잡는 이그노벨상 2006

<KISTI의 과학향기> 제513호   2006년 10월 20일
“사진을 최소 몇번 찍어야 눈 감은 사람이 하나도 없을까?”
“딱따구리는 왜 두통에 시달리지 않을까?”

처음에는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이런 주제의 연구가 노벨상을 탔다면 여러분은 믿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이것은 기발한 상상력과 이색적인 발명으로 세상을 즐겁게 한 괴짜들에게 주는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의 엄연한 연구논문 주제다.

이그노벨(Ig Nobel)상은 미국 하버드 대학의 유머 과학잡지인 ‘AIR(Annals of Improbable Research: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의 발행인 마크 에이브러햄이 1991년 제정한 상으로, ‘다시 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되는 업적’을 남긴 과학자에게 주는 패러디 노벨상이다. 에이브러햄은 전세계 사람들이 보내오는 연구 논문들을 살펴보다가 너무나 ‘엉뚱하고 기발한’ 연구 결과들에 매료돼 이 상을 제정했다.

다이너마이트처럼 터지는 ‘소다 팝(병 탄산음료)’을 발명한 가공인물 이그나시우스 노벨(Ignacius Nobel)에서 그 이름을 땄다. ‘이그노벨(Ig Nobel)’은 ‘고상한’을 뜻하는 영어 단어 ‘노블(noble)’의 반대말로 ‘품위없는’을 뜻하는 ‘이그노블(ignoble)’과 상통한다.

이그노벨상의 취지는 독특하면서 상상력 넘치는 아이디어들을 치하하고 과학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함이다. 수상 분야는 매년 바뀌는데 물리학, 화학, 의학, 생물학 등이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문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도 상을 준다. 10개 분야에서 10건의 연구가 선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특별한 경우 한 분야에서 복수 시상도 한다. 상금도 없고 수상자들은 자기 돈으로 비행기삯을 내고 시상식에 가야한다. 매년 10월 초 발표되는 노벨상에 앞서 하버드 대학 샌더스 강당에서 수여된다.

올해 이그노벨상은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기지가 번뜩이는 10명의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이그노벨 수학상을 받은 호주의 피어스 반스와 닉 스벤슨은, 단체 사진을 찍을 경우 눈 감은 사람이 한 명도 없게 하려면 최소한 몇 장을 찍어야 하는지를 수학적으로 계산해 내는 실험을 했다. 눈 깜빡임은 빛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촬영 순간에 눈을 감는 사람들은 세상 어디에나 있게 마련이다. 이들의 계산에 따르면, 20명 이하가 카메라 앞에 서 있고 조명 상태가 좋다면 사람 수를 3으로 나눈 수만큼 촬영하면 된다고 한다. 단 조명이 안 좋을 땐 2로 나눈 수만큼 셔터를 눌러야 한다. 눈 깜빡임 사이의 간격과 눈 감는 지속 시간 등을 기준으로 독특한 공식을 뚝딱 계산해낸 이들은 아마도 이 방면에서 전설적인 존재로 남을 것 같다.

영국의 하워드 스테이플턴은 고주파 10대 퇴치기 ‘모스키토’를 발명해 평화상을 수상했다. 10대들에게만 들리는 고주파 소리를 흘림으로써 조용한 식료품 가게와 쇼핑몰에서 고함을 지르거나 욕설을 퍼부으며 어슬렁거리는 불량 청소년들을 모기 쫓아내듯 몰아내 쇼핑몰에 평화를 가져왔다는 게 그에게 주어진 수상 이유이다. ‘모스키토’는 현재 전국의 매장과 지방 정부, 경찰, 일반 주택 등에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부리로 나무를 수도 없이 쪼는 딱따구리는 사람으로 치면 시속 25km로 초당 20회 정도 얼굴을 벽에 박는 것과 같은 충격을 받는다. 미국의 이반 슈왑 박사는 이렇듯 쉴 새 없이 나무를 쪼아대면서도 두통을 앓지 않는 이유를 규명해 조류학상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슈왑 박사는 그 이유를 “스펀지 형태의 두꺼운 두개골이 딱따구리의 뇌를 보호해 주는 데다 나무를 쪼기 1000분의 1초 전에 눈을 감아 눈알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딱따구리의 연구자답게 딱따구리 모자를 쓰고 이번 시상식에 참가했다.

미국의 심장전문의 프랜시스 페스미어 박사는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난치성 딸꾹질을 치료한 공로로 의학상을 탔다. 페스미어 박사는 항문 손가락 마사지가 신경을 자극해 심장박동을 늦출 뿐 아니라 딸꾹질도 멈추게 한다는 사실을 의학보고서에 발표했다. 대단히 창의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그는 “다시는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이런 치료를 하지 않겠다”고 수상 소감을 말했다. 역시 괴짜다운 소감이다.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질로 칠판을 ‘끼익~끼익’하며 긁는 소리가 왜 소름끼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다 그 긁는 소리가 침팬지의 경고음과 유사하다는 원리를 규명한 린 핼펀 박사와 랜돌프 블레이크 등은 음향학상을 공동으로 받았다.

이 밖에 쇠똥구리가 ‘똥’을 선택할 때 까다로운 기준이 있다는 내용의 연구, 말라리아를 옮기는 학질모기가 사람의 발 냄새와 림버거 치즈 냄새에 똑같은 정도로 끌린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 등 유머러스하면서도 일상적인 사고로는 생각하기 어려운 발상의 논문도 수상 대열에 끼었다.

역대 수상자 중에는 한국인 수상자도 있다. 향기 나는 정장을 개발하여 1999년 환경보호상을 받은 권혁호씨, 1960년 36쌍에서 시작해 1997년 3600만쌍까지 합동 결혼시킨 공로로 2000년 경제학상을 수상한 문선명 통일교 교주가 그 주인공들이다. 올해는 아쉽게도 한 명도 선정되지 않았다.

이그노벨상 담당자 마크 에이브러햄에 따르면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저자 외에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학술지 논문이 연간 1만 편”이라고 한다. 언뜻 사소하거나 무용해 보이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거기에 ‘쓸모의 가치’가 숨어 있다. 아직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으나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엽기적 쓸모’에 나도 한번쯤 도전해 보는 것 또한 의미 있지 않을까. (글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이미란
  • 평점   별 5점

과학계에도 이런 상이 있다니 재미있어요. ㅎㅎ패러디 노벨상이라니 ^^

2009-04-17

답글 0

Cossack
  • 평점   별 5점

ㅋㅋㅋ 어이없고 황당한, 그러나 나름대로 가치있는 발견에 상을준다는건가?
엉뚱하긴 해도 하나쯤 있으면 좋은 상이네요.^^

2006-12-13

답글 0

손가락
  • 평점   별 5점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최고

2006-10-30

답글 0

현진
  • 평점   별 5점

이거 KBS 스펀지에서도 나왔던데요.^^ 시기가 맞는걸 보니.. 과학향기의
영향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봅니다.. 여기서 기사읽고 나서.. 방송에서 또
나오니까 신기하던데..

2006-10-26

답글 0

뭐야;;
  • 평점   별 5점

이중현 얘는 통일교 광신도??

2006-10-25

답글 0

Puha
  • 평점   별 5점

결혼비용을 절약해서 그런 거겠죠.

2006-10-23

답글 0

일편단심지연
  • 평점   별 5점

난치성 딸꾹질을 고치는데...항문으로...상이 많이 엉뚱하면서도...막 그러하네요...

2006-10-21

답글 0

이중현
  • 평점   별 5점

그건아니잖아요ㅋ 누가 들으면 오해할만한 글은 쓰지 말아 주세요. 알지못하면 비판은 삼가해주세요 무언가를 비판하려면 잘 알고 하세요^-^

2006-10-20

답글 0

김동일
  • 평점   별 5점

문교주는 종족 번식에 이바지 한 공로를 인정 받아서 수상한건가... -.-a

2006-10-20

답글 0

이중현
  • 평점   별 5점

그건아니잖아요ㅋ 누가 들으면 오해할만한 글은 쓰지 말아 주세요. 알지못하면 비판은 삼가해주세요 무언가를 비판하려면 잘 알고 하세요^-^

2006-10-20

답글 0

이중현
  • 평점   별 5점

그건아니잖아요ㅋ 누가 들으면 오해할만한 글은 쓰지 말아 주세요. 알지못하면 비판은 삼가해주세요 무언가를 비판하려면 잘 알고 하세요^-^

2006-10-20

답글 0

MrYo
  • 평점   별 5점

아..웃겨요.

2006-10-20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