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실수가 가져다 준 위대한 발명, 발견들

<KISTI의 과학향기> 제353호   2005년 10월 12일
민간 기업에 근무하던 연구원으로서 2002년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본의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는 여러모로 화제를 모았던 인물이다. 저명대학의 교수도, 박사도 아닌 학사 출신의 평범한 회사원이 노벨상 수상자 대열에 합류했다는 것도 극히 이례적인 일이었지만, 연구가 하고 싶어서 승진도 거부한 채 연구개발에만 몰두해 왔다는 사실도 귀감이 됐었다. 그의 업적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생물체 내 고분자 단백질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 등이었는데, 실험 중에 우연한 실수를 한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얘기한 바 있다. 역사적으로 우연이나 행운이 발명, 발견의 중요한 계기가 된 사례는 매우 많다. 그 중에서도 사소한 실수가 뜻밖의 대단한 업적으로 이어진 경우도 적지 않다. 노벨상의 제창자인 알프레드 노벨(Alfred Bernhard Nobel;1833-1896)부터가 실험 중의 실수로 덕을 본 사람이다. 노벨 하면 흔히 다이너마이트만을 떠올리기 쉽다. 물론 다이너마이트는 ‘안전한 화약’으로써 광산, 토목 건설 등지에 널리 쓰였지만 폭발력이 약하고 연기가 많이 나서 군사용 폭약으로 쓰기에는 매우 부적절하였다.



보다 강력한 화약을 발명하려 노력하던 노벨은 어느 날 화약의 원료인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실험을 하던 중 실수로 손가락을 베었다. 그는 당시에 액체 반창고로 널리 쓰이던 콜로디온 용액을 상처 부위에 바르고 실험을 계속하였는데, 니트로글리세린이 콜로디온 용액에 묻으면서 갑자기 모양이 변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과 콜로디온을 섞고 가열해서 투명한 젤리 상태의 물질을 얻었는데, 이것이 바로 다이너마이트보다 3배 이상의 큰 위력을 가진 폭파 젤라틴이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용 폭약에 관한 연구를 계속한 그는 획기적인 성능을 지닌 무연화약(無煙火藥; 연기가 나지 않는 화약) ‘바리스타이트(Ballistite)’를 발명하여 소총, 대포, 기뢰, 폭탄 등에 널리 쓰이게 하였다.



오늘날 자동차 타이어, 구명보트, 장갑, 튜브, 벨트 및 각종 부속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무 역시 실수에서 비롯된 발명품이다. 고무나무의 수액을 모아서 만드는 천연고무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냄새가 많이 나고 날이 더우면 녹아버리는 성질 때문에 실제 생활에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천연고무의 결점을 없애고 지금처럼 여러 방면에 쓸 수 있는 고무의 제조 방법이 알려진 것은 찰스 굳이어 (Charles Goodyear; 1800-1860)라는 미국인이 일생을 걸고 고무 연구에 매달린 덕분이다.



거듭되는 실패와 가난 속에서도 그는 ‘고무에 미친 인간’이라 불릴 정도로 외곬으로 고무 연구에만 몰두하였는데, 하루는 고무에 황을 섞어서 실험을 해 보다가 실수로 고무 덩어리를 난로 위에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러나 놀랍게도 고무는 녹지 않고 약간 그슬리기만 했는데, 여기서 힌트를 얻은 굳이어는 고무에 황을 섞어서 적당한 온도와 시간으로 가열하면 고무의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계속된 연구 끝에 그는 ‘가황법’이라는 오늘날과 같은 고무 가공방법을 확립하였고, 이는 고무 공업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발명자가 안타깝게도 자살을 했던 화학섬유 나일론(Nylon) 역시 우연한 실수가 계기가 되어서 나중에 큰 성공을 거두게 된 사례의 하나이다.

하버드대학 유기화학 강사에서 세계적인 화학회사 뒤퐁(Du Pont) 사 중앙연구소의 기초과학연구부장으로 스카우트 된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 1896-1937)는 고분자에 관한 연구를 주로 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인공 섬유의 개발을 목표로 한 것은 아니었다.

어느 날 그의 연구팀원 중 한 사람인 줄리언 힐(Julian Hill)이 실험에 실패한 찌꺼기를 씻어 내려다가 잘 되지 않자 불을 쬐어 보았는데, 뜻밖에도 이 찌꺼기가 계속 늘어나서 실과 같은 물질이 되었다. 이것을 본 캐러더스는 인공 화학섬유의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결국 나일론을 발명하게 되었다.

그 후 뒤퐁 사는 상품화 과정을 거쳐서 나일론을 공식적으로 세상에 내놓았다. ‘석탄과 공기와 물로 만든 섬유’, ‘거미줄보다 가늘고 강철보다 질긴 기적의 실’로 불리는 나일론은 여성용 스타킹으로 선풍적 인기를 끈 것을 비롯하여 의복, 로프, 양말, 낙하산 등에 널리 사용됐다.



실수가 계기가 된 위대한 업적은 최근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다나카 고이치 이외의 다른 노벨상 수상자에게도 유사한 사례가 더 있다.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의 발명으로 미국의 앨런 맥더미드(Alan G. MacDiarmid), 앨런 히거(Alan J. Heeger)와 함께 2000년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본의 시라카와 히데키(白川英樹) 교수 역시 마찬가지의 경우이다.

그가 도쿄공업대학 조교수로 재직하던 1970년대 초반에 유기고분자 합성실험을 하던 중, 연구에 참여한 한 대학원생이 실수로 촉매를 1,000배나 더 첨가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런데 이로 인하여 갑자기 은색의 광택을 내는 박막이 생긴 것을 발견하였고, 이 박막이 금속과 같은 특성을 띤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결국은 전도성 고분자(플라스틱)의 발명이라는 획기적인 업적을 이룩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실수가 가져다 준 발명과 발견은 화학 분야에서 비교적 많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아무래도 새로운 물질의 합성 실험 등을 하던 중 발생하는 사소한 실수가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을 그저 단순한 우연이나 행운의 산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작은 실수를 그냥 지나쳐 버리지 않고 눈 여겨 본 예리한 통찰력과, 그런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기까지의 부단한 노력과 끈기도 성공의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오늘도 실험실에서 밤을 지새우는 우리의 연구자들도 혹 실패와 실수가 생기더라도 한 번 더 생각하고 눈 여겨 보는 것은 어떨까?

(글: 최성우 ? 한국과학기술인연합 운영위원)

평가하기
이미란
  • 평점   별 5점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고에 힘찬 박수를 보냅니다.

2009-04-07

답글 0

송보경
  • 평점   별 5점

관심이 가는 분야 이여서 그런지 더욱 가슴에 와닿습니다.
아직 갈대학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저의 진로를 이쪽으로 정해놓았습니다. 언젠가 나중에 이글을 읽고 진한감동을 받았다고.. 그렇게 말할 수 있는 날이오겠죠?? 그날이 하루빨리 찾아왔으면 하고 바래봅니다.^^

2005-11-24

답글 0

성민철
  • 평점   별 5점

노벨상 수상 결정되었을 때 그런 얘기가 있기는 했죠.
하지만 누가 실수를 했든 연구를 계속 이어나간 사람이 노벨상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그분이 한국에 와서도 계속 연구를 했다면 노벨상을 공동 수상했을 수도 있었겠지만 그렇지 않았지요. 지금에와서 누가 최초로 만들어냈는가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2005-10-13

답글 0

최성우
  • 평점   별 3점

예, 실험 중 실수로 인하여 전도성 고분자 발명의 단초를 제공했던 대학원생이 바로 한국인 과학자 변형직 박사 맞습니다. 원자력 연구소 재직 시 일본에 잠시 파견나가서 그런 실험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지요...
또한 서울대 물리학부 박영우 교수 역시 (노벨상을 받은 3명과 함께) 전도성 고분자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바 있습니다. 만약 노벨과학상을 4명까지 준다면 박영우 교수도 받았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었지요...
전도성 고분자 발명은 여러모로 우리나라로서는 아쉬운 점들이 있습니다...

2005-10-13

답글 0

임예지
  • 평점   별 5점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이 한국인 과학자의 실패한 실험에서 나온 걸로 알고 있는데요...(중2 두산 기술가정 교과서) 변형직인가??? 그 한국인 과학자가 도쿄대학에 1년간 연수 갔다가 실패한 결과를 남겨두고 귀국했다고- 계속 연구했더라면.... 안타깝네요.

2005-10-12

답글 0

김완희
  • 평점   별 4점

감동적인 글입니다.

2005-10-12

답글 0

김규섭
  • 평점   별 5점

실수라고는 해도 자신의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할 준비가 된 사람에게만 의미가 있는 실수들입니다.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2005-10-12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