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전기 없이 식초로 하는 도금
<KISTI의 과학향기> 제531호 2006년 12월 01일
“나상실 씨, 일찍 왔네요!”
“치~”
“아니 왜요? 오랜만에 하는 데이트인데 왜 기분이 안 좋은 거예요?”
“지금 내가 기분 좋게 생겼어요? 이거 보세요.”
“어, 그건 제가 지난번에 사준 귀걸이잖아요. 그게 뭐 잘못됐어요?”
“그동안 몇 번 하지도 않았는데, 도금이 다 벗겨졌어요! 생색내며 주기에 좋은 건 줄 알았는데… 너무한 거 아니에요?”
“어이구 정말이네. 요즘은 기술이 좋아서 절대 안 벗겨진다더니 순 거짓말이었군!”
“뭐예요? 그럼 도금한 건 줄 알면서 저한테 거짓말 하신 거예요?”
“하하 미안해요. 조금만 기다리면 제가 금방 해결해 드릴 께요.”
잠시 후 헐레벌떡 다시 돌아온 그의 손에는 식초 한 병이 들려 있었다.
“아니, 금방 해결해 준다더니 그건 웬 식초에요? 새 귀걸이 사러 간 거 아니었어요?”
“글쎄 잠시만 기다려 보시라니까요. 상실 씨, 혹시 10원짜리 있어요?”
“그건 뭐 하시려고요?”
“있는 대로 다 줘보세요.”
[실험방법]
1. 준비물 : 식초 또는 레몬주스, 소금 조금, 큰 못(귀걸이 대신 못을 사용했음), 깨끗한 10원 동전 15개, 컵, 나무젓가락, 치약
2. 컵에 식초를 반 정도 담고, 거기에 10원 동전을 모두 넣는다.
3. 여기에 소금을 조금 집어서 넣고, 나무젓가락으로 휘저어 준다.
4. 이 상태로 5분 두었다가 동전을 꺼낸다.
5. 치약으로 못을 깨끗하게 닦고 물로 씻은 뒤 깨끗해진 못을 식초 속에 넣는다. (치약에는 연마제가 들어있어 불순물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6. 15분 뒤 못을 젓가락으로 꺼낸다.
“자 어때요~ 처음처럼 복구됐죠?”
“이거 어떻게 한 거에요?”
“눈으로 직접 보고도 몰라요? 다시 도금한 거잖아요.”
“도금이요? 도금이 이렇게 간단한 거였어요?”
“어려울 거 뭐 있나요. 원래 이런 액세서리를 도금할 때는 전기도금을 많이 사용해요. 도금할 물체를 음극으로 두고, 금이나 은 같은 덮어씌울 금속을 양극으로 두는 거예요. 이 두 가지를 전해질용액에 넣고 직류전원장치를 연결하면 도금이 된답니다.”
“전해질용액이 뭐죠?”
“전기가 잘 통하는 용액이에요. 그냥 맹물은 전기가 안 통하니까 전기가 통하게 하려면 전해질 용액을 써야 하죠. 도금을 할 때는 보통 도금하는 금속의 이온을 포함한 용액을 전해질용액으로 사용하지요. 예를 들어 구리를 도금하려고 하면 구리 이온이 들어있는 황산구리수용액 등을 전해질용액으로 쓰는 것이 효과가 좋아요.”
“그럼 식초로 한 건 어떻게 한 거에요?”
“10원짜리 동전은 재질이 구리거든요. 구리(Cu)랑 식초(CH3COOH)가 만나면 초산구리(Cu(COOH)2→Cu2+ + 2COOH-)가 생겨서 용액 속에 존재하게 되죠. 따라서 초산구리가 녹아있는 식초에 금속을 넣으면, 초산구리가 금속과 반응해서 금속의 표면에 구리가 도금되는 거랍니다.”
“그러니까 전기도금 할 때와 비교하면 음극이 이 귀걸이고, 양극은 구리 동전, 전해질용액은 식초란 말이네요?”
“오~ 역시 우리 상실 씨는 훌륭한 두뇌를 가졌단 말이에요.”
“그렇게 얼렁뚱땅 넘어갈 생각 말아요. 해결해 준다는 게 이거였어요?”
“이 정도면 훌륭히 해결한 거 아닌가요?”
“이거 화를 내야 하는지, 웃어야 하는지…”
“이왕이면 웃어줘요. 멋진 솜씨도 칭찬 좀 해주고.”
“몰라요. 금 도금 귀걸이가 이번엔 구리 도금 귀걸이가 됐잖아요.”
“어 그래요? 조금만 기다려요. 상실 씨가 원한다면 금 도금 귀걸이로 만들어 줄 테니까.”
“됐네요. 어쨌든 철수 씨를 다시 보긴 했어요. 좋아요. 이번엔 그냥 넘어가 주죠. 대신 다음엔 근사한 걸로 선물하기에요.”
“물론입니다~ 충성!” (글 : 과학향기 편집부)

※금을 도금하는 법 :
진공에서 한쪽에 금을 입힐 물체를 놓고 맞은편에서 금을 가열해서 증발시키는 진공증착법과 금이온이 든 전해질용액에 금속 물체를 넣고 전류를 흘려 그 표면에 금박이 입혀지도록 하는 전기도금법이 있다. 집에서 금을 도금하기는 어렵다.
“치~”
“아니 왜요? 오랜만에 하는 데이트인데 왜 기분이 안 좋은 거예요?”
“지금 내가 기분 좋게 생겼어요? 이거 보세요.”
“어, 그건 제가 지난번에 사준 귀걸이잖아요. 그게 뭐 잘못됐어요?”
“그동안 몇 번 하지도 않았는데, 도금이 다 벗겨졌어요! 생색내며 주기에 좋은 건 줄 알았는데… 너무한 거 아니에요?”
“어이구 정말이네. 요즘은 기술이 좋아서 절대 안 벗겨진다더니 순 거짓말이었군!”
“뭐예요? 그럼 도금한 건 줄 알면서 저한테 거짓말 하신 거예요?”
“하하 미안해요. 조금만 기다리면 제가 금방 해결해 드릴 께요.”
잠시 후 헐레벌떡 다시 돌아온 그의 손에는 식초 한 병이 들려 있었다.
“아니, 금방 해결해 준다더니 그건 웬 식초에요? 새 귀걸이 사러 간 거 아니었어요?”
“글쎄 잠시만 기다려 보시라니까요. 상실 씨, 혹시 10원짜리 있어요?”
“그건 뭐 하시려고요?”
“있는 대로 다 줘보세요.”
[실험방법]
1. 준비물 : 식초 또는 레몬주스, 소금 조금, 큰 못(귀걸이 대신 못을 사용했음), 깨끗한 10원 동전 15개, 컵, 나무젓가락, 치약
2. 컵에 식초를 반 정도 담고, 거기에 10원 동전을 모두 넣는다.
3. 여기에 소금을 조금 집어서 넣고, 나무젓가락으로 휘저어 준다.
4. 이 상태로 5분 두었다가 동전을 꺼낸다.
5. 치약으로 못을 깨끗하게 닦고 물로 씻은 뒤 깨끗해진 못을 식초 속에 넣는다. (치약에는 연마제가 들어있어 불순물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6. 15분 뒤 못을 젓가락으로 꺼낸다.
“자 어때요~ 처음처럼 복구됐죠?”
“이거 어떻게 한 거에요?”
“눈으로 직접 보고도 몰라요? 다시 도금한 거잖아요.”
“도금이요? 도금이 이렇게 간단한 거였어요?”
“어려울 거 뭐 있나요. 원래 이런 액세서리를 도금할 때는 전기도금을 많이 사용해요. 도금할 물체를 음극으로 두고, 금이나 은 같은 덮어씌울 금속을 양극으로 두는 거예요. 이 두 가지를 전해질용액에 넣고 직류전원장치를 연결하면 도금이 된답니다.”
“전해질용액이 뭐죠?”
“전기가 잘 통하는 용액이에요. 그냥 맹물은 전기가 안 통하니까 전기가 통하게 하려면 전해질 용액을 써야 하죠. 도금을 할 때는 보통 도금하는 금속의 이온을 포함한 용액을 전해질용액으로 사용하지요. 예를 들어 구리를 도금하려고 하면 구리 이온이 들어있는 황산구리수용액 등을 전해질용액으로 쓰는 것이 효과가 좋아요.”
“그럼 식초로 한 건 어떻게 한 거에요?”
“10원짜리 동전은 재질이 구리거든요. 구리(Cu)랑 식초(CH3COOH)가 만나면 초산구리(Cu(COOH)2→Cu2+ + 2COOH-)가 생겨서 용액 속에 존재하게 되죠. 따라서 초산구리가 녹아있는 식초에 금속을 넣으면, 초산구리가 금속과 반응해서 금속의 표면에 구리가 도금되는 거랍니다.”
“그러니까 전기도금 할 때와 비교하면 음극이 이 귀걸이고, 양극은 구리 동전, 전해질용액은 식초란 말이네요?”
“오~ 역시 우리 상실 씨는 훌륭한 두뇌를 가졌단 말이에요.”
“그렇게 얼렁뚱땅 넘어갈 생각 말아요. 해결해 준다는 게 이거였어요?”
“이 정도면 훌륭히 해결한 거 아닌가요?”
“이거 화를 내야 하는지, 웃어야 하는지…”
“이왕이면 웃어줘요. 멋진 솜씨도 칭찬 좀 해주고.”
“몰라요. 금 도금 귀걸이가 이번엔 구리 도금 귀걸이가 됐잖아요.”
“어 그래요? 조금만 기다려요. 상실 씨가 원한다면 금 도금 귀걸이로 만들어 줄 테니까.”
“됐네요. 어쨌든 철수 씨를 다시 보긴 했어요. 좋아요. 이번엔 그냥 넘어가 주죠. 대신 다음엔 근사한 걸로 선물하기에요.”
“물론입니다~ 충성!” (글 : 과학향기 편집부)

※금을 도금하는 법 :
진공에서 한쪽에 금을 입힐 물체를 놓고 맞은편에서 금을 가열해서 증발시키는 진공증착법과 금이온이 든 전해질용액에 금속 물체를 넣고 전류를 흘려 그 표면에 금박이 입혀지도록 하는 전기도금법이 있다. 집에서 금을 도금하기는 어렵다.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울퉁불퉁 도로의 포트홀, 해바라기유로 고친다?
- [과학향기 Story] 우유로 만든 숙취해소제가 나왔다?
- [과학향기 for Kids] 영국에서 미국까지 ‘똥’으로 여행할 수 있을까?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 버려진 기저귀로 친환경 콘크리트 집 짓는다?!
- 로마 유적이 튼튼한 이유는 콘크리트의 ‘자가 복구’
- 안경인들의 희망, 김 서림을 원천 차단하는 코팅 기술
그냥 금귀걸이 얼마나 비싸다고..
2021-12-09
답글 0
와우 너무 신기해요. 집에서 꼭 한번 해봐야겠어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9-04-17
답글 0
식초를 이용한 구리 도금이군요. 재미있겠는데요. 실험도 쉽고, 정말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2009-04-17
답글 0
그런데요...구리도금하니깐...색깔이 더 보기 싶어졌어요...
2006-12-18
답글 0
정말 과학은 신기한게 너무 많은것 같아요`~
^^
2006-12-13
답글 0
햐~ 이젠도금도 집에서 할 수 있구나! 그렇다고 설마 누가 구리 동전을 모양 바꾸고 도금 해서 집에 보물이라고 가지고있진않겠지요?
만일 그런다면 그건 나일지도?! 0-0; 설마 내가 아무리 특이하다고해도 그러기야 할까요?
나도 모르겠어. ㅜㅜ
2006-12-13
답글 0
초산구리와 금속의 반응식도 써주시면 좋겠네요 좋은내용감사합니다
2006-12-05
답글 0
상실씨가 미처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다행입니다.^^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의 과학향기
2006-12-04
답글 0
우왓,! 십원짜리보면 지나치지 말고 꼭 주워야겠다;;
2006-12-04
답글 0
답변 단 꼬라지 하고는...
어린이들은 잔말 말고 따라해.
2006-12-04
답글 0
귀걸이가 많은 저한텐 참 유용한 정보인데
대사중에 갑자기 뜨는 연숙씨는 누구인지요..? ^^
2006-12-03
답글 0
나도 꼭 해봐야지...하는 마음이 드네요. 정말 재밌게 잘 보았구요..감사!
2006-12-02
답글 0
도금하면 당연히 전류가 있어야 하는 줄로 알고 있었습니다.
도금했을 때 도금의 두께나 벗겨지는 정도는 어떤지 궁금하네요
암튼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2006-12-02
답글 0
전에 10원짜리 동전을 녹여서 악세사리를 제조, 판매한 사람들이 법률위반을 이유로 기소되었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상기 실험은 교육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동전을 이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006-12-02
답글 0
와..신기하네요.
그럼 100원짜릴 넣으면 하얗게 되려나? ㅋ
2006-12-01
답글 0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전체 글의 내용은 도금이 벗겨진 귀걸이 이야기입니다.
단 귀걸이는 실험에 사용하기 힘드니 실험은 못으로 대체해서 한 것이죠. 귀걸이로 하든, 못으로 하든 위와 같은 방법을 쓰면 구리가 표면에 잘 도금됩니다.
그리고 내용 뒷부분에 나온 '구리반지'는 표현이 잘못됐습니다. '구리도금 귀걸이'로 수정했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2006-12-01
답글 0
한번해봐야겠네요~ 신기한거같긴한데..
사실 저도 읽고 또 읽햇어요... 도금이 되어있는 귀금속은 도금이 다시되고
못은.. 불순물만 제거가 되는거 아닌가요? 못도 도금이 되는건쥐..여?
여하트 신기합니다.
2006-12-01
답글 0
혹시나 잘못읽은건가 싶어 세번 넘게 읽어보았는데 처음엔 '귀걸이' 도금이 벗겨졌다고 투덜거리다가 실험은 '못'으로 하고 나중에는 '금반지'가 '구리반지'가 되었다고 또 투덜거리는데 세가지를 한꺼번에 도금하기라도 했다는 말인가요?
2006-12-01
답글 0
대사 꼬라지 하고는.
나상실 답게 말을 써야지 이게 모야.
나상실이 언제 존대말 하는거 봤어.
나상실은 항상 반말이야.
대사 고쳐.
2006-12-01
답글 0
재밌는 과학이네요.
아이들하고 실습하면 좋아하겠습니다.
2006-12-01
답글 0
십원짜리 동전은 황동(동Cu + 아연Zn의 합금)이 재질이라서 동이 어느정도 녹아서 윗글처럼 초산동이 되어지지요. 10원짜리 동전보다는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선 같은 것이 더 좋을꺼에요. 또, 못은 치약으로 닦는 것보다 세탁할때 쓰이는 세제를 따뜻한 물에 녹여서 담가둔 후에 치솔 같은 것으로 깨끗하게 닦은 후에 식초에 잠시 담구었다가 전선을 녹인 식초에 넣으면 더 깨끗해져요. 또, 못은 콘크리트 못 같은 것은 안되고 철로된 못이면 더 좋구요~~
2006-12-01
답글 0
이제 십원짜리 입수하면 꼭 도금 해 봐야겠네요^^
2006-12-01
답글 0
역시 이공계가 글을 잘 쓴다는건 정말 힘든가보네요.
내용이 중언부언되고, 앞뒤가 안맞는 말도 있지만
구리도금하는 걸 재밌게 에피소드로 표현하려는 의도는 훌륭했습니다.
그리고, 본 내용은 구리도금시에만 가능한 도금이며,
아래에 백원짜리나 다른금속 도금은 불가능하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금이 그렇게 쉽진 않지요. ^^
그리고, 위실험에서 10원짜리 동전을 꺼낼때 손가락으로 꺼내지 마시고, 젓가락이나 다른 컵으로 식초를 쏟아붓는 방식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전해질 용액이 그리 피부에 좋진 않거든요.
암튼 재밌는 정보 즐거웠습니다.
2006-12-01
답글 0
호오.. 제가 비즈를 하는데 정말 도움이 되네요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006-12-0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