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하루 ‘10분’ 빠르게 걷는 중년, 16년 더 젊어질 수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771호 2022년 07월 25일사람들은 언제 자신이 나이 들었다고 느낄까? 새벽에 저절로 눈이 떠질 때, 의자에서 일어날 뿐인데 무릎이 시큰거릴 때, 피부 탄력이 예전 같지 않을 때? 답변은 제각기 다를 것이다. 그런데 지난 4월 국제 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실린 한 연구는 인간의 노화와 걷기 속도의 관계에 주목했다. 영국 레스터대 연구진이 진행한 이 연구에 따르면 중년층 중 평소 걸음이 빠른 사람은 느린 사람보다 생물학적 나이가 16년이나 젊다고 한다.
생물학적 나이는 매년 같은 날 차곡차곡 쌓이는 숫자 나이(역연령)에 저마다의 노화 정도를 반영한 것이다. 50대인 나와 내 친구가 나란히 걸을 때 걸음이 느린 내가 발 빠른 친구에게 노상 뒤처진다면, 나의 생물학적 나이는 이미 60대이고 친구는 40대일 수 있다는 말일까? 느린 걸음은 단지 생활 습관의 문제 아닐까? 위와 같은 결과가 어떤 근거에서 도출된 것인지, 걷기와 노화의 관계부터 찬찬히 살펴보자.
걷기로 건강을 진단하다
인간의 노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정희원 노년의학 전문의는 1961년 해부학자 레너드 헤이플릭이 ‘세포 노화(cellular aging)’ 상태에 이르는 세포의 특징을 포착하면서 현대 생물학 노화 연구의 출발점이 마련되었다고 설명한다. 이전까지는 노화를 단지 개체 수준의 현상으로 이해했다면, 헤이플릭은 세포 수준에서 세포가 분열을 거듭할수록 증식 속도가 늦어지는 식으로 노화한다는 아이디어를 전해주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노화는 유전 프로그램과 여러 사회적 요인의 복합 작용으로 우리 몸의 세포, 조직, 기관에 누적된 구조적·기능적 변화를 통틀어 보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노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정희원 노년의학 전문의는 1961년 해부학자 레너드 헤이플릭이 ‘세포 노화(cellular aging)’ 상태에 이르는 세포의 특징을 포착하면서 현대 생물학 노화 연구의 출발점이 마련되었다고 설명한다. 이전까지는 노화를 단지 개체 수준의 현상으로 이해했다면, 헤이플릭은 세포 수준에서 세포가 분열을 거듭할수록 증식 속도가 늦어지는 식으로 노화한다는 아이디어를 전해주었다는 것이다. 오늘날 노화는 유전 프로그램과 여러 사회적 요인의 복합 작용으로 우리 몸의 세포, 조직, 기관에 누적된 구조적·기능적 변화를 통틀어 보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사실 걷기는 모든 연령대에서 손쉽게 관찰 가능한 신체활동이라는 점에서 건강 상태 일반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로 쓰여왔다. 건강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잘 걷는다’는 행동은 무엇 하나 특별한 것 없어 보이나 운동 조절 능력, 근골격 및 심폐 능력, 인지 능력, 동기 부여 등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필요한 능력 중 한두 가지만 삐걱거려도 인간의 걷는 모습은 금세 달라지고 만다. 배가 아프면 등을 자연히 굽히게 되듯, 에너지를 써 앞으로 나아가는 근골격계와 주위에 반응하는 시각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면 전체적인 움직임도 굼떠진다.
느린 걷기와 노화, 텔로미어를 보다
느린 걷기 속도가 노화의 징후라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다. 가령 2019년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과 미국 듀크 대학 공동 연구진은 뉴질랜드 국적으로 나이가 모두 45세인 피험자 약 100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수집한 신체 및 뇌 기능 검사 결과와 보행 속도 기록을 분석한 결과, 걸음 속도가 느린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19가지 척도에서 더 빠르게 노화하는 징후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들 집단은 MRI 검사 결과에서 뇌의 총 용적과 평균 피질 두께가 더 낮게 나타나기도 했다.
느린 걷기 속도가 노화의 징후라는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다. 가령 2019년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과 미국 듀크 대학 공동 연구진은 뉴질랜드 국적으로 나이가 모두 45세인 피험자 약 100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수집한 신체 및 뇌 기능 검사 결과와 보행 속도 기록을 분석한 결과, 걸음 속도가 느린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19가지 척도에서 더 빠르게 노화하는 징후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들 집단은 MRI 검사 결과에서 뇌의 총 용적과 평균 피질 두께가 더 낮게 나타나기도 했다.
이번에 발표된 영국 레스터대의 연구는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0만 6000여 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가장 특징적인 점은 이들이 피험자의 걷기 속도와 생물학적 노화의 지표인 백혈구 텔로미어의 길이(LTL)를 비교했다는 데 있다. 진핵생물의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이 부위는 유전 정보 없이 무의미한 염기 서열이 반복되는 구간인데, 세포 분열을 거듭할수록 차차 짧아진다. 텔로미어가 계속 짧아지면 세포가 더는 분열할 수 없는 지점에 이르게 되므로 LTL은 생물학적 연령을 판단하는 강력한 지표로 간주된다.
그림 3. DNA 끝에 있는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 때마다 짧아진다. 텔로미어가 다 닳으면 세포는 분열을 멈추게 되므로 텔로미어는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인자로 연구되고 있다. (출처: shutterstock)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레스터대 연구진은 평균 나이 56.5세인 피험자들의 LTL,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한 걷기 가속도 자료, 자가 기록한 걷기 습관 자료를 비교 분석했다. 피험자는 시속 6.4km 이상으로 빠르게 걷는 집단, 시속 4.8km 미만으로 느리게 걷는 집단, 그 사이에 속하는 보통 속도로 걷는 집단으로 나뉘었다. 분석 결과, 빠르게 걷는 집단의 사람은 텔로미어의 길이가 더 길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신체 활동량, 다른 신체 활동과의 상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걷는 속도가 평소 운동을 더 많이 한다거나 더 많이 움직이는 편이라든가 하는 습관의 문제보다 유전적 지표에서 더 큰 상관관계를 보인 것이다.
레스터대 연구진은 평균 나이 56.5세인 피험자들의 LTL,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한 걷기 가속도 자료, 자가 기록한 걷기 습관 자료를 비교 분석했다. 피험자는 시속 6.4km 이상으로 빠르게 걷는 집단, 시속 4.8km 미만으로 느리게 걷는 집단, 그 사이에 속하는 보통 속도로 걷는 집단으로 나뉘었다. 분석 결과, 빠르게 걷는 집단의 사람은 텔로미어의 길이가 더 길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신체 활동량, 다른 신체 활동과의 상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걷는 속도가 평소 운동을 더 많이 한다거나 더 많이 움직이는 편이라든가 하는 습관의 문제보다 유전적 지표에서 더 큰 상관관계를 보인 것이다.
당초 이 연구는 걷는 속도가 평소 건강 상태의 주요 예측 인자임이 잘 알려져 있고, 더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과 심폐 건강이 더 긴 LTL과 관련 있다는 연구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일부러 시간을 내서 해야 하는 운동이 아닌, 걷기와 같은 습관적 움직임과 생물학적 노화 지표의 관계를 살피려 한 것이다. 레스터대 연구진들은 하루에 10분 ‘빠르게’ 걷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연구진의 일원인 톰 예이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빠른 걷기 속도가 텔로미어로 측정되는 생물학적 나이를 더 젊게 만들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준다”고 말하며 건강을 위해 평소 더 많이 걷는 것보다 ‘일부러 더 빨리 걷는’ 습관이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물론 노화란 유전적 요인만으로 전부 설명할 수 없으니, 느리게 걷는 내가 빠르게 걷는 친구보다 노쇠했다고 이르게 낙담하지는 말자. 다만 나의 건강을 위해 친구의 속도에 맞춰 부지런히 다리를 움직여볼 필요는 있겠다.
※ 참고 자료
- 정희원, 『지속가능한 나이듦』(두리반, 2021).
- Rasmussen LJH, Caspi A, Ambler A, et al., “Association of Neuro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With Gait Speed in Midlife,” JAMA Netw Open Vol.2 no.10(2019), https://doi.org/10.1001/jamanetworkopen.2019.13123
- Dempsey, P.C., Musicha, C., Rowlands, A.V. et al., “Investigation of a UK biobank cohort reveals causal associations of self-reported walking pace with telomere length,” Commun Biol Vol.5 no.381(2022), https://doi.org/10.1038/s42003-022-03323-x
- ScienceDaily, “Stop the clocks: Brisk walking may slow biological aging process, study shows,”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2/04/220420133538.htm
- 정희원, 『지속가능한 나이듦』(두리반, 2021).
- Rasmussen LJH, Caspi A, Ambler A, et al., “Association of Neuro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With Gait Speed in Midlife,” JAMA Netw Open Vol.2 no.10(2019), https://doi.org/10.1001/jamanetworkopen.2019.13123
- Dempsey, P.C., Musicha, C., Rowlands, A.V. et al., “Investigation of a UK biobank cohort reveals causal associations of self-reported walking pace with telomere length,” Commun Biol Vol.5 no.381(2022), https://doi.org/10.1038/s42003-022-03323-x
- ScienceDaily, “Stop the clocks: Brisk walking may slow biological aging process, study shows,”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2/04/220420133538.htm
글: 맹미선 과학칼럼니스트 / 일러스트: 이명헌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ScienceON 관련논문
맞는 말 같다. 10대때는 시간당 8Km이상 걸었는데 30대때는 6Km. 50대 후반에는 4Km조금 넘더라.
2022-07-2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