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살아난다고 해도 죽는다 - 크러쉬 증후군

<KISTI의 과학향기> 제776호   2008년 06월 25일
1940년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군의 공격을 받은 런던의 가옥과 건물이 무너지면서 기왓조각과 돌무더기에 매몰되어 구출된 사람들에게 이 증상이 나타난 것이 최초이다. 그 후 1995년 일본 한신 대지진으로 약 400명이 동일한 증상을 보였고, 이 가운데 약 5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2005년에 일본 아마가사키시 JR 후쿠치야마선 기차 탈선사고에도 다수의 사람에게 이 증상이 나타났고, 그중 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크러쉬 증후군(Crush Syndrome)에 대한 설명이다. 크러쉬 증후군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조금 생소한 단어처럼 느껴질 수도 있으나 최근 중국 대지진으로 인해 다시 부각되고 있다. 강진 현장에서 가까스로 구조되었지만 매몰 후유증으로 인해 급사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했다.

허리나 넓적다리 등의 큰 근육이 오랜 시간 동안 압박을 받게 되었을 때 혈류정지 등으로 근육조직의 세포가 죽는다. 근육 내에 산소를 저장하는 미오글로빈에서 만들어진 독성물질이 대량으로 체내에 쌓이게 된다. 구조 후 압박 상태가 갑자기 풀리면서 이 독성물질이 한꺼번에 혈액으로 쏟아져 나와 요세관을 막을 경우 급성신부전이 생기는 것이다. 또는 장시간 압박을 받은 후 혈액 중 칼륨이 급속히 증가해 심장근육 이상으로 부정맥이 생기며 처치가 늦을 경우 사망할 수 있다.

크러쉬 증후군의 경우 저체액성 쇼크의 조기 처치 및 급성신부전증의 예방을 위하여 신속한 수액공급과 강제 이뇨가 시행되어야 한다. 체액이 부족하여 혈압이 저하되는 저체액성 쇼크는 폐쇄된 공간에서 골절로 인한 출혈이 계속될 때 발생한다. 그러므로 가급적 구조현장에서부터 수액을 투여해야 한다.

실제로 재해가 발생했을 때 72시간 안에 매몰된 사람을 구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매몰 상태에 있는 사람이 버틸 수 있는 체력적인 한계치가 약 72시간 정도이기 때문이다. 매몰된 사람들은 건물 더미 속에 갇힌 상태에서 하루 동안 땀으로 1.5ℓ의 수분을 배출한다. 체내에 수분이 부족해지면 혈액 속에 나트륨과 칼륨의 농도가 높아지고 심장을 움직이는 심근의 수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72시간이 지나면 죽어 있는 상태로 구출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살아서 구출된다 하더라도 크러쉬 증후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 때문에 급사할 위험이 크다. 특히 가스 괴저병은 치명적인 전염성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위험하다. 부상 등으로 생긴 상처 부위가 가스 괴저균에 감염되면 박테리아가 내보내는 독성물질이 가스를 만들면서 조직이 괴사하는 병이다. 1~4일간의 잠복기를 거치고, 일단 감염될 경우 발병하면 12시간 내에 즉사하여 사망률이 매우 높다. 가스 괴저병과 같은 전염성을 가진 질병들은 매몰지 전역에 걸쳐 부패된 시체를 빨리 수습하는 것이 가장 큰 예방법이다.

대량 재해로 인해 사람들이 건물의 잔해에 깔려 있는 상황이라면 그 누구를 막론하고 우선은 짓누르고 있는 물체를 치우는 데만 주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조건적인 구조활동은 오히려 그 대상자를 죽음으로 몰고 갈 수도 있다. 따라서 구조에 앞서 구조대원 및 자원봉사자와 의료진과의 긴밀한 팀워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구조 시 전문적인 사전 교육이 충분하게 이루어진 후 구조작업에 임하여야 크러쉬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글 : 윤종근 교수(광주동강대 응급구조과)
평가하기
와호장땡
  • 평점   별 5점

잘 읽었습니다. 좋은 정보 늘 감사합니다.

2023-10-02

답글 0

이미란
  • 평점   별 5점

중요한 사실을 알았네요. 크러쉬증후군!! 이런것은 응급구조를 하는 119 구조대원들에게 반드시 교육을 시켜야하겠네요.

2009-04-13

답글 0

  • 평점   별 4점

그렇군요.. 증상만 알고 병명은 잘 몰랐는데.. 오늘 알았네요~^^*

2008-08-01

답글 0

와룡선생
  • 평점   별 5점

예전에 다큐멘터리에서 봤던 내용을 상기할 수 있어 좋았어요

2008-07-04

답글 0

kkjerry
  • 평점   별 5점

정말 중요한 정보이면서도 가슴 한 켠이.... T.T

2008-07-02

답글 0

이현경
  • 평점   별 5점

맞아요, 외국에서 어떤 등산객이 돌에 깔린 사람을 구하려고 돌을 확들어서 깔린 사람이 그자리에서 즉사했다고 하거든요

2008-06-29

답글 0

김의순
  • 평점   별 5점

의료인이지만 깊게 인지하지 못한 부분입니다. 기아대책에서 장시간 굶주린 사람들이 공중급식으로 보급된음식을 먹고 오히려 죽음을 초래함을 보았습니다. 금식후 정맥주사부터 맞으며 서서히 음식섭취를 해야난 한답니다.갑작스런 변화는 항상 전문적 지원이 동반되어야함을 느낍니다.

2008-06-27

답글 0

김성대
  • 평점   별 5점

사람은 사는동안 어떠한 위기에 처할지 알수가 없다. 나 또한 마찬가지, 혹시라도 주변에서

2008-06-26

답글 0

날자고도
  • 평점   별 5점

얼마전 중국에서 한남자가 방송되다가, 이방법으로 죽더군요.
방송기자는 왜 하필구출되니깐 죽느냐고, 울고...

구출할때에는 지휘소를 만들고, 그 지휘요원에는 여러분야의 전문가를 대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지않을까 합니다.
건축, 경찰, 의료등등의 구조를 통제할 전문가 집단을요

2008-06-26

답글 0

박신규
  • 평점   별 5점

오, 그렇구나

2008-06-26

답글 0

이동현
  • 평점   별 5점

아 이거 넘버원에서 나온듯..... 어쨌든 잊었었는데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06-26

답글 0

김재형
  • 평점   별 5점

정말 중요한 내용이네요...

2008-06-26

답글 0

안호상
  • 평점   별 5점

진정한 응급구조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는 글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리고 크래시 증후군(Crash Syndrome)이라는 새로운 병을 알게 해 줘서 유익했다 생각됩니다.

2008-06-25

답글 0

김진욱
  • 평점   별 5점

살아가며 꼭 알아야 할 상식이기보다 더 중요한 지식이되는 글 감사드림.

2008-06-25

답글 0

명안심
  • 평점   별 5점

궁금증을 알기쉽게 설명해 주셔 감사합니다.

2008-06-25

답글 0

전재우
  • 평점   별 5점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06-25

답글 0

한광석
  • 평점   별 5점

이렇게 중요한 정보는 방송으로 알려주면 어떨까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06-25

답글 0

어깨넘
  • 평점   별 5점

어쨌든 사고는 없어야 좋은데... 너무 안타깝네요!
인체 구조는 너무 신비로운것 같네요!
이러면 살고, 저러면 또 죽고...

삶은 죽음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배 같으네요!
순탄할 수도, 폭풍이 몰아쳐 힘들 수도, 순풍으로 빨리 갈 수도, 무풍으로 힘들 수도...
하나님만이 아실 일일 것 같고, 인간은 열심히 사는 수밖에 없겠죠!

2008-06-25

답글 0

이슬이
  • 평점   별 5점

매몰지에 혹시 모를 생존자를 위해 물을 주기적으로 뿌려주는것도 좋겠어요...

2008-06-25

답글 0

병준아빠
  • 평점   별 5점

아 그렇군요..잘 알았습니다.좋은글 감사합니다.

2008-06-25

답글 0

김종민
  • 평점   별 5점

오홋 이런일이~ 일반인이 할 수 있는 처치 방법도 알려주시면 더욱 좋겠네요

2008-06-25

답글 0

윤순근
  • 평점   별 5점

아~ 그렇쿤요..(크래시증후군! )

2008-06-25

답글 0

문옥동
  • 평점   별 5점

잘 알지못한 점을 알게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8-06-25

답글 0

난킹왕짱천재님
  • 평점   별 5점

오옷굿

2008-06-25

답글 0

ititi008
  • 평점   별 5점

좋은 정보네요...

2008-06-25

답글 0

송종석
  • 평점   별 5점

급할수록 돌아가야함을 다시한번 일깨워 주는글이었습니다. 최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정을 얼마만큼 충실해야하는지도...

2008-06-25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