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운전하는 뇌 비밀은 후두정엽
2017년 07월 26일사람들은 시시각각 교통상황이 변하는 복잡한 도로에서도 큰 어려움 없이 운전을 잘 합니다. 찰나의 실수가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말이죠.
그러나 사람들이 운전을 잘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었습니다. 조금만 배우면 누구나 잘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많은 관심이 쏠리면서 부터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다양한 시각정보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뇌의 알고리즘을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뇌연구원 정수근 뇌신경망 선임연구원은 우리 뇌에서 감각의 콘트롤 박스 역할을 하는 부위에서 물체에 대한 시각정보를 처리하고 필요한 곳에 주의를 집중하는 과정을 밝혀냈습니다.
연구원은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뇌의 뒤쪽 정수리에 있는 후두정엽(posterior parietal lobe)이라는 부위가 여러 개의 물체를 동시에 인식하고 ‘주의’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확인했습니다. 무인자동차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마리가 풀린 것이죠.
첨단 과학기술
우리 뇌가 시작입니다
우리 뇌가 시작입니다
인간이 운전이나 게임을 할 때 여러 개의 물체를 한 번에 인식하고 복잡한 시각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수근 한국뇌연구원 뇌신경망 선임연구원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암컷 개구리, 짝짓기하기 싫어 사망? ‘죽은 척’ 동물 주연상은 누구일까?
- 오는 11월 15일에는 국내 영화의 1년을 결산하는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이 열린다. 대종상을 비롯한 영화 시상식에서는 최고의 연기자를 뽑는 주연상이 매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다. 이러한 명연기는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연에서도 수많은 무명 배우가 자신만의 연기력을 뽐내고 있다. 이들의 특기는 바로, ‘죽은 척’이다. 첫 번째 후보는 암컷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