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스마트폰 카메라로 위조 음료 감지하는 기술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776호 2022년 08월 08일국내 연구팀이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개봉하지 않은 음료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위조 음료 탐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최근 가짜 술, 올리브오일, 꿀 등 위조된 음료의 적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드카 원액에 더 저렴한 알코올 또는 독성이 있을 수 있는 메탄올을 혼합하는 방식과 같이, 이러한 위조 사례는 대부분 원액에 더 저렴한 대체 액체를 섞는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렇게 위조된 음료는 포장 및 봉인이 기존 진품 제품과 동일해 일반 소비자가 위조를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혼합한 대체 액체에 독성이 있는 경우 건강 및 안전과 직결되는 큰 문제다. 하지만 통상적인 위조 음료 판별 방법은 전문적인 실험 장비가 필요해 일반인이 손쉽게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준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위조 음료 탐지 시스템인 ‘LiquidHash’를 개발했다. LiquidHash는 일반 스마트폰을 활용해 병을 개봉하지 않고도 위조 음료를 감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이다. LiquidHash는 병을 흔들었을 때, 병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의 모양과 움직임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활용해서 액체의 진위를 확인한다. 컴퓨터 비전과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해 병 내부에 발생하는 기포의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보드카, 올리브오일, 꿀 등 다양한 음료와 다양한 위조 액체를 활용해 다채로운 조건에서 LiquidHash를 실험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했으며, 실험 결과 높은 정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 교수는 “스마트폰 등 널리 활용되는 컴퓨팅 기기를 활용해 주변 물리적인 환경에 숨어 있는 정보를 추출, 새롭게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의 예”라고 연구의 의의를 전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뛰어난 방음 성능에 전기와 열까지 만드는 방음벽 개발
- 교통 소음을 줄여주는 방음벽에 전기와 열까지 생산하는 다기능 방음벽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변환시스템연구실 연구팀은 PVT 기술과 방음벽을 결합한 형태의 다기능성 방음벽 기술을 개발했다. PVT는 태양광 패널과 태양열 집열기가 융합돼 전기와 열을 같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 태양광 패널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전량이 감소한다...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