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해치지 않아요." 감자칩도 부드럽게 잡아주는 소프트 로봇
<KISTI의 과학향기> 제3876호 2023년 07월 24일감자칩처럼 잘 부서지는 물체도 부드럽게 집을 수 있는 로봇 기술이 나왔다. 유니스트(UNIST) 신소재공학과 김지윤 교수팀과 기계공학과 배준범 교수팀이 부드럽고 유연한 '소프트 로봇'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부품인 '소프트 밸브' 기술을 개발했다.
소프트 밸브는 외부 자극을 감지해 구동부 움직임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튜브 형태의 부품으로, 전기 없이 움직일 수 있어 물속이나 스파크가 튀는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중 기능이 있어 경량화가 가능하고, 부품 한 개당 800원 정도로 저렴하다.
소프트 밸브는 튜브 속을 흐르는 공기로 구동부를 움직인다. 튜브 끝단을 잡아당기면 튜브 속에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실이 튜브를 눌러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조절한다. 아코디언 바람통이 움직이는 것처럼 늘어났다 줄어들며 작동하는 원리다. 튜브에 감겨있는 실의 구조나 개수를 정밀하게 프로그래밍하면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튜브 끝단에 동일한 힘을 가해도 상황에 맞게 바로잡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소프트 밸브를 이용해 다양한 물건을 손쉽게 집는 ‘만능 집게’를 만들었다. 이 집게는 잘 부서지는 감자칩부터 뾰족뾰족한 밤송이, 무겁고 부피가 큰 나무토막까지 잘 집었으며 스파크가 튀는 곳이나 물속에서도 작동했다. 소프트 밸브로 만든 착용형 팔꿈치 보조 로봇은 팔 근육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여준다는 점도 확인했다. 사람의 팔 굽힘 각도에 따라 로봇은 자동으로 팔꿈치 보조력이 증가해, 팔꿈치에 작용하는 힘을 평균 63% 감소시켰다.
연구팀의 소프트 밸브 기술은 근육 부담을 줄여주는 착용형 팔꿈치 수트 등을 만들 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지윤 교수는 "부드럽고 유연한 소프트 로봇 본체와 달리 자극 감지 센서나 구동 제어 부품은 여전히 딱딱한 전자 부품인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센서와 구동 제어 부품도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 냈다"고 설명했다. 배종범 교수는 "개발한 부품은 전자 소자 없이 소재 프로그래밍으로 간단히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웨어러블 시스템의 개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7월 4일 자로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술 마신 사람은 모기의 표적?
- 모기는 사람의 땀 냄새와 호흡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 냄새를 맡고 달려든다. 그런데 술 마신 사람을 유독 좋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술이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요산과 암모니아가 생기는데, 이 냄새도 모기를 끌어들인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이동규 교수는 “술을 마신 뒤 입이나 피부에서 나오는 요산 등의 대사물질이 표적이 되기 쉽다”며 “...
-
- 세계 최초로 구리의 산화 원리 밝혔다
- 구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도체다. 하지만 구리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돼 붉은 갈색에서 청록색으로 바뀐다. 그래서 초정밀 소재 등의 전기회로에는 구리보다 전기전도성도 나쁘고 훨씬 더 비싼 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구리를 단원자층 높이의 얇은 박막으로 만들면 산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