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의사 개미, 스스로 약초를 바르는 오랑우탄… 동물의 슬기로운 치료생활
<KISTI의 과학향기> 제3072호 2024년 06월 24일우리는 다쳤을 때 병원에 가서 의사 선생님께 치료를 받아요. 우리가 키우는 반려동물도 마찬가지예요. 하지만 야생동물은 그렇지 않아요. 먹이 사냥이나 영역 다툼 등으로 다치더라도 돌봐 줄 의사 선생님이 없죠. 그렇다면 야생동물들은 이럴 때 어떻게 대처할까요? 동물들의 슬기로운 치료생활을 들여다봐요!
친구가 다치면 즉각 출동해 치료해주는 의사 개미
놀랍게도 친구가 다치면 즉각 출동해 상처를 치료해주는 동물이 있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에 사는 ‘마타벨레 개미’인데요. 마타벨레 개미는 흰개미를 먹이로 삼습니다. 그런데 흰개미 중에는 몸집이 크고 단단한 병정개미가 있어요. 병정개미는 다른 흰개미를 보호하기 위해 강한 턱뼈로 마타벨레 개미를 공격하죠. 그래서 마타벨레 개미들은 사냥 과정에서 자주 상처를 입곤 해요. 이 중 22%의 개미들은 사냥 중에 다리 한두 개를 잃을 정도로 심각한 부상을 입기도 한답니다.
독일과 스위스의 과학자들은 상처 입은 마타벨레 개미와, 이를 돌보는 의사 마타벨레 개미들의 행동을 관찰했어요. 연구팀의 관찰 결과, 의사 개미는 상처 입은 개미가 세균에 감염되었는지 아닌지를 알아차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개미의 몸 바깥에는 단단한 큐티클 층이 있는데, 의사 개미는 이 부위의 변화로 상처의 감염 여부를 알아냈답니다.
만약 상처가 세균에 감염됐다면, 생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의사 개미가 몸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다친 친구의 상처에 발라 치료하는 모습을 관찰했어요. 이 물질에는 112가지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이 중 절반은 균을 죽이거나,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성분들이었죠. 게다가 이 치료법은 효과가 매우 좋아서, 항생물질로 치료받은 개미들은 사망률이 90%나 줄어들었답니다.
연구를 이끈 에릭 프랭크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동물생태학 및 열대생물학과 교수는 “인간을 제외하고는 이렇게 정교한 의학적 치료를 할 수 있는 생명체는 없다”고 말했어요. 연구팀은 다른 종의 개미들도 마타벨레 개미와 같은 행동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에요.
스스로 약초를 발라 상처 치료하는 오랑우탄
동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상처를 치료하는 야생동물도 있어요. 2022년 6월, 독일과 인도네시아 과학자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수마트라오랑우탄을 관찰하고 있었어요. 오랑우탄 중에는 ‘라쿠스’라는 이름의 수컷 오랑우탄이 있었는데요, 라쿠스는 다른 수컷 오랑우탄과 싸워 얼굴에 상처를 입은 상태였어요.
그런데 상처 입은 라쿠스는 특이한 행동을 보였어요. 다친 지 3일이 지나자, 라쿠스는 ‘아카르 쿠닝’이라는 이름의 덩굴식물을 찾아 입에 넣고 씹었어요. 그리고 그 즙을 몇 분간 상처 부위에 바르는 행동을 반복했죠. 아카르 쿠닝은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사는 식물인데요, 통증을 줄여주고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 이 지역 사람들도 자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연구팀은 라쿠스가 다른 곳은 건드리지 않고, 얼굴에 난 상처에만 여러 번 같은 행동을 한 것으로 볼 때,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한 행동이라고 생각했죠.
이후 연구팀은 며칠간 라쿠스를 관찰했는데요, 라쿠스가 아카르 쿠닝의 즙을 상처에 바른 뒤, 상처는 감염되지 않고 아물기 시작했어요. 한 달 뒤에는 완전히 아물었죠. 신기한 점은 다른 오랑우탄에게서는 같은 행동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라쿠스 혼자 이 치료법을 터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어요. 식물을 먹다가 실수로 상처를 만져 우연히 치료 효과를 알게 됐을 수 있다는 거죠.
그동안 침팬지와 같은 유인원이 상처에 곤충을 바르거나, 특정 식물을 섭취하는 모습을 관찰한 적 있었는데요, 치료를 목적으로 한 행동이 맞는지, 또 정말 치료 효과가 있는지는 확인하기가 어려웠어요. 그런데 이번 연구로 약효가 있는 식물을 자신의 상처에 정확히 활용해 치료하는 동물을 처음으로 발견하게 됐답니다.
동물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스스로 상처를 치료한다는 사실, 놀랍지 않나요? 이런 발견은 동물이 생존을 위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배울 점을 제공해 줍니다. 예를 들어 마타벨레 개미를 감염시키는 세균은 인간에게도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 중 하나인데요, 마타벨레 개미가 사용하는 항생물질을 연구하면 인간에게도 쓸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을 개발할 수도 있답니다.
이런 상처는 약초 좀 씹어 바르면 싹~ 나아.
상처 보여주세요~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책을 읽거나, 종이접기에 집중하다가 종이에 베여본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얇은 종이에 베인 건데도, 칼에 베인 것만큼이나 따갑습니다. 종이에 베인 상처에선 피도 거의 나지 않는데 왜 이렇게 따가운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이 엉뚱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파헤친 연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