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벼락 맞아도 멀쩡, 오히려 이득 보는 나무가 있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154호 2025년 05월 12일우르릉 쾅! 천둥소리와 함께 하늘에서 번쩍이며 내리치는 벼락은 수백만 볼트의 전기를 품고 있어요. 그래서 벼락을 맞으면 사람은 물론이고 나무도 큰 피해를 입습니다. 벼락에 맞은 나무는 불이 붙어 타거나, 나무에 있던 물이 끓으면서 잎과 조직이 파괴돼 결국 죽고 맙니다. 해마다 수억 그루의 나무가 벼락에 맞아 죽는다고 해요.
그런데! 벼락을 맞아도 끄떡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잘 자라는 나무가 처음으로 발견됐어요. 대체 어떤 나무일까요?
사진 1. 나무가 벼락을 맞으면 불이 붙고, 잎과 조직이 파괴돼 죽게 된다. ⓒshutterstock
벼락 맞고 혼자만 살아남는 나무
미국 캐리생태계연구소 연구팀은 파나마의 열대우림에서 벼락이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 있었어요. 그러다 우연히 주변 나무 수십 그루가 죽을 만큼 강력한 벼락이 쳤는데도 혼자 멀쩡히 살아남은 나무를 발견했어요. 이 나무가 바로 오늘의 주인공, 중앙아메리카 열대우림에 사는 ‘알멘드로 나무(Dipteryx oleifera)’입니다. 이후에도 연구팀은 알멘드로 나무들이 벼락을 맞고 살아남는 모습을 여러 번 목격했고, 이 신기한 나무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언제, 어떤 나무가 벼락을 맞았는지, 벼락을 맞은 나무는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 꼼꼼히 기록했어요. 특히 벼락을 직접 맞은 알멘드로 나무 9그루와 다른 나무 84그루를 비교했죠. 그 결과, 알멘드로 나무는 아주 적은 피해만 입고 모두 살아남았어요. 반면 다른 나무들은 벼락에 맞은 뒤 심각한 손상을 입어 64%가 2년 안에 죽었어요.
더 놀라운 사실도 있어요. 벼락을 맞은 알멘드로 나무는 멀쩡했지만, 주변 나무들이 감전돼 죽었다는 거예요. 알멘드로 나무의 줄기와 가지로 전기가 흐르면서 주변 나무들을 감전시킨 거죠. 평균 9.2그루의 주변 나무들이 감전돼 죽었어요. 심지어 알멘드로 나무에 기생하던 덩굴 식물들도 같이 감전돼 78%나 사라졌답니다.
일부러 벼락 맞도록 진화했다?
주변 나무들이 줄어들면 햇빛도 더 많이 받고, 넓은 공간에서 쑥쑥 자랄 수 있겠죠? 실제로 알멘드로 나무는 주변 나무보다 약 4m 더 크고, 씨앗도 14배나 더 많이 남길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알멘드로 나무가 일부러 벼락을 맞도록 진화했을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벼락은 주로 높고 뾰족한 물체에 떨어지는데요, 알멘드로 나무는 다른 나무보다 키가 크고, 물이 흐르는 통로가 길어서 벼락에 맞을 확률이 68%나 더 높다고 해요. 원래 벼락에 맞을 확률은 희박한데, 연구팀이 관찰한 5년 동안 한 알멘드로 나무는 무려 두 번이나 벼락을 맞았어요. 물론 두 번 다 멀쩡히 살아남았죠.
보통은 생명을 위협하지만, 알멘드로 나무에는 벼락이 성장과 번식의 기회가 될 수 있다니 너무 신기하죠? 앞으로 과학자들은 알멘드로 나무가 어떻게 벼락을 견디는지, 비슷한 능력을 가진 다른 나무들도 있는지 더 깊이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4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한살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4학년 1학기 과학 - 식물의 한살이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우주에 오래 머물면 몸이 약해진다?!
- 지난 3월, 우주선 문제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9개월 동안 머물렀던 우주비행사 2명이 무사히 지구로 돌아왔어요. 그런데 우주에 너무 오래 머문 탓일까요? 우주비행사들은 불과 9개월 만에 흰머리가 자라고, 살도 빠진 상태였어요. 전문가들은 우주 환경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우주에서 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기에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걸까요? 사진...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소행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든다? 미래 우주 식량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비행사들이 밥을 먹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지구에서의 식사 시간과는 많이 다른 풍경을 하고 있죠. 음식과 그릇이 둥둥 떠다니기에, 지구에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음식이 떠다니는 것을 막기 위해 벨트로 고정시키고, 특별히 제작된 ‘우주 식량’을 먹곤 하죠. 우주비행사들은 어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나도 살아야지" 짝짓기 상대를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