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新 가뭄 해결사, 과일 숙성시키는 에틸렌!
<KISTI의 과학향기> 제1690호 2012년 09월 10일
귤, 바나나, 감 등 과일의 당도를 높이고 빨리 숙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에틸렌 가스 분사가 있다. 예를 들어 생감에 에틸렌 가스를 쐬면 특유의 떫은맛이 제거되며 금세 홍시로 익는다. 이렇듯 에틸렌은 과일을 익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식물이 가뭄이나 추위 등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도 배출돼 식물을 시들게 하고 과일을 지나치게 숙성시키게도 만든다. 하지만 어떤 원리 때문인지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최근 미국 솔크 생물학연구소 조세프 엑커 교수팀이 에틸렌에 대한 식물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과 매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애기장대에 에틸렌 가스를 쐬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때 ‘EIN2’ 단백질이 세포의 핵으로 에틸렌 배출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 중 홍 치아오 박사는 “가뭄이 들면 작물에 에틸렌 억제제를 뿌려 식물이 시드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식물이 에틸렌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을 더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작물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지 2012년 8월 30일 온라인 속보판에 실렸다.
최근 미국 솔크 생물학연구소 조세프 엑커 교수팀이 에틸렌에 대한 식물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과 매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애기장대에 에틸렌 가스를 쐬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때 ‘EIN2’ 단백질이 세포의 핵으로 에틸렌 배출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 중 홍 치아오 박사는 “가뭄이 들면 작물에 에틸렌 억제제를 뿌려 식물이 시드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식물이 에틸렌에 반응하는 메커니즘을 더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작물을 잘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지 2012년 8월 30일 온라인 속보판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
이 분야가 좀 더 개발이 된다면 후에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겠네요.
2012-11-2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