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골프가 이렇게 힘들줄이야!-골프 속의 물리-
<KISTI의 과학향기> 제83호 2004년 01월 21일
우리나라에서는 골프가 고급스포츠라는 인식이 아직도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박세리, 최경주, 박지은, 미셸 위 등을 위시한 많은 프로골퍼들이 해외에서 화려한 성적을 거두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이제 주변에서 골프를 배우려는 학생들을 찾아보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며, 비즈니스 상 골프를 치는 사람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그러나 골프를 시작했거나 구력이 웬만큼 되었다고 하는 골프인조차도 예외 없이 골프 치는 것이 어렵다고 말하곤 한다. 헛스윙 단계를 넘겨도 좀처럼 골프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날아가 주지 않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골프를 잘 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골프라는 운동 경기 속에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를 탐구해 보는 것도 그 한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먼저, 장타를 치기 위해서는 토크(torgue)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토크는 회전력에 의해서 나타나는 힘, 즉 원심력의 일부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물리학적으로 토크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토크=회전중심에서 힘이 작용하는 곳까지의 거리 X 힘의 수직 성분
토크의 정의를 보면, 회전 중심에서 힘이 미치는 곳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강한 힘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토크의 개념을 골프에 적용해 보면 토크를 가장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은 길이가 가장 긴 클럽이다. 그래서 골프 경기를 하면서 첫번째 공 때림은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공의 비거리(비행거리)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서 길이가 가장 긴 1번 우드로 드라이버 샷을 하는 것이다. 골프 클럽의 종류에 따른 평균 비거리를 미터(m)로 나타내 보면 1번 우드가 180~240m, 2번 우드가 170~210m, 2번 아이언이 160~180m, 3번 아이언은 150~170m 등 다양하다.
골퍼가 골프채를 휘두르기 위해서는 어깨 너머로 클럽을 번쩍 들어 올려야만 한다. 그러면 어깨 위에서 멈춘 클럽은 위치 에너지를 갖게 된다. 이 에너지에 골퍼가 클럽을 휘둘러서 생기는 운동 에너지를 더하면 그것이 골프공을 때리는 총 에너지가 된다. 물론, 골프공은 두 에너지가 강할수록 큰 충격을 받아서 멀리 날아가게 된다. 이들 에너지를 전부 골프공을 때리는 데 사용하면 가장 좋지만 실제로는 공기를 포함한 여러 마찰 요소가 적잖게 있어서 클럽을 휘두르고, 클럽과 공이 충돌하고, 공이 날아가는 어떠한 경우에도 에너지의 소모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 때 무의미하게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티(골프공을 올려 놓는 받침대) 위에 올려 놓고 공을 치는 것이다. 티샷을 하지 않고 잔디에 골프 공을 내려 놓은 상태에서 클럽을 휘둘러서 공만을 완벽하게 때려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백이면 백 어쩔 수 없이 공과 함께 땅을 내려치게 마련인 까닭이다. 그래서 이 에너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18홀의 정규 골프 코스 가운데, 홀까지의 거리가 200m를 넘을 경우 대개 첫 번째 샷은 티샷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스윙하기 직전의 팔 위치도 공의 비상거리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클럽을 들고 있는 팔의 높이가 높을수록 위치 에너지가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골프채를 높이 쳐든 상태에서 휘두르면 보다 큰 에너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공을 더욱 멀리 날려보낼 수 있는 것이다.
옆에서 골프 치는 것을 보면 그리 어렵지 않은 듯 보이지만, 실제 해 보면 마음먹은 대로 쉽게 되지 않는 것이 골프라 한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클럽 선택, 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훈련, 스윙의 자세 등 고려사항이 아주 많은 것이 그 이유다. 관람자 입장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골프의 이런 물리학적 원리를 알고 골프경기를 관람하면 즐거움을 배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글: 송은영/ 과학칼럼니스트, ‘교과서 밖에서 배우는 재미있는 물리 상식’의 저자)
먼저, 장타를 치기 위해서는 토크(torgue)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토크는 회전력에 의해서 나타나는 힘, 즉 원심력의 일부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물리학적으로 토크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토크=회전중심에서 힘이 작용하는 곳까지의 거리 X 힘의 수직 성분
토크의 정의를 보면, 회전 중심에서 힘이 미치는 곳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강한 힘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토크의 개념을 골프에 적용해 보면 토크를 가장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은 길이가 가장 긴 클럽이다. 그래서 골프 경기를 하면서 첫번째 공 때림은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공의 비거리(비행거리)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서 길이가 가장 긴 1번 우드로 드라이버 샷을 하는 것이다. 골프 클럽의 종류에 따른 평균 비거리를 미터(m)로 나타내 보면 1번 우드가 180~240m, 2번 우드가 170~210m, 2번 아이언이 160~180m, 3번 아이언은 150~170m 등 다양하다.
골퍼가 골프채를 휘두르기 위해서는 어깨 너머로 클럽을 번쩍 들어 올려야만 한다. 그러면 어깨 위에서 멈춘 클럽은 위치 에너지를 갖게 된다. 이 에너지에 골퍼가 클럽을 휘둘러서 생기는 운동 에너지를 더하면 그것이 골프공을 때리는 총 에너지가 된다. 물론, 골프공은 두 에너지가 강할수록 큰 충격을 받아서 멀리 날아가게 된다. 이들 에너지를 전부 골프공을 때리는 데 사용하면 가장 좋지만 실제로는 공기를 포함한 여러 마찰 요소가 적잖게 있어서 클럽을 휘두르고, 클럽과 공이 충돌하고, 공이 날아가는 어떠한 경우에도 에너지의 소모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 때 무의미하게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이는 방법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티(골프공을 올려 놓는 받침대) 위에 올려 놓고 공을 치는 것이다. 티샷을 하지 않고 잔디에 골프 공을 내려 놓은 상태에서 클럽을 휘둘러서 공만을 완벽하게 때려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백이면 백 어쩔 수 없이 공과 함께 땅을 내려치게 마련인 까닭이다. 그래서 이 에너지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18홀의 정규 골프 코스 가운데, 홀까지의 거리가 200m를 넘을 경우 대개 첫 번째 샷은 티샷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스윙하기 직전의 팔 위치도 공의 비상거리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클럽을 들고 있는 팔의 높이가 높을수록 위치 에너지가 따라서 증가하기 때문이다. 골프채를 높이 쳐든 상태에서 휘두르면 보다 큰 에너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공을 더욱 멀리 날려보낼 수 있는 것이다.
옆에서 골프 치는 것을 보면 그리 어렵지 않은 듯 보이지만, 실제 해 보면 마음먹은 대로 쉽게 되지 않는 것이 골프라 한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클럽 선택, 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훈련, 스윙의 자세 등 고려사항이 아주 많은 것이 그 이유다. 관람자 입장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골프의 이런 물리학적 원리를 알고 골프경기를 관람하면 즐거움을 배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글: 송은영/ 과학칼럼니스트, ‘교과서 밖에서 배우는 재미있는 물리 상식’의 저자)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수력 엘리베이터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달 남극 정복하려는 주요국들의 단두대 매치, 목적과 현황은?
- 36초 남은 마라톤 ‘2시간의 벽’, 과학이 도와줄 수 있을까?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 무음은 소리 ‘없을 무(無)’? 뇌에게는 ‘있을 유(有)’다!
- 영화 <오펜하이머> 개봉: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의 파란만장한 인생
-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ㅎㅎ우리 나라 선수들 골프를 너무 잘해서 기분이 좋습니다. 운동도 잘 하려면 과학적인 원리를 잘 이용해야겠군요. ^^
2009-04-06
답글 0
항상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
2009-04-0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