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따가운 뙤약볕으로부터 피부를 지켜라!
<KISTI의 과학향기> 제3080호 2024년 07월 22일습한 공기와 함께 기온이 30℃를 훌쩍 넘어가는 여름. 무더위를 피해 산으로, 바다로, 수영장으로 떠나기 좋은 계절입니다. 그런데 정신없이 물놀이를 즐기고 며칠 뒤, 거울을 들여다보면 피부가 어둡게 변한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분명 자외선 차단제도 잘 발랐는데, 왜 피부색이 변한 걸까요?
피부가 타는 건 ‘멜라닌’ 때문!
햇빛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과 눈으로 볼 수 없는 적외선, 자외선 등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자외선은 우리 몸이 비타민 D를 만들 때 필요합니다. 다만 너무 오래 쬐면 피부가 따가워지고, 기미와 주근깨가 생기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 피부암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 몸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해 ‘멜라닌’을 만들어 냅니다. 멜라닌은 머리카락과 피부, 눈동자 등 신체 부위의 색깔을 결정하는 어두운 색소입니다. 인종에 따라 피부색이 다른 것도 멜라닌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외선을 쬐면, 피부 가장 안쪽에서 멜라닌 색소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멜라닌 색소는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 바깥쪽으로 올라옵니다. 그래서 햇빛 아래서 뛰어놀고 몇 시간이 지난 후에야 피부가 짙은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멜라닌은 자외선이 우리 몸에 침투하는 것을 막습니다. 또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푸석해지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만약 몸에 멜라닌 색소가 적다면, 피부가 잘 타지 않는 대신, 화상을 입거나 통증을 느끼기 쉽습니다.
‘멜라닌이 자외선을 차단하니, 자외선 차단제를 안 발라도 괜찮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요. 멜라닌 색소가 자외선을 차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피부 질환을 예방하고, 기미, 주근깨가 진해지지 않도록 막으려면 흐린 날에도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발라야 한답니다.
한번 탄 피부색은 영원히 돌아오지 않을까?
그런데 멜라닌 색소 때문에 변한 피부색은 언제쯤 원래대로 돌아올까요? 햇빛 아래에서 얼마나 오래 뛰어놀았는지, 피부를 어떻게 관리했는지, 피부 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2달 후에는 원래 색으로 돌아옵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외선에 의해 어둡게 변한 피부 세포가 각질이 돼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죠. 이와 동시에 새로운 피부 세포가 만들어져, 피부는 다시 원래 색으로 돌아옵니다. 물론 햇빛에 너무 오래 노출됐거나, 피부를 일부러 태우기 위해 태닝 제품을 자주 사용했다면 피부색이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으니 유의할 필요가 있어요.
사진 4. 햇빛에 너무 오랜 시간 노출되거나, 태닝 제품을 사용했다면 피부색이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 ⓒshutterstock
결국 피부색이 어둡게 변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사람마다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는 정도가 다르므로 타는 정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피부가 타는 걸 예방하기 위해선 자외선 차단 기능이 뛰어난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그리고 자주 덧발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자외선이 강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에는 야외 활동을 피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에요. 이번 여름에는 너무 많이 타지 않도록 조심해 봐요!
자외선 공격이다! 멜라닌으로 막아라!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5학년 2학기 과학 - 날씨와 우리 생활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소행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든다? 미래 우주 식량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비행사들이 밥을 먹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지구에서의 식사 시간과는 많이 다른 풍경을 하고 있죠. 음식과 그릇이 둥둥 떠다니기에, 지구에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음식이 떠다니는 것을 막기 위해 벨트로 고정시키고, 특별히 제작된 ‘우주 식량’을 먹곤 하죠. 우주비행사들은 어떤 ...
-
- [과학향기 for Kids] 지진운, 동물의 이상행동… 지진 전조 현상은 정말 있을까?
- 지난 8월 8일, 일본 남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일본은 원래 1년에 약 1500번의 지진이 날 만큼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나라지만, 100~150년마다 거대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형 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일본 기상청은 사상 처음으로 대지진 주의보를 발령했어요. 다행히 주의보는 해제됐고 대지진은...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