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귀벌레로 뇌의 네트워크 형성 이해
<KISTI의 과학향기> 제2825호 2016년 12월 26일아침에 라디오에서 들은 노래가 하루 종일 맴도는 현상을 ‘귀벌레’라고 한다. 주로 특이한 멜로디가 반복되는 후렴구에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데, 최근 영국의 더럼대와 골드스미스대, 런던대, 독일의 튀빙겐대의 공동연구팀이 귀벌레가 나타나는 노래의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귀벌레 현상이 나타나는 노래 100곡을 조사했고, 이 노래의 음악 차트의 기간과 순위를 조사했다. 이 100곡과 비슷한 장르, 재생시간을 가진 또 다른 100곡도 조사해 멜로디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귀벌레를 일으키는 곡은 상대적으로 음악 차트의 높은 순위에 오래 있었으며, 멜로디는 평범했지만, 특이한 음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기치 못하는 음정이 튀어나오거나, 그 부분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귀벌레 현상을 분석한 첫 연구로, “귀벌레 현상은 뇌의 인지, 감정, 기억 등과 많은 연관이 있다”며 “뇌가 생각이나 인지, 감정, 기억 등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만드는지 이해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는 ‘미학, 창의성, 예술심리학’ 11월 3일자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