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기차에선 왜 멀미가 안 날까?
<KISTI의 과학향기> 제786호 2008년 07월 18일
마음을 설레게 하는 여행이지만 때론 멀미라는 불청객이 찾아와 심신을 지치게 만든다. 멀미는 귓속 세반고리관 안에 있는 림프액에 의해 얻어진 정보와 눈으로 보는 시각 정보가 불일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안에서 책을 읽을 때 시각적으로는 몸이 거의 정지되어 있는데 림프액은 뇌에 몸이 전후좌우, 상하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고함으로써 뇌가 균형감각을 잃는 것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차멀미, 뱃멀미, 비행기멀미는 있지만 기차멀미는 없다. 어째서 기차는 다른 운송수단과 달리 멀미를 유발하지 않는 걸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은 보행을 해서 전후좌우의 움직임에는 적응력을 가지고 있지만 상하운동에는 비교적 익숙하지 않다. 자동차나 버스, 배, 비행기는 상하운동이 많은 반면 기차나 지하철은 평평한 철로 위를 다니므로 상하운동이 매우 적고, 이러한 이유로 기차에서는 멀미가 잘 안 나타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
그럼 눈을 감으면 멀미가 안 나나요?
2008-07-18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