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능력치가 다를 뿐, 뇌 기능의 절정은 없다
<KISTI의 과학향기> 제2346호 2015년 03월 16일
나이가 들면 뇌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고, 그래서 나이가 들면 공부가 하기 힘들다는 이유를 나이에 돌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것은 어른들의 ‘핑계’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병원에서 뇌 기능에 대한 연구를 48,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인간의 뇌 기능에 절정을 보이는 시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발휘되는 특정 능력이 다를 뿐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 18세에는 생각을 빠르게 해내는 능력이 탁월했고, 25세에는 단기 기억력이 가장 좋았다. 4~50대에는 사람의 감정을 읽는 능력이 좋았고, 더 많은 나이의 어른들은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이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로라 저민 박사는 뇌의 기능이 가장 좋을 때는 없다며, 나이가 듦에 따라 인지기능은 감소할 수 있지만 다른 능력을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의 시사잡지 <유에스뉴스앤월드리포트>가 현지시간으로 3월 10일자로 보도했다.
최근 미국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병원에서 뇌 기능에 대한 연구를 48,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인간의 뇌 기능에 절정을 보이는 시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발휘되는 특정 능력이 다를 뿐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 18세에는 생각을 빠르게 해내는 능력이 탁월했고, 25세에는 단기 기억력이 가장 좋았다. 4~50대에는 사람의 감정을 읽는 능력이 좋았고, 더 많은 나이의 어른들은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이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로라 저민 박사는 뇌의 기능이 가장 좋을 때는 없다며, 나이가 듦에 따라 인지기능은 감소할 수 있지만 다른 능력을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의 시사잡지 <유에스뉴스앤월드리포트>가 현지시간으로 3월 10일자로 보도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바닷속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성분 분해 미생물 발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화합물인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쓰이는 벤젠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특히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지난해 1월부터 옥시벤존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
-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 최근 자폐증을 앓고 있는 변호사가 주인공인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자폐증에 대한 관심이 크다. 자폐증은 사회적 의사소통 결핍이나 이상, 반복적이거나 틀에 박힌 행동 문제가 유아 시절 시작돼 거의 평생 지속되는 뇌 신경 발달장애다. 아직까지 자폐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제도 없다. ...
-
- 미세 플라스틱 걱정 없는 생분해 소재 개발!
- 화장품, 비누, 치약 등 우리가 쓰는 많은 생활용품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로비즈’는 최대 지름이 5㎜ 이하인 미세 플라스틱 입자로, 세정력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사용 후에는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 수생 동물 생태계에 위협이 되며,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인지기능 감소는 학업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지 않나요? 나이들어 머리가 안돌아가 공부가 어렵단건 단지 핑계가 아니라고 보는게 연구결과를 보다 잘 해석한 것이 아닐런지요..
오타 ㅡ 세번째문단 마지막줄 놓은 -> 높은
2015-03-1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