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전설: 기타리스트 겸 과학자, ‘브라이언 메이’
2023년 09월 25일1
KISTI의 과학향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전설
기타리스트 겸 과학자,
'브라이언 메이'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전설
기타리스트 겸 과학자,
'브라이언 메이'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We will rock you>
<Bohemian rhapsody>
<Somebody to love> 등
<Bohemian rhapsody>
<Somebody to love> 등
숱한 히트곡으로 유명한 록밴드 퀸(Queen)은
음악뿐만 아니라 공부까지 잘한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밴드였다.
음악뿐만 아니라 공부까지 잘한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밴드였다.
3
세상을 떠났지만, 전설로 남은 보컬 프레디 머큐리는
일링예술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했다
드러머 로저 테일러는 퀸 메리 런던 대학교에서 치의학을,
베이시스트 존 디콘은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전기 전자공학을 마쳤다.
세상을 떠났지만, 전설로 남은 보컬 프레디 머큐리는
일링예술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했다
드러머 로저 테일러는 퀸 메리 런던 대학교에서 치의학을,
베이시스트 존 디콘은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전기 전자공학을 마쳤다.
모두 각 분야에서 알아주는 명문대들이다.
4
하지만 이들 중 최고는 단연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다.
브라이언 메이는 작곡, 연주, 보컬까지 능한 멀티플레이어다.
심지어 아버지와 함께 기타 ‘레드 스페셜’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중 최고는 단연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다.
브라이언 메이는 작곡, 연주, 보컬까지 능한 멀티플레이어다.
심지어 아버지와 함께 기타 ‘레드 스페셜’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5
동시에 그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천체물리학을 전공한 과학자이기도 했다.
음악성과 손재주는 물론, 과학적 소양까지 갖춘
‘팔방미인’이라 할 수 있겠다.
동시에 그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천체물리학을 전공한 과학자이기도 했다.
음악성과 손재주는 물론, 과학적 소양까지 갖춘
‘팔방미인’이라 할 수 있겠다.
6
이런 브라이언 메이의 과학적 소양은
숨겨진 명곡 <’39>에서 잘 드러난다.
이런 브라이언 메이의 과학적 소양은
숨겨진 명곡 <’39>에서 잘 드러난다.
환경 변화로 위기에 빠진 지구에서
새로운 행성을 찾아 떠난 탐사대가
1년 만에 돌아왔다는 노래다.
새로운 행성을 찾아 떠난 탐사대가
1년 만에 돌아왔다는 노래다.
7
희망찬 소식을 품고 온 탐사대는
곧 깊은 절망에 빠지게 된다.
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간지연 현상으로
지구에선 무려 100년이 지난 것이다.
희망찬 소식을 품고 온 탐사대는
곧 깊은 절망에 빠지게 된다.
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간지연 현상으로
지구에선 무려 100년이 지난 것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전개된 바 있다.
비슷한 내용이 전개된 바 있다.
8
<’39>를 통해 과학과 예술을 융합한
브라이언 메이는 바쁜 와중에도
천체물리학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다.
<’39>를 통해 과학과 예술을 융합한
브라이언 메이는 바쁜 와중에도
천체물리학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다.
2007년 8월에는 37년의 연구 끝에
‘황도광의 티끌 구름’을 소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황도광의 티끌 구름’을 소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9
황도광은 태양의 이동 경로(황도면)를 따라 분포하는
먼지‧입자가 반사하는 빛이다.
황도광은 태양의 이동 경로(황도면)를 따라 분포하는
먼지‧입자가 반사하는 빛이다.
그 변화를 분석하면 보다 먼 우주의
천체 분포를 예측할 수 있어
천문학자들이 연구 중인 주제다.
천체 분포를 예측할 수 있어
천문학자들이 연구 중인 주제다.
10
이후 브라이언 메이는 모교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천문학 연구소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브라이언 메이는 모교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천문학 연구소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2016년엔 화성과 목성 사이 위치한 ‘소행성 17473’에
프레디 머큐리라는 명칭을 붙이자고 제안해
국제천문연맹(IAU)의 승인을 받았다.
프레디 머큐리라는 명칭을 붙이자고 제안해
국제천문연맹(IAU)의 승인을 받았다.
11
2019년에는 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의
업적을 기념해 헌정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의
업적을 기념해 헌정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12
브라이언 메이는 실제
NASA가 진행하는 뉴호라이즌스 명왕성 탐사 임무에 참가했다.
브라이언 메이는 실제
NASA가 진행하는 뉴호라이즌스 명왕성 탐사 임무에 참가했다.
13
올해에도 브라이언 메이는
과학 이슈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세계 최초로 3차원(3D) 소행성 지도책을 출간한 것이다.
올해에도 브라이언 메이는
과학 이슈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세계 최초로 3차원(3D) 소행성 지도책을 출간한 것이다.
제목은
‘베누 3-D: 소행성의 구조(Bennu 3-D: Anatomy of an Asteroid)’
‘베누 3-D: 소행성의 구조(Bennu 3-D: Anatomy of an Asteroid)’
14
이는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보내온
소행성 베누의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이는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보내온
소행성 베누의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브라이언 메이는 단테 로레타, 카리나 A. 베넷 등
천문학자 4인과 함께 당당히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천문학자 4인과 함께 당당히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15
놀라운 점은
2020년 내한 공연, 2022년 솔로 2집 재발매 등
음악 활동도 여전히 활발하다는 것이다.
놀라운 점은
2020년 내한 공연, 2022년 솔로 2집 재발매 등
음악 활동도 여전히 활발하다는 것이다.
지난 3월에는 음악적 성과와 함께
오랫동안 진행해 온 동물권 향상 활동을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기도 했다.
오랫동안 진행해 온 동물권 향상 활동을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기도 했다.
16
예술과 과학.
두 영역에서 재능을 드러낸 이는 많지만,
동시에 성과를 내는 것은 매우 힘들다.
예술과 과학.
두 영역에서 재능을 드러낸 이는 많지만,
동시에 성과를 내는 것은 매우 힘들다.
전설적 기타리스트이자 훌륭한 과학자,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브라이언 메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르네상스 맨’이라 부를 만하다.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브라이언 메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르네상스 맨’이라 부를 만하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암컷 개구리, 짝짓기하기 싫어 사망? ‘죽은 척’ 동물 주연상은 누구일까?
- 오는 11월 15일에는 국내 영화의 1년을 결산하는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이 열린다. 대종상을 비롯한 영화 시상식에서는 최고의 연기자를 뽑는 주연상이 매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다. 이러한 명연기는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연에서도 수많은 무명 배우가 자신만의 연기력을 뽐내고 있다. 이들의 특기는 바로, ‘죽은 척’이다. 첫 번째 후보는 암컷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