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2023년 05월 08일예술작품,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높은 완성도, 예술사적 가치, 대중적 인기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최근 과학자들이 오래된 명화에서
당시 대기환경을 유추해 화제가 되고 있다.
유행, 문화사조와 같은 문화적 시대상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지난 1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는
소르본대 기상학연구소의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전했다.
인상파 화가의 작품에서
당시 대기오염의 증거를 찾은 것이다.
당시 대기오염의 증거를 찾은 것이다.
연구진은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의
작품 약 100점을 분석했다.
터너의 작품은 1796년부터 1850년 사이,
모네의 작품은 1864년부터 1901년 사이에 그려진 것이다.
모네의 작품은 1864년부터 1901년 사이에 그려진 것이다.
당시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속도로 대기오염이 확산되는 시기였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면
풍경이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그대로 그림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풍경이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그대로 그림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연구진은 수학적 모델을 활용해
대기상태와 그림 속 사물 윤곽의 상호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산화황 농도가 높을수록
윤곽 또한 흐릿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윤곽 또한 흐릿해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무런 브레이크가 없었던 공해물질 발산은
수십 년 사이에도 급격히 진행됐다.
연구진은 두 화가의
초반기 작품과 후반기 작품을 분석해,
가시성이 24배 이상 차이 났다는 결과도 도출했다.
초반기 작품과 후반기 작품을 분석해,
가시성이 24배 이상 차이 났다는 결과도 도출했다.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화가 렘브란트의 그림에서도
대기오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일명 [야경]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걸작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덴부르크의 순찰대]다.
[프란스 반닝 코크와 빌럼 반 루이덴부르크의 순찰대]다.
높이 379.5cm, 폭 453.5cm, 무게 337㎏에 달하는 이 작품은
원래 밤을 묘사하는 그림이 아니었다.
30명이 넘는 사람들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담아낸 밝고 활기찬 그림이었던 것.
역동적으로 담아낸 밝고 활기찬 그림이었던 것.
문제는 렘브란트가 사용했던 연백 물감.
여기 포함된 납 성분이 대기 중 황과 결합하며
어두운색으로 변했다.
산업혁명으로 대기오염이 심각해진 탓에
그림 자체가 어두워지면서
야경이 돼버린 것이다.
그림 자체가 어두워지면서
야경이 돼버린 것이다.
지난 2014년에는 그리스 연구진이
일몰 그림을 분석해 대기 상황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1500년부터 2000년까지
풍경화를 50년 단위로 분류해
하늘이 얼마나 붉은지를 조사했다.
풍경화를 50년 단위로 분류해
하늘이 얼마나 붉은지를 조사했다.
미세입자인 에어로졸이 많을수록
빛의 산란이 활발해져 하늘은 붉어진다.
실제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20세기 말의 대기오염 정도가
19세기에 비해 명백히 심했다는 사실이
그림 속에 유의미하게 반영됐다.
20세기 말의 대기오염 정도가
19세기에 비해 명백히 심했다는 사실이
그림 속에 유의미하게 반영됐다.
미세먼지는 현재진행형이다.
현재 창작 중인 예술작품 역시 자신도 모르게
이런 환경을 반영하고 있진 않을까?
예술작품의 과학적 재해석이야말로 어쩌면
과학과 예술의 새로운 접점이 될 수 있겠다고
기대하게 된다.
과학과 예술의 새로운 접점이 될 수 있겠다고
기대하게 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넷플릭스도 인정한 교감능력, 볼수록 놀라운 문어의 사회성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의 문어 선생님’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박물학자인 크레이그 포스터는 남아공 바다에서 한 문어를 만난다. 처음엔 그를 경계하던 문어는 매일 찾아오는 인간이 익숙해지자 친근함을 느끼며 교감을 시작한다. 거듭된 작업으로 우울증에 걸린 포스터에게 문어와의 만남은 활력소가 되어 줬다. 반려동물을 통해 삶을 위로받는 것처럼 문어와 교감...
-
-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 예술작품,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높은 완성도, 예술사적 가치, 대중적 인기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최근 과학자들이 오래된 명화에서 당시 대기환경을 유추해 화제가 되고 있다. 유행, 문화사조와 같은 문화적 시대상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
-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 1 눈부시게 밝은 태양과 넘실거리는 바다, 피서와 로망의 계절 여름에도 불청객은 존재한다. 앵앵거리는 소음과 가려움으로 불쾌감을 안기는 모기가 대표적이다. 2 그런데 여럿이 함께 있다 보면 유독 모기에게 인기 많은(?) 사람이 있다. 모기도 사람을 가리는 걸까? 3 최근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가 특별히 좋아하는 색이 있다고 발표했다. 국제학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