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맛과 향, 건강까지 드려요!-녹차-
<KISTI의 과학향기> 제63호 2003년 12월 05일
12월, 잦은 송년회로 심신이 고달파지기 마련이다. 이맘때면 대부분 질병을 이겨내는 면역력도 크게 떨어지게 된다. 평소 같으면 대수롭지 않게 넘길 감기에도 며칠씩 심한 몸살을 앓는 경우도 많다. 이럴 때 일상적인 약으로 겨울 건강을 지키는 것보다 따뜻한 차(茶) 한잔으로 우리 몸의 면역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건강까지 지킬 수가 있다. 특히, 녹차는 독특한 향과 맛을 즐기면서 건강까지 챙길 수 있어 금상첨화다. 기록상(삼국사기) 나타난 우리나라의 녹차 전래는 신라 선덕왕(A.D. 632~647) 때부터라고 한다. 차 재배가 시작된 것은 신라 흥덕왕 3년(A.D. 828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대렴(大廉)이 차 종자를 가져와 왕명으로 지리산에 심게 한데서부터 유래되었고 그 곳 사찰을 중심으로 전파됐다.
삼국유사에도 신라 문무왕 때 종묘 제사를 지내는 음식에 차가 놓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녹차는 1천년 이상 우리 민족과 함께 하며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녹차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녹차의 맛과 향, 효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녹차는 카테킨(catechin)과 데아닌(theanin), 카페인(cafe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 중 차의 독특한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이 카테킨이다. 카테킨은 구조상 수산화기(OH-)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여러 가지 독소와 결합하여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 몸의 지방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막는 항산화 효과가 있어 몸의 세포를 질병으로부터 막을 수 있고 면역성을 높여준다. 특히 카테킨 성분은 감기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어 활동을 저지시키며 체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 코팅제 역할을 한다.
녹차의 독특한 성분으로 데아닌(theanin)이 있다. 이 성분은 녹차에 2-3% 함유된 아미노산의 일종인데, 흥분을 가라앉히는 진정작용이 있고 차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이다. 즉 녹차의 맛은 카테킨의 떫은맛과 데아닌의 감칠맛이 조화를 이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카테킨과 데아닌 외에 녹차의 중요한 성분이 카페인 성분이다. 이 성분은 뇌에 대한 자극이나 강심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는데 많이 섭취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지만 소량으로 섭취하면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이 카페인 성분 때문에 건강을 걱정하는 사람도 간혹 있는데 녹차의 카페인은 커피와 달리 카테킨과 결합을 하여 체내에 더디게 흡수되기 때문에 커피 마실 때의 카페인 흡수와는 사뭇 다르다. 또한 녹차 한잔(약 1백 ml)에는 커피 한잔의 약 5분에 1에 해당되는 카페인(20-30mg)이 들어있어 천천히 마신다면 이 정도의 양으로는 인체에 전혀 해를 주지 않는다고 한다.
녹차의 맛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녹차의 향(香)이다.
녹차의 향은 찻잎 중에 함유돼 있는 휘발성 성분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에 의해 만들어진다. 함량은 0.1% 이하로 미량에 불과하지만 그 종류는 수백 여종으로 이성분이 미세한 향의 차이를 결정한다. 전문가가 아니면 이 미세한 향의 차이를 식별해 내기란 쉽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녹차에서 우려나는 그윽한 향은 녹차의 맛과 함께 녹차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일찍이 동의보감에서는 녹차에 대해 ‘성품이 차고 서늘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기운을 내리게 하여 음식에 체한 것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소변을 통하게 하여 당뇨병에 좋으며 잠 많은 사람에게서 잠을 쫓아 주며 뜸으로 데인 독을 풀어준다’고 녹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현대의 녹차는 이런 한방요법 외에도 피부미용이나 입 냄새 제거 등에도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토피성 질환 환자 중에는 녹차잎 가루를 이용해 얼굴 마사지를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는 녹차 성분이 얼굴에 있는 피부세포의 독소를 제거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을 이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녹차의 항암, 항균작용이 국내외 학술지를 통해 속속 밝혀지면서 녹차의 인기가 절정에 달하고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도 움츠려 들기 마련이다. 이럴 때에 따뜻한 녹차 한잔에 손과 마음을 녹이며 생활의 템포를 조금 늦추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과학향기 편집부)
삼국유사에도 신라 문무왕 때 종묘 제사를 지내는 음식에 차가 놓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녹차는 1천년 이상 우리 민족과 함께 하며 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녹차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녹차의 맛과 향, 효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녹차는 카테킨(catechin)과 데아닌(theanin), 카페인(cafe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 중 차의 독특한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이 카테킨이다. 카테킨은 구조상 수산화기(OH-)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여러 가지 독소와 결합하여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 몸의 지방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막는 항산화 효과가 있어 몸의 세포를 질병으로부터 막을 수 있고 면역성을 높여준다. 특히 카테킨 성분은 감기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어 활동을 저지시키며 체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 코팅제 역할을 한다.
녹차의 독특한 성분으로 데아닌(theanin)이 있다. 이 성분은 녹차에 2-3% 함유된 아미노산의 일종인데, 흥분을 가라앉히는 진정작용이 있고 차의 감칠맛을 내는 성분이다. 즉 녹차의 맛은 카테킨의 떫은맛과 데아닌의 감칠맛이 조화를 이룬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카테킨과 데아닌 외에 녹차의 중요한 성분이 카페인 성분이다. 이 성분은 뇌에 대한 자극이나 강심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는데 많이 섭취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지만 소량으로 섭취하면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이 카페인 성분 때문에 건강을 걱정하는 사람도 간혹 있는데 녹차의 카페인은 커피와 달리 카테킨과 결합을 하여 체내에 더디게 흡수되기 때문에 커피 마실 때의 카페인 흡수와는 사뭇 다르다. 또한 녹차 한잔(약 1백 ml)에는 커피 한잔의 약 5분에 1에 해당되는 카페인(20-30mg)이 들어있어 천천히 마신다면 이 정도의 양으로는 인체에 전혀 해를 주지 않는다고 한다.
녹차의 맛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녹차의 향(香)이다.
녹차의 향은 찻잎 중에 함유돼 있는 휘발성 성분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에 의해 만들어진다. 함량은 0.1% 이하로 미량에 불과하지만 그 종류는 수백 여종으로 이성분이 미세한 향의 차이를 결정한다. 전문가가 아니면 이 미세한 향의 차이를 식별해 내기란 쉽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녹차에서 우려나는 그윽한 향은 녹차의 맛과 함께 녹차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일찍이 동의보감에서는 녹차에 대해 ‘성품이 차고 서늘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기운을 내리게 하여 음식에 체한 것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소변을 통하게 하여 당뇨병에 좋으며 잠 많은 사람에게서 잠을 쫓아 주며 뜸으로 데인 독을 풀어준다’고 녹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현대의 녹차는 이런 한방요법 외에도 피부미용이나 입 냄새 제거 등에도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토피성 질환 환자 중에는 녹차잎 가루를 이용해 얼굴 마사지를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는 녹차 성분이 얼굴에 있는 피부세포의 독소를 제거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을 이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녹차의 항암, 항균작용이 국내외 학술지를 통해 속속 밝혀지면서 녹차의 인기가 절정에 달하고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도 움츠려 들기 마련이다. 이럴 때에 따뜻한 녹차 한잔에 손과 마음을 녹이며 생활의 템포를 조금 늦추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Story] 인공지능이 맛보는 위스키의 미래
녹차의 카데킨 성분이 면역력을 높여주고, 특히 감기예방에 좋다고 하니 애용해야 겠습니다. 데아닌의 진정작용 효과도 흥미롭네요. 녹차는 느림의 미학을 즐겨야 할 것 같아요.
2009-04-14
답글 0
녹차 향도 은은하고 몸에도 좋아 저도 애용합니다.
2009-04-13
답글 0
지적해주신 단어 즉시 수정 완료했습니다.
항상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보다 노력하는 과학향기가 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2003-12-09
답글 0
플라보노이드(flavoniod) --> flavonoid 로... ^^
2003-12-08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