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모터없이 도는 표면장력 프로펠러
<KISTI의 과학향기> 제519호 2006년 11월 03일
“현민이 집에 안 가고 뭐하고 있니?”
“아, 선생님. 비가 오는데 우산을 안 가져와서요, 엄마가 오시길 기다리고 있어요!”
“그래? 그런데 뭘 그렇게 자세히 보고 있어?”
“빗방울이요.”
“빗방울? 빗방울이 왜?”
“저 잎사귀에 떨어지는 비를 보면 그냥 흘러내리는 게 아니고 둥글둥글 뭉쳐서 흘러내려요. 참 신기하죠?”
“아~그렇구나. 그건 표면장력 때문이야.”
“표면장력이요? 그게 뭔가요?”
“모든 액체 분자는 표면을 최소화하려는 성질이 있어. 특히 표면에 있는 액체 분자들은 공기와 닿아 있어서 옆의 분자들을 그만큼 더 세게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렇게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표면장력이라고 해. 그래서 물분자끼리 뭉쳐 둥근 모양이 되는 거란다.”
“그렇구나. 아침에 풀잎에 맺히는 이슬이 둥글게 맺히는 것도 그래서군요?”
“맞아. 표면장력 때문에 물 표면은 꽤 질긴 막처럼 변하지. 소금쟁이가 물위를 미끄러져 갈 수 있는 것도, 컵에 가득 채운 물 표면이 위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것도 표면장력 때문이란다.”
“이야~표면장력이라는 게 어려운 얘기인 줄 알았는데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네요?”
“그렇지? 그럼 엄마 기다리는 동안 선생님이 재밌는 걸 하나 보여줄까?”
[실험방법]
준비물 : 거름종이, 에탄올, 수정액, 가위, 수조(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그릇)
1. 거름종이를 프로펠러 모양으로 오린다. (일반 종이보다 물에 젖었을 때 더 질긴 기름종이가 실험하기 좋다. 집에서 커피 거르는 용지를 사용하면 된다.)
2. 수정액을 프로펠러 날개의 한쪽 변에 골고루 바른다.
3. 거름종이에 에탄올을 떨어뜨려 적신다. (에탄올은 약국에서 소독용 알코올을 구하면 된다.)
4. 수조의 물 위에 프로펠러를 띄운 뒤 움직임을 관찰한다.
※ 반복실험을 할 때는 사용한 물은 버리고 새로 담아 사용한다.
“우와! 프로펠러가 빙글빙글 막 돌아가요.”
“그래,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
“정말 어떻게 돌아가는 거죠? 그냥 물 위에 띄워놓은 건데 마술 같아요.”
“하하.. 이건 액체에 따라 표면장력의 크기가 차이나기 때문이란다. 물은 72.75mN/m, 에탄올은 22.3mN/m, 액체 중에 수은의 표면장력이 가장 세서 487mN/m이야. 또 표면장력은 액체와 닿은 표면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 가령 물은 기름과 만나면 표면장력이 커지지.”
“와~ 표면장력이 다 똑같은 게 아니네요.”
“그래, 프로펠러 모양의 거름종이에 에탄올을 떨어뜨려 적시면 수정액을 묻힌 부분은 에탄올이 스며들지 못하겠지? 에탄올과 물이 만나는 부분의 표면장력보다 수정액과 물이 만나는 부분의 표면장력이 더 세단다. 그래서 수정액이 묻은 부분의 표면장력이 에탄올이 묻은 반대편보다 세서 그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 프로펠러가 돌게 되는 거란다.”
“표면장력이라는 게 무슨 힘이 있을까 했는데 이렇게 프로펠러를 돌릴 수 있을 정도의 힘이라니 정말 놀라운데요?”
“그렇지? 때로는 표면장력을 줄이는 게 우리 생활에서 도움이 되기도 한단다. 표면장력이 크면 다른 물질과 섞이는 것을 방해하거든. 예를 들면 비누는 물과 결합하는 부분과 기름과 결합하는 부분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어서 물 속에 들어갔을 때 물의 표면장력을 약하게 해 주고 물분자가 기름 분자를 끌어당기게 도와주지. 그래서 더러운 때를 씻어주는 거란다.”
“우리가 매일 쓰는 비누에도 그런 비밀이 숨어있었군요. 정말 주변을 둘러보면 그냥 생긴 게 없네요.”
“현민아!”
“아, 엄마다! 선생님 오늘 감사합니다! 집에 가서 비누로 씻으면서 표면장력에 대해 복습할께요!”
“하하, 녀석. 그래 잘 가라!”(글 : 과학향기 편집부)

※표면장력의 활용
1. 식물이 물관을 통해 물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힘 중 하나는 표면장력이다. 표면장력이 없다면 식물은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이다.
2. 맥주컵이 깨끗하지 않으면 맥주 거품의 표면장력이 약해져 거품이 잘 생기지 않는다. 표면장력은 표면이 깨끗하면 커지고, 더러우면 작아지기 때문이다.
3. 비누방울 놀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높인 결과다. 표면장력을 극대화하면 사람 크기보다 더 큰 비누방울도 만들 수 있다.
4. 방수천은 표면장력을 높여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만든다. 물분자 하나의 크기는 방수천에 나있는 구멍보다 작지만 표면장력 때문에 물분자끼리 뭉치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한다.
“아, 선생님. 비가 오는데 우산을 안 가져와서요, 엄마가 오시길 기다리고 있어요!”
“그래? 그런데 뭘 그렇게 자세히 보고 있어?”
“빗방울이요.”
“빗방울? 빗방울이 왜?”
“저 잎사귀에 떨어지는 비를 보면 그냥 흘러내리는 게 아니고 둥글둥글 뭉쳐서 흘러내려요. 참 신기하죠?”
“아~그렇구나. 그건 표면장력 때문이야.”
“표면장력이요? 그게 뭔가요?”
“모든 액체 분자는 표면을 최소화하려는 성질이 있어. 특히 표면에 있는 액체 분자들은 공기와 닿아 있어서 옆의 분자들을 그만큼 더 세게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렇게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표면장력이라고 해. 그래서 물분자끼리 뭉쳐 둥근 모양이 되는 거란다.”
“그렇구나. 아침에 풀잎에 맺히는 이슬이 둥글게 맺히는 것도 그래서군요?”
“맞아. 표면장력 때문에 물 표면은 꽤 질긴 막처럼 변하지. 소금쟁이가 물위를 미끄러져 갈 수 있는 것도, 컵에 가득 채운 물 표면이 위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것도 표면장력 때문이란다.”
“이야~표면장력이라는 게 어려운 얘기인 줄 알았는데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네요?”
“그렇지? 그럼 엄마 기다리는 동안 선생님이 재밌는 걸 하나 보여줄까?”
[실험방법]
준비물 : 거름종이, 에탄올, 수정액, 가위, 수조(또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그릇)
1. 거름종이를 프로펠러 모양으로 오린다. (일반 종이보다 물에 젖었을 때 더 질긴 기름종이가 실험하기 좋다. 집에서 커피 거르는 용지를 사용하면 된다.)
2. 수정액을 프로펠러 날개의 한쪽 변에 골고루 바른다.
3. 거름종이에 에탄올을 떨어뜨려 적신다. (에탄올은 약국에서 소독용 알코올을 구하면 된다.)
4. 수조의 물 위에 프로펠러를 띄운 뒤 움직임을 관찰한다.
※ 반복실험을 할 때는 사용한 물은 버리고 새로 담아 사용한다.
“우와! 프로펠러가 빙글빙글 막 돌아가요.”
“그래,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
“정말 어떻게 돌아가는 거죠? 그냥 물 위에 띄워놓은 건데 마술 같아요.”
“하하.. 이건 액체에 따라 표면장력의 크기가 차이나기 때문이란다. 물은 72.75mN/m, 에탄올은 22.3mN/m, 액체 중에 수은의 표면장력이 가장 세서 487mN/m이야. 또 표면장력은 액체와 닿은 표면에 따라 많이 달라지는데, 가령 물은 기름과 만나면 표면장력이 커지지.”
“와~ 표면장력이 다 똑같은 게 아니네요.”
“그래, 프로펠러 모양의 거름종이에 에탄올을 떨어뜨려 적시면 수정액을 묻힌 부분은 에탄올이 스며들지 못하겠지? 에탄올과 물이 만나는 부분의 표면장력보다 수정액과 물이 만나는 부분의 표면장력이 더 세단다. 그래서 수정액이 묻은 부분의 표면장력이 에탄올이 묻은 반대편보다 세서 그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 프로펠러가 돌게 되는 거란다.”
“표면장력이라는 게 무슨 힘이 있을까 했는데 이렇게 프로펠러를 돌릴 수 있을 정도의 힘이라니 정말 놀라운데요?”
“그렇지? 때로는 표면장력을 줄이는 게 우리 생활에서 도움이 되기도 한단다. 표면장력이 크면 다른 물질과 섞이는 것을 방해하거든. 예를 들면 비누는 물과 결합하는 부분과 기름과 결합하는 부분을 한꺼번에 가지고 있어서 물 속에 들어갔을 때 물의 표면장력을 약하게 해 주고 물분자가 기름 분자를 끌어당기게 도와주지. 그래서 더러운 때를 씻어주는 거란다.”
“우리가 매일 쓰는 비누에도 그런 비밀이 숨어있었군요. 정말 주변을 둘러보면 그냥 생긴 게 없네요.”
“현민아!”
“아, 엄마다! 선생님 오늘 감사합니다! 집에 가서 비누로 씻으면서 표면장력에 대해 복습할께요!”
“하하, 녀석. 그래 잘 가라!”(글 : 과학향기 편집부)

※표면장력의 활용
1. 식물이 물관을 통해 물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힘 중 하나는 표면장력이다. 표면장력이 없다면 식물은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이다.
2. 맥주컵이 깨끗하지 않으면 맥주 거품의 표면장력이 약해져 거품이 잘 생기지 않는다. 표면장력은 표면이 깨끗하면 커지고, 더러우면 작아지기 때문이다.
3. 비누방울 놀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높인 결과다. 표면장력을 극대화하면 사람 크기보다 더 큰 비누방울도 만들 수 있다.
4. 방수천은 표면장력을 높여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만든다. 물분자 하나의 크기는 방수천에 나있는 구멍보다 작지만 표면장력 때문에 물분자끼리 뭉치기 때문에 통과하지 못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Story] 칠흑같이 깜깜한 우주…그래서 얼마나 어두운데?
- [과학향기 for Kids] 촉각으로 더 생생해지는 가상현실 세계
- [과학향기 Story] 스페이스X 스타십, 집으로 돌아와 주차까지 완료!
- [과학향기 for Kids] 수력 엘리베이터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달 남극 정복하려는 주요국들의 단두대 매치, 목적과 현황은?
- 36초 남은 마라톤 ‘2시간의 벽’, 과학이 도와줄 수 있을까?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2009-04-17
답글 0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말이 조금 어렵습니다. 물체가 서로를 끌어당겨 최소의 형태를
유지 하려는 상태 정도인 것 같내요.
과학이니깐...어렵내요. ㅋㅋ 앞으로도 부탁드립다.
2007-02-07
답글 0
어릴때 종이위에 볼펜에있는 잉크를 살짝 불어떨어뜨려서
물위에띄워 배처럼 가는게 마냥 신기해하며
놀던때가 기억납니다.
물바겟츠 잉크물로 범벅해놨다고 혼도났었지만..ㅎㅎ
한 가족의 가장이 된 지금 우리 아이한테 이런실험 하면서 과학을 알게
해줘야겠네요.
과학향기에 먼저 감사를...^^*
2006-11-30
답글 0
우선 좋은 글 감사합니다만
질문 한가지 할게요;;
글로 설명해놓으니까 좀 이해하기 어려워서 그러는데
프로펠러가 돌 때 수정액이 묻은 부분 방향으로 돕니까,아니면
에탄올이 묻은 방향으로 돕니까?
글에 설명되어있는 바에 의하면
'수정액이 묻은 부분의 표면장력이 에탄올이 묻은 반대편보다 세서 그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라고 했는데요
'그'가 가리키는 게 뭔지 조금 애매하네요...
표면장력이 세면 수정액과 물이 서로 붙어있으려고 한다는 뜻 아니에요?
그러면 수정액이 묻은 부분 방향으로 돌아야 하는게 아닌가요?
2006-11-23
답글 0
김상욱, 이태훈, ville님,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저자에게 확인한 결과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어 4번 예시는 뺐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2006-11-07
답글 0
먼저 좋은 의견에 감사합니다.
에탄올이 물에 섞여 다 없어지면 더 이상 돌지 않게 됩니다. 윗분께서 지적하신 대로 에탄올은 물과 잘 섞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 과학향기
2006-11-07
답글 0
물은 표면장력때문에 오목하게 들어가지 않나요?
2006-11-06
답글 0
아랫분들 말씀처럼 낚시 찌 얘기는 적절하지 않은거 같은데요...
중력 때문에 비중이 높은 물이 아래쪽으로 받는 힘이 더 강해서 그런거 아닌가..
2006-11-06
답글 0
에타놀은 물과 잘 섞입니다. 소주, 맥주 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죠
2006-11-06
답글 0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분을 위해 예를 든다면 찌가 완전히 물속에 가라 앉았을때 그때 찌가 서있거든요. 왜 그럴까요..?? 한번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낚시 줄이 찌의 끝이 아닌 중점에 있다면 서 있을까요??
2006-11-05
답글 0
이렇게 표면장력을 이용하면 에탄올과 수정액은 물과 섞이지 않으려고 하니 계속 돌아가는 것인가요.
2006-11-04
답글 0
그렇게요 낙시찌가 서는것을 표면장력의 예로 드는것은 문제가 있네요...
2006-11-04
답글 0
적적한거같은대';;
2006-11-03
답글 0
활용의 예에서 4번은 적절하지 않은 예인 것 같네요..
2006-11-03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