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바닷속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성분 분해 미생물 발견
<KISTI의 과학향기> 제3774호 2022년 08월 01일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화합물인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쓰이는 벤젠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특히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지난해 1월부터 옥시벤존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때 배합 한도를 5%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전체옥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천 산업단지 인근의 하천에서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으며, ‘먹어치우다, 삼키다’라는 뜻을 갖는 라틴어 ‘보란스’를 붙여 이 미생물에게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Rhodococcus oxybenzonivoran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는 호기성 세균으로, 증식이 활발할 때는 길이 1.6㎛, 폭 0.4㎛의 막대 모양을, 증식이 멈추면 직경 0.4㎛ 미만의 둥근 모양을 띤다. 산업단지 하천에서 발견됐지만 토양이나 하천뿐만 아니라 사막이나 원유 오염지, 빗물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는 1L의 담수가 100mg의 옥시벤존으로 오염됐을 때 3일 만에 90% 이상을 제거했으며, 남은 10% 미만의 옥시벤존도 10일 이내에 완전히 제거했다. 분해 과정에서 유해 부산물 또한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됐다. 또 연구팀은 미생물이 옥시벤존을 산화시키는 효소를 찾아내는 등 유전자, 효소, 대사체 확인을 통해 생불학적 분해 기작도 알아냈다.
유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잠재적인 유해성을 갖는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발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생물의 분해 기작에 대한 과학적 근거까지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담수 미생물을 활용한 하·폐수 처리기술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위조 방지 보안 기능, 연어 DNA로 만든다?
- KAIST 화학과 윤동기 교수 연구팀이 연성 소재(Soft material)의 자기조립(Self-assembly) 시 발생하는 무작위 패턴을 이용해 보안 및 인증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최근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기기 및 서비스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신기능 창출이 가능해졌다. 동시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위조 기술도 발달되어 그 피해를 ...
-
- 쓸모없다 믿었던 정크 DNA, 노화와 발암의 원인?
- 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김민정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권현우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쓸모없는 DNA를 뜻하는 정크 DNA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규명했다. 인간 유전체 중 일반적인 단백질 생성 유전자는 전체 염기서열의 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유전체 영역은 그 기능이 뚜렷하게 알...
-
- 겨울철 차가운 냉기, 한여름 냉방에 꺼내 쓴다
- 국내 연구팀이 차가운 겨울철 냉기를 땅 속에 저장했다가 한여름에 꺼내 하우스 등의 냉방에 이용하는 새로운 냉방 기술을 개발했다. 한여름 폭염에 달궈진 하우스 온도는 50~70℃에 육박해 농작물의 생육에 치명적이다. 하지만 한여름 불볕더위에는 냉방기기에도 한계가 있고 높은 에너지비용은 농가에 큰 부담이 된다. 특히나 올해는 고유가에 따른 전력 요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