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생뚱맞은, 낙타 바늘구멍 통과하기는 누가 만들었나? / 리트머스지의 원리
<KISTI의 과학향기> 제246호 2005년 02월 04일
◈ 생뚱맞은, 낙타 바늘구멍 통과하기는 누가 만들었나?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기'라는 말이 있다. 상당히 힘들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말이다. 그런데 어떻게 다른 동물도 아니고 낙타일까? 바늘과 낙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인데 말이다. 이 속담은 잘못된 번역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이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쉽다" 성경 마태복음 19장 24절과 마가복음 10장 25절에 나오는 이 유명한 성경구절은 사실 잘못 번역한 것이다. 번역자가 아랍어의 원어'gamta(밧줄)'를 'gamla(낙타)'와 혼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밧줄이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이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쉽다"가 옳을 것이다. '밧줄이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일이지만 낙타에 비한다면 훨씬 가능성이 큰 편이다. 그러니 '밧줄'이 '낙타'로 바뀌었고 '바늘귀'가 '바늘구멍'으로 바뀌어서 사용되었던 것이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아주 쉽게 낙타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꼭 낙타뿐만 아니라 빛만 있다면 세상에 모든 물체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바늘구멍 사진기를 이용하면 낙타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켜 필름에 상을 맺을 수 있고 그곳에 흰 종이를 대면 실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실상은 바늘구멍 안쪽에 있으므로 낙타는 결국 바늘구멍을 통과한 것이 되지 않는가?
◈ 리트머스지의 원리
환경의 산성도 및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끼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끼는 중금속을 빨아들이고 깨끗한 물을 만들어 준다. 이런 식물을 지표식물이라고 하는데 이끼의 경우 공기가 심하게 오염되면 지속적으로 자리지 못하고 1~4주만에 말라 죽기도 한다. 과학실험에서도 어떤 물질의 산성과 알카리성을 판단할때 리트머스지를 이용하는데 이 리트머스지는 리트머스란 이끼의 용액을 여과지에 침투시킨뒤 건조해 만든다. 리트머스지는 푸른색과 적색이 있는데 푸른 리트머스지가 붉게 변하면 산성이고 적색 리트머스지가 푸르게 변하면 알카리성이다.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기'라는 말이 있다. 상당히 힘들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말이다. 그런데 어떻게 다른 동물도 아니고 낙타일까? 바늘과 낙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인데 말이다. 이 속담은 잘못된 번역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이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쉽다" 성경 마태복음 19장 24절과 마가복음 10장 25절에 나오는 이 유명한 성경구절은 사실 잘못 번역한 것이다. 번역자가 아랍어의 원어'gamta(밧줄)'를 'gamla(낙타)'와 혼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밧줄이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이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쉽다"가 옳을 것이다. '밧줄이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일이지만 낙타에 비한다면 훨씬 가능성이 큰 편이다. 그러니 '밧줄'이 '낙타'로 바뀌었고 '바늘귀'가 '바늘구멍'으로 바뀌어서 사용되었던 것이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아주 쉽게 낙타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꼭 낙타뿐만 아니라 빛만 있다면 세상에 모든 물체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바늘구멍 사진기를 이용하면 낙타를 바늘구멍으로 통과시켜 필름에 상을 맺을 수 있고 그곳에 흰 종이를 대면 실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실상은 바늘구멍 안쪽에 있으므로 낙타는 결국 바늘구멍을 통과한 것이 되지 않는가?
◈ 리트머스지의 원리
환경의 산성도 및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끼를 활용하기도 한다.
이끼는 중금속을 빨아들이고 깨끗한 물을 만들어 준다. 이런 식물을 지표식물이라고 하는데 이끼의 경우 공기가 심하게 오염되면 지속적으로 자리지 못하고 1~4주만에 말라 죽기도 한다. 과학실험에서도 어떤 물질의 산성과 알카리성을 판단할때 리트머스지를 이용하는데 이 리트머스지는 리트머스란 이끼의 용액을 여과지에 침투시킨뒤 건조해 만든다. 리트머스지는 푸른색과 적색이 있는데 푸른 리트머스지가 붉게 변하면 산성이고 적색 리트머스지가 푸르게 변하면 알카리성이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
물리학을 주장하는사람이
물체의 물리적인 이동이 아닌 바늘구 멍을 통해 보이는 것만으로 통과했다고 주장하는건 어이가 없어서 코웃음밖에 안나오는군요
"낙타가 바늘..." 이라는 문구를
"낙타 그림자가 바늘..." 또는
"낙타 빛이 바늘...." 으로 맘대로 해석한것 같은데
혼자만의 세계에 너무 깊이 빠져 사시는군요
낙타이건 밧줄이건 똑같습니다
빛이 통과하는걸 의미하는게 아니죠
2020-02-23
답글 0